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닥터 엠(Dr. M) 컨소시엄 협약체결 및 모바일 헬스케어 심포지엄 개최
우리 대학은 지난 11일‘닥터 엠(Dr. M)’사업 컨소시엄 발족 및 업무협약식을 갖고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체결 및 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 합의문을 발표하였다.
협약식에는 LG유플러스, 한글과컴퓨터, 국립중앙의료원, 대전선병원, 서울아산병원, 더클래식500, 삼성노블카운티, 을지대학교 성남고령친화종합체험관 등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하였다.
‘닥터 엠(Dr. M)’ 컨소시엄은 헬스사이언스연구소(소장 정용)에서 지난 2년간의 모바일 헬스케어관련 개발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실증화 및 사업화를 위해 추진되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참여기관과 IC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융합연구, 신기술 지적재산권(IP) 확보, 산업체 기술 자문, 특허기술 이전 등 관련 협력을 진행하기로 하였으며, 모바일헬스케어 산업의 문제점 및 아이디어 도출/서비스모델 개발/연구개발/테스트/시범적용/사업화 등 일련의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네크워크를 형성하게 되었다. KAIST를 포함한 각 참여기관은 컨소시엄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에서의 시너지 창출 및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 특성화 그룹으로의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날 오후에는 컨소시엄 발족을 기념하여 ‘닥터 엠(Dr. M)’모바일 헬스케어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우리 대학은 공학과 의학 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새로운 건강관리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지난 2년간 약 20억원을 투입하여 센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저전력 통신기술, IoT 기술, 클라우드/빅데이터 수집 플랫폼 기술, 질병 분석/예측/처방 기술의 단위기술 개발 및 결합 서비스 플랫폼인 ‘닥터 엠(Dr. M)’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대규모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운영하고 있다.
‘닥터 엠(Dr. M)’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은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에서 휴보(HUBO)와 함께 KAIST의 대표 연구 성과로 소개되었다.
2016.11.15
조회수 11369
-
KAIST, 중국 국가장학위원회와 협력협정 체결
우리 대학은 지난 10월 15일(토) 서울에서 중국 국가장학위원회(Chinese Scholarship Council, 이하 CSC)와 중국학생의 KAIST 입학 지원에 관한 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
전 세계에 50만 명의 유학생을 파견하고 있는 유학 대국 중국의 우수한 학생 유치를 위해 기획된 본 협약을 통해, KAIST에 입학한 중국인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들은 중국 국가장학위원회로부터 매달 생활비 및 한국 입국을 위한 항공료를 지원받게 된다.
강성모 총장은 “우수한 중국학생들이 가까운 한국, 그리고 KAIST에서 중국정부의 장학금으로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통해 KAIST 글로벌 캠퍼스 구축과, 우수한 인재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우수한 중국학생들의 많은 지원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CSC는 중국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해외에서 유학하는 중국인 학생과 중국에 유학하는 외국인 학생들에게 다양한 장학프로그램을 통하여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단체이며, KAIST는 한국에서 CSC와 장학금 지원 협약을 맺은 유일한 대학이다.
CSC는 올 한해에만 약 1,000억 원의 장학금을 학생들에게 지원하였다.
2016.10.20
조회수 6651
-
KAIST-국가보안기술연구소, 사이버 보안 교육 및 협력 MOU
대학과 보안연구소가 만나 사이버 보안 분야의 엘리트 양성을 본격화한다.
KAIST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11일(월) 오후 2시 KAIST 총장실에서 강성모 총장, 김광호 소장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이버 보안 교육 ․ 훈련 및 상호교류’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서로가 가진 장점을 결합해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의 교육훈련과 상호협력을 강화해 가기로 했다.
구체적 협력사업으로 △ 사이버 보안 분야의 교육 ․ 훈련 프로그램 참여 및 상호지원 △ 연구 ․ 강의 ․ 교육 훈련 목적의 상호 교류 등이 제시됐다.
강성모 총장은 “첨단 보안 연구기술과 교육역량을 가진 KAIST와 국내 최고 보안기술 전문연구기관인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의 이번 협력은 미래 사이버 보안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호 소장은 “學 • 硏간의 유기적이며 지속적인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및 기술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사이버보안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 할 뿐 아니라 국가 사이버위협 대응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지난 2012년 정보보호대학원을 설립해 정보보호 인력양성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매년 20여 명의 석․박사 과정 학생을 선발해 보안 전문 인력을 양성 중이며, 보안 분야 세계 최고의 학회인 미국 컴퓨터협회 컴퓨터&커뮤니케이션 시큐리티(ACM CCS) ․ IEEE S&P 등에 14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끝.
2016.07.11
조회수 6619
-
이재규 교수의 ‘밝은 인터넷’ 캠페인, 전 세계로 확산된다
이재규 경영대학 석좌교수가 지난 7월 세계정보시스템학회(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 AIS)회장으로 취임하며 공식 발표한 ‘밝은 인터넷(Bright Internet)' 비전이 세계적인 합의를 이끌어내며 비전 실현에 다가서고 있다.
