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퀄컴, '원더풀' KAIST IT인재 모셔가기
-KAIST 대학원생 연구원으로 초빙해 본사 엔지니어와 동일 수준 대우
-미국 샌디에고 퀄컴 본사 및 산타클라라에서 주요 기술 연구 과정에 참여-인재 교류 및 공동 연구 취지에서 시작, 해외 취업 기회까지 제공
CDMA 디지털 무선통신 기술의 세계적 선두기업인 퀄컴은 산학협동의 일환으로 KAIST 의 전기 및 전자공학과 석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을 향후 6개월 동안 공동 연구원으로 초빙한다.
이와 같이 퀄컴이 특정 대학과 연합하여 초빙 연구원 프로그램을 출범한 것은 미국 외 지역에서는 최초로써 특히 한국에서만 올해 5명의 인재가 선발된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다. 이번에 초빙된 학생들은 주로 통신 및 RFIC 설계 분야의 전공 학생들로 미국 샌디에고(San Diego)의 퀄컴 본사 통신 연구소 및 산타클라라(Santa Clara) RFIC 부서에서 공동 연구자로 퀄컴의 기술 연구 과정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
이번 초빙 연구원들은 연구 보고서 심사 및 퀄컴 본사와의 인터뷰 등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최종 선발 됐다. 퀄컴은 연구원들에게 미국 현지 엔지니어들과 동일한 조건의 월급, 체재비, 및 복지혜택을 제공하는 등 한국의 IT인재 초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퀄컴과 KAIST는 이번 2008 년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인재 교류 및 공동 기술 연구를 추진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연구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는 퀄컴 본사에의 취업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다.
퀼컴 코리아의 김승수 상무는 “퀄컴은 한국의 우수 인력을 발굴하고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이번 초빙 연구원 프로그램을 출범했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의 IT 기술이 세계 시장을 리드할 것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시작된 것이다. 앞으로도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한국의 IT인재들이 세계 IT 기술 발전을 이끄는 리더로 커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한국과의 공동 기술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퀄컴의 초빙 연구원 프로그램에 선발된 KAIST 의 정승철 씨 (Analog circuit design 연구 전공)는 “세계 굴지의 IT기업 퀄컴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번 기회를 통해 글로벌 인재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세계 각국의 인재들과 협력하면서 한국인의 저력을 널리 알리는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2009.01.08
조회수 18159
-
신성철칼럼 시간이야기
신성철(물리학과) 교수가 국민일보 2009년 1월 7자에 "시간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과학의 窓] 시간이야기
저자 - 신성철 물리학과 교수
매체 - 국민일보
일자 - 2009.01.07(수)
칼럼보기 http://www.kukinews.com/special/article/opinion_view.asp?page=1&gCode=opi&arcid=0921152083&cp=nv
2009.01.07
조회수 9963
-
'올해의 KAIST인 상'에 양승만(梁承萬)교수 선정
우리학교는 2008년도 ‘올해의 KAIST인 상’에 생명화학공학과 양승만(梁承萬, 58) 교수를 선정했다. 시상식은 지난 1월2일(금) 오전 10시 교내 대강당에서 열리는 2009년도 시무식에서 있었다.
梁 교수는 2008년도 한 해 동안 20편의 논문을 국제 저명학술지에 게재했는데, 이 중 3편의 논문이 네이처(Nature)지 등 해외 저명학술지에 ‘리서치 하이라이트’로 소개되었으며, 4편의 논문이 어드밴스드 머티리얼(Advanced Materials) 지 등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된 바 있다.
2008년도에 발표된 梁 교수의 논문에 대한 영향력 계수(임팩트 팩터, impact factor) 누계는 114.48, 논문 1편당 임팩트 팩터는 5.72다. 지표상으로 볼 때 이 결과는 MIT 화학공학과 교수의 학술실적과 비교해도 월등한 우위에 있고 상위 몇 몇 교수와 비슷한 수준이다.
