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B4%88%EC%B2%AD%EA%B0%95%EC%97%B0
최신순
조회순
박경렬 교수, 개도국 고위 정책관리자 대상 초청 강연 진행
우리 대학 과학기술정책대학원(원장 최문정) 박경렬 교수가 지난달 30일 12개 개도국 고위공무원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디지털 기술(Digital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을 주제로 초청 강연했다. 박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데이터 중심의 거버넌스(Data for Governance)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포용적이며 지속가능발전(Inclusive & Sustainable Development)을 주제로 하는 연구 분야를 소개했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기술 발전 추이와 국제적인 추세, 국제기구와 주요 국가의 디지털정부 도입 및 운영 사례 등을 설명하며, 현장에 참석한 개도국 고위 정책관리자 방문단과 각국의 디지털정부 도입 현황 및 과제를 공유했다. 또한, 연구사례를 바탕으로 각 정부가 활용할 수 있는 정책 제안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번 강연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이하 NIA) 주최한 '2022년 디지털정부 정책관리자 과정(2022 Digital Government Policy Management Course)'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2014년부터 매년 운영되는 디지털정부 정책관리자 과정은 개발도상국 정부의 고위급 공직자들이 우리나라의 디지털정부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초청 연수 과정이다. 전문가 강연, 현장 방문, 협력사업 기획안 작성 실습, 우리나라 디지털정부 관련 기업 면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디지털정부 해외 진출 확대 계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올해는 디지털정부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중점협력하는 12개국*의 고위공무원(차관급, 실·국장급) 16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한국의 디지털정부 추진전략, 디지털정부 공통기반 인프라, 디지털정부 서비스 등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에 참여했으며, 지난달 30일에는 KAIST를 방문해 개발도상국의 디지털 전환의 과제 및 국가별 사례 공유의 시간을 가졌다. * 12개 중점협력국: 캄보디아, 도미니카공화국, 우간다, 네팔, 인도네시아, 페루, 볼리비아, 몽골, 세르비아, 가나, 파라과이, 과테말라 등
2022.09.08
조회수 1642
이대길 교수, 제20회 국제복합재료구조학회( ICCS20) 특별공로상 수상
〈 이 대 길 교수 〉 우리 대학 기계항공공학부 이대길 명예교수가 제 20회 국제복합재료 구조학회(ICCS20 :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osite Structures)에서 특별 공로상을 수상했다. 매년 열리는 ICCS는 복합재료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복합재료응용 분야의 최대학술대회로 올해는 9월 4일부터 7일 까지 프랑스 파리의 국립 공예원( CNAM : Conservatoire National des Arts et Métiers)에서 개최됐다. 올해는 45개 국가에서 65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고 이대길 교수는 논문 발표 실적, 대학원생 참여도, 논문심사 공헌도를 인정받아 특별 공로상을 수상했다. 이대길 교수는 ICCS7(1993년)부터 ICCS20까지 참가했고 ICCS7 및 ICCS8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이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수상 기념 초청강연 (Light weight carbon composit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을 실시했다. 이 교수는 “학회에 발표된 논문과 관련 특허를 기반으로 우리 연구실 출신이 창업한 스탠다드 에너지(Standard Energy)의 발명품인 VRFB(Vanadium Redox Flow Battery-ESS)의 성능혁신 및 이를 통한 인류의 에너지 문제의 해결에 일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17.10.18
조회수 8635
이재형 교수, ‘더프로페서 로저 사전트 렉처’ 아시아인 최초 초청강연
〈 이 재 형 교수 〉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이재형 교수가 공정시스템분야의 세계적 강연 프로그램 ‘더 프로페서 로저 사전트 렉처(The Professor Roger Sargent Lecture)’에서 아시아인 최초로 초청강연을 한다. 1994년부터 시작해 23회째를 맞는 더 프로페서 로저 사전트 렉처는 로저 사전트 교수의 공정시스템분야에 대한 독보적 업적을 기리기 위한 세계적 강연프로그램이다. 美 미네소타 대학의 아리스 교수, 메사추세츠 공대의 스타파나폴로스 교수, 스웨덴 룬드 대학의 오스트롬 교수, 스위스 취리히 공대의 모라리 교수 등 해당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들이 이 강연을 거쳤다. 이 교수는 아시아인으로서는 최초로 연사로 초청됐다. 이번 초청 강연은 12월 1일 런던의 임페리얼 칼리지에서 ‘수리계획법과 동적계획법을 통합한 불확실한 시스템에 대한 다단계 의사결정법’을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풍력, 태양력과 같은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며 전력생산 및 공급망의 디자인과 운영이 급속도로 복잡해지고 불확실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 교수의 연구에서는 이런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률모델화하고 인공지능 및 최적화 기법을 바탕으로 다단계 의사결정방법론을 적용해 튼튼하면서 최적화된 네트워크 디자인 및 운영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산업공정분야에서 강건하고 향상된 모델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새 구조를 개발한 공을 인정받아 미국화학공학회(AIChE)에서 수여하는 계산기술상, 미국 NFS 재단에서 수여하는 젊은 연구자 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미국화학공학회,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국제자동제어연합(IFAC) 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및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 교수는 “공정시스템 분야의 시조이자 뛰어난 학자인 사전트 교수의 이름을 담은 강의를 하게 돼 큰 영광이고 지금까지 이 강의를 한 22명의 학자들과 같은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공정시스템 공학은 그동안 화학 및 에너지 산업 현장에서 효율성 안전성을 올리는데 많은 기여를 했고, 향후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기술들과 접목돼 발전할 것으로 생각하기에 더 열심히 연구와 교육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재 BK21 다중스케일 생명화학공학사업단장 및 사우디 아람코-KAIST CO2 공동연구 센터장을 맡고 있다.