세계정보시스템학회(회장 이재규 교수)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주 포트워스(Forth Worth)에 있는 컨벤션센터에서 국제연합(UN) 산하 특별기관인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ITU)과 ‘밝은 인터넷’에 대한 공동연구 및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신뢰 기반의 정보통신 체계’를 목표로 하는 ITU와의 이번 협약은 향후 전 세계 무선통신 정책, 국제 기술 표준화, 학술 및 국제정책 연구 등에서‘밝은 인터넷’이 활발히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밝은 인터넷’은 사이버 테러, 기업 정보보호 등 각종 사이버 범죄를 인터넷에서 근본적으로 막자는 새로운 인터넷 개념이다. 악성코드의 발송자 책임 원칙, 배달자 책임 원칙 등을 도입하고 자기방어 위주의 보안 체계에서 원인 제공자 추적과 보상책임이 가능한 체계로 국제 표준을 만들어 가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인터넷 보안을 예방 위주로 변환하고, 사이버 범죄와 테러의 원인을 제거하자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 교수는 MOU 행사에 이어 14일 텍사스 주에서 정보시스템 관계자 1천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세계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ICIS 2015)에서 ‘밝은 인터넷’을 주제로 강연해 좌중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외에도 ‘밝은 인터넷’비전은 한국경영정보학회 연구회와 UN 산하 국제정보처리연합(International Feder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 IFIP)정보보안 행태 연구그룹 비전으로도 채택 되었을 뿐 만 아니라 KAIST, 중국 칭화대학교 연구진도 관련분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재규 석좌교수는 “현재 인터넷은 효율밖에 모르는 원시시대, 익명의 가면을 쓴 채 폭력과 범죄가 난무하는 무정부 시대로 비유될 수 있다”며 “우리는 인류 문화가 발전하면서 체득한 예의와 도덕, 신뢰를 회복하고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됨은 물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는 공의가 살아 있는 안전한 사이버 세계를 만들어 가야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밝은 인터넷’이 추구하는 세상이며 한국이 밝은 인터넷과 관련된 세계적인 합의와 실천을 주도한다면 사이버 안보가 보장되는 진정한 정보통신 강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
2015.12.28
조회수 6476
-
KAIST-서울아산병원, 의료와 산업수학을 융합한 공동연구 업무협약
우리 대학 수리과학과와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는 9일(수) 오전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대회의실에서 ‘의료분야 산업수학 융합연구’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이번 협약은 의료산업이 직면한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데 대해 양 기관이 공감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우선 △ 의료산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공동연구 △ 의료 데이터의 체계적인 저장과 분석에 관한 공동연구 △ 양 기관의 연구인력상호 교육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의료영상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와 의료 빅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그 기술을 상용화 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KAIST 수리과학과는 순수수학 뿐 만 아니라 영상처리 수학, 생물수학, 확률과 통계적 방법론 등 산업과 관련된 수학 연구를 진행 할 계획이다.
2014년 설립된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는 의과학과 의공학을 연구하는 30여명의 교수진들이 참여해 중개 및 융합연구를 진행 중인데,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분야 문제해결에 수학적 모델을 다양하게 활용 할 계획이다.
이창옥 수리과학과 학과장은 “2000년대 들어 수학이 금융, 바이오, 제조업 등 산업 전 분야에 크게 활용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은 수학과 의학이 만나는 새로운 융합연구가 시작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끝.
2015.12.09
조회수 7190
-
KAIST- 프라하 카렐대학교, 교육 및 연구협력 MOU
KAIST와 체코 프라하 카렐대학교(Charles University in Prague)는 12월 2일(현지시간) 체코 프라하 힐튼호텔에서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장관과 체코 교육부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교육 및 연구 분야 국제교류 및 학생교환 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포괄적 협력협정을 체결했다.
[사진출처] provided by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http://iforum.cuni.cz/ )
주요 내용은 ▴ 학술활동에 관한 정보 교류 ▴ 교원 및 연구원·학생 교류 추진 ▴ 양교 관심분야 교류를 위한 학술대회 개최 ▴ 학생교환 프로그램을 위한 학비 상호간 면제 및 학생 교류 등이다.
KAIST는 이번 협약을 통해 체코의 명문 대학과 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향후 공동연구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학생교류 프로그램 추진은 KAIST의 우수한 교육 및 연구시스템을 이곳 학생들과 공유하고 우수한 체코 학생들을 KAIST 학위과정에 유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성모 총장은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프라하카렐대학교와의 협력은 미래 우수인재를 확보하고 확고한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1348년 개교한 체코 프라하 카렐대학교는 체코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대학이다. 학생 수는 대학원과 학부생 포함 5만 여명이며 17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끝.
2015.12.02
조회수 9205
-
KAIST-프랑스 리옹 국립응용과학원, 복수학위 MOU
우리 대학은 4일 서울 그랜드하야트 호텔에서 프랑스 리옹 국립응용과학원(INSA Lyon, Institut national des sciences appliquées de Lyon)과 ‘산업 및 시스템공학 분야 복수학위’ 수여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매년 최대 3명의 학생들을 파견해 양 대학에서 학위를 수여 받을 수 있게 됐다.