양승만 교수 프로필
<학력>
1976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1978 KAIST 화학공학과 석사1985 칼텍(Caltech) 화학공학과 박사
<수상실적>
2001, 2003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우수논문상
2003 KAIST 학술상
2004 한국화학공학회 학술상
2006 한국광학회 우수논문상
2006 한국화학공학회 영문지 논문상(최다인용)
2007 듀폰 과학기술상
2009.01.02
조회수 22552
-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성풍현 교수 제자들과 함께 원자력 관련 서적 출간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성풍현(成豊鉉, 53)교수가 연구실 졸업생들과 함께 “안전성이 중요한 대형 디지털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뢰도와 위험도 문제(Reliability and Risk Issues in Large Scale Safety-critical Digital Control Systems” 라는 책을 출간했다. 총 4부 303페이지 분량의 이 책은 1부 하드웨어, 2부 소프트웨어, 3부 인적 요인, 마지막 4부에서는 전체 시스템에 관해,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대형 시스템의 안전 관련 디지털 제어 시스템의 중요 신뢰도 및 위험도 문제들과 해결방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책은 독일의 스프링거사에 의해 “신뢰공학에 관한 스프링거 시리즈 (Springer Series in Reliability Engineering)”의 일부로 출판됐으며, 아마존 닷컴( amazon.com) 같은 주요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成 교수는 2003년 9월부터 2008년 8월까지 한국원자력학회 국제 학술지인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NET)”의 편집장을 맡아 일하면서 이 학술지를 과학기술논문색인 확장판인 ‘SCIE’와 세계 최대 논문 초록 및 인용 횟수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푸스"(Scopus)에 성공적으로 진입시켰다. 2006년 6월부터는 1년간 미국원자력학회 인간요소 분과의 회장을 맡아 일했었다. 현재는 우리나라 원자력 안전에 관한 최고 의결위원회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08.12.26
조회수 20848
-
KAIST-국립중앙과학관 MOU체결
KAIST(총장 서남표)와 국립중앙과학관(관장 김영식)이 공통 관심 및 전문 분야 협력을 추진키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관련 협약식은 지난 17일(수) 오후 5시, 양 기관의 기관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관 4층 회의실에서 있었다.
협약서에는 ▲과학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공동 기획 운영 ▲과학영재 발굴, 교육 및 체험활동에 관한 정보와 교육프로그램 상호교류 ▲양 기관의 시설과 기자재의 공동 활용 ▲KAIST 기부자에 대한 국립중앙과학관의 평생회원 혜택 부여 ▲양 기관 주관 행사의 상호협력 ▲기타 과학영재교육 진흥을 위한 사업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양 기관은 협약서에 규정한 협력분야의 효율적 추진과 세부업무의 상호협의를 위해 추후 관련 실무 담당자를 중심으로 ‘실무협의회’도 구성키로 했다.
2008.12.23
조회수 14779
-
KAIST-기계연구원 MOU 체결
KAIST(총장 서남표)와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이상천)이 학연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관련 협약식은 지난 17일(수) 오후 3시, 양 기관의 기관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관 1층 회의실에서 있었다.
이 날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자원 및 정보 등을 공동으로 활용, 학연 협력체계를 확립함으로써 에너지/환경, 정밀생산시스템, 기계가공 기술의 발전과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하게 된다.
양 기관의 주요 협력분야로는 ▲고부가가치 기계기술 및 융합기술의 발전을 위한 공동연구 수행 및 상호 인력교류를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 ▲미래지향적 기반기술 및 산업원천기술의 발전과 고급인력 양성, 전주기적 교육을 위한 상호노력 ▲현장실습제도, 장비의 공동활용, 겸임교수제 등의 도입을 통한 개방형 협력 체계 구축 ▲ ‘모바일 하버’
등 국가적 과제에 부합하는 대형사업의 발굴, 기획, 수행의 협력 추진 및 실질적 협력을 위한 ‘KIMM - KAIST 협력센터’ 설치 등이다.