2016.10.25
조회수 7959
침팬지 연구가 제인 구달 박사 초청강연
- 희망의 이유-침팬지 연구의 반세기를 기념하며 -- 28일(화) 오후 5시, KAIST 대강당서 개최 - 우리대학은 세계적인 침팬지 연구가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를 초청해 28일(화) 오후 5시부터 7시까지 교내 대강당에서 강연을 개최한다. 제인 구달 박사는 침팬지 연구를 시작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해 ‘희망의 이유-침팬지 연구의 반세기를 기념하며’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생물다양성의 의의를 전파하는 데 오랜 기간 헌신해 온 제인 구달 박사의 2010년 방한은 생물다양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뜻 깊은 계기가 될 것이다. 이번 강연은 KAIST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강연은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님과 순차통역으로 이뤄진다.
2010.09.27
조회수 11891
‘지속가능성’연구, 세계속으로 파고들다
- 하계 다보스 포럼 ‘아이디어스랩’ 특별세션에 초청 돼 -- 서남표 총장, 지난 4일 GE사 초청강연 해 - 스위스 제네바 소재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개최하는 대표적인 국제 회의인 ‘다보스 포럼’에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꾸준히 이 문제를 다뤄 왔다. 이 포럼의 중요한 프로그램중 하나로‘아이디어스랩(IdeasLab)’이라는 특별 세션을 만들어 세계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을 초청해 전세계 정상급 리더들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나누고 논의하는 장을 마련해왔다. 한국 대학으로서는 최초로 서남표 총장이 오는 9월 중순(2010.9.13-15) 중국 텐진시에서 개최되는 Annual Meeting of the New Champions, 일명 ‘하계 다보스 포럼’에 초청돼 ‘융합기술을 통한 지속가능 신성장동력’이라는 주제의 아이디어스랩을 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표할 계획이다. 올 초(2010.1.27-31)에 개최된‘다보스 포럼’에서는 유럽경영대학원(INSEAD), 스위스 연방 공과대(EPFL-ETH), MIT, 옥스퍼드, 예일, 하버드 등 7개 대학이 참여했다. 인류의‘지속 가능성’에 대한 탐구는 경제, 교육, 과학기술계는 물론 산업계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주제로 서남표 총장은 서울을 방문한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 제너럴 일렉트릭(The General Electric Company, GE)사의 고위급 간부 50명을 대상으로 강연을 했다. GE사의 초청으로 이뤄진 이 강연은 지난 4일 신라호텔 3층 라일락 룸에서 오전 9시부터 약 한 시간 정도 비공개로 진행됐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GE사 글로벌 사업운영부의 고위급 임원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강연은 당초 미국 본사에서 열릴 계획이었으나, 그 동안 산업과학기술계가 이룬 괄목할 만한 성장과 혁신적인 녹색기술개발 전략을 배우고자 서울에서 열리게 됐다. 이들 임원들은 서 총장으로부터 한국 과학기술의 혁신 현황, 중점 추진방향, 연구개발 역량과 더불어, KAIST의 목표와 비전, 세계적인 기업과의 과학기술협력 전략 등에 관한 내용을 들었다.
2010.05.20
조회수 13722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美 생체재료학회 클렘슨상 수상
생명과학과 박태관(朴泰寬, 52세) 교수가 미국생체재료학회에서 매년 수여하는 세계 생체재료 연구분야의 최고영예인 클렘슨상(Clemson Award)을 수상하게 되었다. 朴 교수는 고분자재료를 이용한 약물전달, 유전자치료, 조직재생공학 등의 융합학문 연구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아, 2009년도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미국 국적이 아닌 과학자가 36년 전통의 클렘슨상을 수상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朴 교수는 그 동안 SCI 논문 203편, 총 논문 피인용횟수 5,500회, 논문 피인용영향력 h-지수 45, 국내외특허 25여건 및 다수의 기술실용화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5개의 유명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는 22일(수) 미국 텍사스 샌안토니오에서 열리는 연례 미국생체재료학회에서 관련 수상식 및 초청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2009.04.09
조회수 12442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