강성모 총장은 “이번 협약은 KAIST 학생들이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연구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57년 설립된 리옹 국립응용과학원은 프랑스 명문대학 집단인 그랑제꼴 소속으로 공학 분야가 강한 대학이다. 프랑스 내 상위 3%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으며, 연구 및 강사진 684명과 학생 5,400여명이 교육과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끝.
2015.11.04
조회수 5767
-
KAIST-대만 경제부, 인재 교류협력 MOU
- 대만 취업 및 인턴십 시장, KAIST 학생들에게 러브콜 -
우리대학과 대만 경제부 투자업무처는 16일(금) 오전 11시 30분 KAIST 본관 제1회의실에서 강성모 총장과 리엔위핑 대만 경제부 투자업무처장 등 1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인재 교류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양 기관은 △ KAIST 졸업생과 대만 기업 간 인재유치 정보 교환 △ 인재유치 미팅 통보 ․ 지원 △ 대만 내 근무를 희망하는 학생에게 맞춤형 일자리 연결 등에 합의했다.
KAIST는 이번 협약으로 대만의 유망한 IT분야 기업에 KAIST 우수 인재의 취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성모 총장은 기념사를 통해 “IT분야와 창업 그리고 대만 기업 진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양질의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고, 좋은 일자리를 연결해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말했다.끝.
2015.10.16
조회수 6038
-
KAIST - 오버츄어 테크놀로지 모바일 보안 협력 MOU
우리 대학과 프랑스의 보안업체 오버츄어 테크놀로지(Oberthur Technologies)가 18일 프랑스 현지에서 전산학부 김광조 교수, 오버츄어 테크놀로지의 CTO Marc Bertin 등 양 기관 관계자 참석 하에 모바일 보안 관련 공동 연구에 대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우리 대학은 이번 체결을 통해 모바일 보안 관련 분야의 실용적인 국제 공동 연구 추진, 대학원생들의 인턴십 참여 등 다양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버츄어 테크놀로지는 세계적 모바일 보안 기업으로 지난 7월 아시아에서 4번째로 서울에 한국 OT 연구 센터를 설립했다.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국내 스마트 폰 제작 기업과 모바일 보안 제품 관련 공동 개발을 추진 중이다.
한편 2016년 한불 수교 13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는 올해를 한국의 해로 지정해 과학, 문화, 예술 등 다방면에서 양국 간 활발한 상호 교류에 힘쓰고 있다.
2015.09.22
조회수 5339
-
KAIST-세종시, ‘융합의과학대학원 설립’ 업무협약
우리 대학과 세종특별자치시는 11일(목) 오후 세종시청에서 강성모 총장, 이춘희 시장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융합의과학대학원 설립'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KAIST가 세종시에 설립을 추진 중인 융합의과학대학원의 성공적인 건립을 위해 노력하고, 이를 통해 세종시가 자족기능을 갖춘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성장 ․ 발전할 수 있도록 상호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 △ KAIST의 융합의과학대학원 설립에 필요한 행정적 ․ 재정적 지원 △ 세종시 지역산업 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 △ 세종시의 교육여건 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 운영 등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협력위원회를 구성해 협력이행에 관한 세부적인 실천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강성모 총장은 “KAIST는 융합의과학대학원을 성공적으로 운영해 의과학 및 의공학 관련 최고급 인재를 배출하고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해, 바이오 융합 미래기술의 주도권을 선도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2015.06.11
조회수 7373
-
KAIST-더클래식 500, 의료와 IT기술 공동연구 협약
우리 대학과 더클래식 500은 24일(화) 오전 KAIST 총장실에서 ‘의료와 IT기술 공동연구를 통한 의료서비스 확대’를 내용으로 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강성모 총장, 박동현 더클래식 500 사장, 정문술 前 KAIST 이사장 등 양 기관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연구 ▲ 의료분야에서 사회적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 연구 ▲ 원격 진료를 위한 시스템 개발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하기로 했다.
학교법인 건국대학교가 설립한 ‘더클래식 500’은 도심형 복합문화 시설 운영 전문회사로 시니어 타운, 호텔서비스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끝.
2015.03.23
조회수 6585
-
KAIST-한컴, 모바일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공동개발 협약
우리 대학과 한글과컴퓨터는 13일(금) 오후 4시 본관 제1회의실에서 ‘KAIST-한글과컴퓨터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강성모 총장, 김상철 회장을 비롯해 한컴의 관계사인 MDS테크놀러지, 소프트 포럼, 다윈텍의 대표이사 등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 스마트 헬스케어 플랫폼‘닥터 엠’에 대한 학술교류 ▲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수행 ▲ 기술 사업화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하기로 했다.
한편, KAIST와 한컴은 지난해 4월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10월 ‘한컴-KAIST 연구센터’가 문을 여는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활발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끝.
2015.03.14
조회수 6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