2008.12.23
조회수 14631
-
차세대 투명 저항 변화 메모리(TRRAM) 세계 최초 개발
- KAIST 전자전산학부 임굉수, 박재우 교수 연구팀
- 美 물리학회지, 응용물리학회지, 외국 인터넷 매체에 소개
미래 다가올 투명전자 기술의 밑거름이 되는 투명 메모리 소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최초로 개발됐다.
KAIST 전자전산학부 임굉수(林宏樹, 62), 박재우(朴在佑, 44) 교수팀은 금속 산화물의 저항 변화를 이용한 차세대 투명 저항 변화 메모리(Transparent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TRRAM) 소자 개발에 성공하여 미국 응용물리학회지(Applied Physics Letters) 12월호에 발표하였으며, 미국 물리학회(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12월 9일자)로부터 주목 받는 기술로 선정되어 보도자료(Press Release: The Clear Future of Electronics)로 소개 되었다.
특히, 각종 외국 인터넷 뉴스매체에서도 이번에 개발된 투명 메모리 소자가 세계 1위 휴대폰 제조업체인 노키아에서 제안한 차세대 투명 휴대폰(일명: Morphy)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기사들을 게재했다.
이번에 개발된 투명 메모리 소자는 현재 일반인들이 주머니 속에 하나씩 가지고 다니는 USB형태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원이 제거되어도 저장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같은 종류이지만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 위에 투명 전극과 투명 산화물 박막 등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보이며, 기존 실리콘 기반 CMOS(상보적 금속/산화물/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보다 제조 공정이 훨씬 간단하고 사용 수명도 10년 이상으로 예상된다. 이 투명 메모리 소자는 기술적으로는 이미 상업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저항 변화 메모리(RRAM)를 응용한 것이며, 향후 투명디스플레이등과 같은 투명전자기기와 집적화하여 통합형 투명 전자시스템 구현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KAIST 전자전산학부 박사과정 서중원 학생, 지도교수 임굉수 교수, 그리고 박재우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미래 투명전자 기술에서 저장 매체로서 핵심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연구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완전히 투명한 메모리 소자”에 착안하여 연구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투명 메모리 소자 개발은 기존 실리콘 기반 CMOS 플래시 메모리 시장을 완전히 대체 하는 기술은 아니다” 며, “앞으로 다가올 투명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투명전자 시대에 맞춰 가장 기본적인 저장 매체인 메모리 소자 또한 투명하게 만들고자 하는 취지에서 개발되었고, 이와 더불어 앞으로도 IT 일등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이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에 의미가 있다고”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KAIST BK21 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2008.12.16
조회수 20909
-
물리학과 신성철 교수, 제10대 한국자기학회장 선출
물리학과 신성철(申成澈, 56) 교수(사진)가 최근 한국자기학회 정기총회에서 제10대 회장에 선출되었다. 임기는 내년 1월부터 2년이다. 申 교수는 자기학분야에서 280여편의 논문을 국내외학술지에 발표한 세계적 학자로, 얼마 전에는 미국물리학회 펠로우(석학회원)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KAIST 부총장을 역임했다.
한국자기학회는 "자기의 기초 및 응용에 관한 학문 및 기술의 향상과 산업진흥에 공여함"을 목적으로 지난 1990년에 창립되었으며, 현재 회원 수는 900명이다. 물리학, 금속 및 재료공학, 전기·전자공학 등에서 자기학과 관련된 이학·공학 분야의 연구자와 자기관련 산업관계자 등이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2008.12.15
조회수 15649
-
전산학과 이종협군, 구글 장학생 선정
전산학과(학과장 최기선) 이종협군이 우리학교 처음으로 ‘2008년 구글 장학생’으로 선정됐다.
이군은 학업 성적이 우수하고 전산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수상식은 지난 10일 전산학과 로비에서 열렸으며, 부상으로 US$1,700의 상금을 받았다.
