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4%9C%EB%82%A8%ED%91%9C
최신순
조회순
서남표 총장, 전체 간부진과“루오”전 관람
KAIST(한국과학기술원) 서남표(徐南杓) 총장이 KAIST 전체 간부진을 이끌고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한불수교 120주년 기념, “루오-영혼의 자유를 지킨 화가” 전을 관람했다. 24일(목) 오후 5시20분부터 1시간여동안 이뤄진 이번 루오전 관람에는 서남표 총장, 여인철 감사, 장순흥 교학부총장, 학장, 처장, 학과장, 팀장 등 KAIST 전체 간부진 80여명이 참여했다. 서남표 총장은 지난 7월14일에 있었던 취임 기자회견에서도 KAIST가 대전시, 지역인사들과 힘을 모아 대전을 세계적인 하이텍 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번 관람행사도 대전시민사회, 그리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KAIST가 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KAIST 관계자는 대전시민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문화예술프로그램 단체관람이 ▲KAIST가 지역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참함으로써 시민의 사랑을 받겠다는 뜻과 ▲대전이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의 도시라는 이미지를 제고시키는데 일조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취지를 밝혔다.
2006.08.25
조회수 12590
VLDB 2006 개최
데이터베이스 분야 최정상급 국제학술대회 국내 최초 개최 데이터베이스 분야 최정상급 국제학술대회인 ‘브이엘디비 2006(VLDB 2006 / 3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 Bases)’이 국내 최초로 오는 9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KAIST(총장 서남표) 주관, 한국정보과학회가 주최하는 이 학술대회는 엘지전자, 마이크로소프트社, 아이비엠(IBM), 삼성전자, 오라클(Oracle), 에스에이피(SAP) 등 세계 굴지의 IT기업들이 후원한다. 이 학술대회에는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들과 미국, 독일, 캐나다, 영국, 싱가포르 등 26개국에서 5백여명의 연구자들이 참석, 이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대회기간 동안 최첨단 검색 엔진 및 유비퀴터스 기술 등과 관련된 80여편의 우수 국제연구논문이 발표되며, 기조 연설과 패널 토론, 5편의 튜토리얼, 그리고 산업체 논문 및 데모 프로그램 40여편이 발표된다. 또한, 12개의 다양한 워크샵도 함께 개최된다. 대회장인 황규영(黃奎永) KAIST 전산학과 교수는 "지난 9년간 다른 선진국들과 치열한 경쟁 끝에 이 대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데이터 베이스 분야의 세계 최정상급 국제학술대회를 국내에 개최한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한국의 역량이 크게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세계적인 연구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연구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2006.07.28
조회수 12094
"U-SoC Robot 2006" 개최
유비쿼터스 시대 준비!! 순수 국내 기술 CPU를 사용하는 국내 유일의 로봇 대회 KAIST(총장 서남표 徐南杓)가 주관하는 "유비쿼터스 에스오씨 로봇 2006(U-SoC Robot 2006)" 대회가 지난 18일 참가팀 대상 설명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했다. "U-SoC Robot 2006"은 지난 2002년 에스오씨(SoC/System on Chip)를 활용한 지능 로봇 구현을 통한 고급 기술인력 양성 목적으로 ‘지능형 에스오씨 로봇 전쟁(SoC Robot War)’이란 명칭으로 시작됐다. 이 대회는 탱크로봇 부문과 태권로봇 부문으로 나눠 치뤄지며, 올해 참가팀은 138개 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이 대회는 국내 CPU 산업을 중점 육성하기 위해 첫 대회때부터 순수 국내 기술로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자체 개발한 기술만을 사용해왔다. 또한, 참가팀에게는 SoC와 로봇 및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등의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대회 기간 동안 관련 세미나, 로봇용 플랫폼 보드 교육 등을 통한 SoC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운영체제(OS)가 탑재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지능 로봇의 이해 등 다양한 분야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회 위원장인 유회준(柳會峻)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올해부터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 기술인 SoC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대회 명칭을 변경했다.”며, “순수 국내 기술만으로 대회를 치른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것은 국내 CPU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의지의 표현이다.”고 말했다. 이 대회에는 팹리스 SoC 업계의 선두 기업인 ‘코아로직’과 로봇 개발 업체인 ‘미니로봇’이 후원기업으로 참여하게 된다.
2006.07.28
조회수 11030
KAIST 13대 신임총장에 서남표 교수 선임
과학기술부장관의 승인거쳐 내달 14일부터 임기시작 구성원들의 역량결집, 세계초일류 연구중심대학 도약 포부 밝혀 KAIST 새 총장에 서남표(徐南杓, 70) 교수가 선임됐다. KAIST는 지난 23일 오전 서울 메리어트호텔에서 이사회(이사장 임관 삼성종합기술원 회장)를 개최하고 제13대 KAIST 신임총장에 서남표 美 MI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 날 이사회에서는 총장후보선임위원회(위원장 박승덕 과총부회장)가 추천한 徐 신임총장, 신성철(申成澈, 54) KAIST 물리학과 교수, 강성모(姜城模, 61) 미국 UC산타크루즈공대 학장 등 3명의 후보를 두고 총장선임(안)을 심의했다. 徐 신임총장은 MIT 기계공학과를 졸업했으며, 카네기 멜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36년간 MIT 교수로 재직하면서 공대 혁신을 선도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초대 MIT 제조 및 생산연구소장, 기계공학과 학과장, 美 과학재단 부총재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MIT 석좌교수로 있다. 생산제조기술 분야 중 플라스틱 제조공정, 금속 제조공정, 마모이론, 설계이론 등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세계적인 석학이다. 공리(axiom, 公理)를 이용한 생산?설계이론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KBS 해외동포상, 호암상(공학부문), 영국 공학설계원 힐스 밀레니엄상 등을 수상했다. KAIST 이사회는 서남표 교수를 “KAIST를 세계 초일류 연구중심 이공계 대학으로 이끌 비전과 리더십을 갖춘 인물로 판단했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 徐 신임총장은 “구성원들의 마음과 역량을 결집,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전시키는데 헌신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신임총장은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의 동의와 과학기술부장관의 승인을 거쳐, 오는 7월 14일부터 임기 4년의 KAIST 총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2006.06.26
조회수 14621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