구글 장학생은 전 세계 전산학을 전공하는 3학년을 대상으로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추천 받아 미국 인터넷 검색엔진 회사인 구글(Google)이 선정한다.
2008.12.11
조회수 17447
-
산업디자인학과 정다운군 오사카 국제디자인공모전 은상 수상
산업디자인학과 김명석교수팀(정다운-학부과정, 김지훈-박사과정, 김보연-미국 Cheshire Academy)이 지난달 27일 열린 제17회 오사카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정다운군등은 주위의 소음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재활용하는 SONEA(Sonic Energy Absorbing)시스템을 출품하여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작품은 항공기, 고속도로, 열차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 것으로 내년 2월에 오사카에서 열리는 디자인 마켓에도 초대되어 실용화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졌다. 금상은 중국, 은상은 일본, 한국, 동상은 미국과 독일의 디자이너들이 각각 수상했다.
특히, 김명석 교수팀은 최종 수상자로 선정된 6팀 가운데 유일한 학생팀으로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으며 작년 박사과정 김지훈군의 동상 수상에 이어 금년에도 은상을 수상함으로써 id KAIST 디자인 교육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렸다.
1983에 시작된 오사카 국제 공모전은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고 전통 있는 디자인 공모전 중의 하나로 평가 받으며 매/격년마다 새로운 주제를 가지고 전 세계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열리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Earth-Life: Clean Aqua, Clean Air, Clean Energy"라는 주제 아래 오사카 국제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2008.12.08
조회수 22319
-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교수, 미국전자공학회와 대한전자공학회 공동수여 'IT 젊은 공학자상' 수상
우리학교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38)는 전기,전자분야의 최대 국제기구인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회장 : Lewis M. Terman)와 대한전자공학회(IEEK, 회장: 김재희 연세대 교수)가 공동으로 수여하는 “IEEE/IEEK Joint Award for Young IT Engineer of the Year 2008 (IT 젊은 공학자상)”을 11월 29일(토) 연세대학교에서 수상하였다.
이번 시상식에는 미국전기전자학회 포상위원장(Prof. Paul Cheung, Hongkong Univ.)을 비롯하여 IT 분야의 국내외 인사들이 참석하였으며, 해동과학문화재단(김정식 이사장)에서 후원하였다.
현재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와 공동상(Joint Award)을 설립한 국가로는 칠레, 에콰도르, 페루, 싱가포르 및 이탈리아 등 5개 국가가 있으며, 한국은 금년도 제 3회 수상자를 선정했으며, 이번 수상자 선정의 포인트는 기술적 실용성, 사회/환경에의 공헌도 및 창의성 등에 중점을 두어 심사하였다.
이번 제 3회 수상자 선정은 금년 4월까지 수상후보자 응모를 완료한 후, 3개월간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포상위원회와 대한전자공학회(IEEK)의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최종 선정하게 되었다.
2008.12.04
조회수 19147
-
한국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 KAIST에서 첫 강의
- 4일(목), KAIST 교내 기계항공시스템학부에서, 한국 우주인 프로그램에 대해 학부생과 일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
한국 최초의 우주인인 이소연(30) 박사가 모교인 KAIST에서 겸직교수로 발령받은(2008.9.1일부) 지 처음으로 자신의 우주인 선발과정과 우주실험 등에 대해 후배들에게 강의를 하게 된다.
오는 4일(목)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KAIST 기계항공시스템학부(N7 건물) 강의실에서 항공우주공학 전공 학부생들과 일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게 되는 데, 이 강의는 일반인들의 청강도 가능하다고 학교 측은 밝혔다.
이번 강의는 ‘항공우주공학 신기술 특강’ 과목의 일부로 이뤄진다. 이 강의에는 NASA에서 오랫동안 일하다 귀국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박철 교수가 지난 주에 달탐사에 대해 강의한 것을 비롯하여 항공우주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고 있다.
2008.12.04
조회수 17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