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선칼럼 통신정책, 소통에 초점을
우리학교 권영선 교수(경영과학과)가 <세계일보> 2009년 10월 1일자에 "[사이언스리뷰] 통신정책, 소통에 초첨을"이란 제목의 칼럼을 기재했다.
제목 [사이언스리뷰] 통신정책, 소통에 초첨을
신문 세계일보
일시 2009/10/01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0930004350&cid=
2009.09.30
조회수 7716
-
KAIST 총장자문회의 개최
-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20명(해외 9명, 국내 11명)으로 구성
- KAIST를 세계적 과학기술대학으로 발전을 위한 정책 자문
우리대학은 제4차 KAIST 총장자문위원회(KAIST President"s Advisory Council, PAC)를 오는 23일(수)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본관 제1회의실 및 문지캠퍼스에서 갖는다.
KAIST 총장자문위원회는 국내외 전문가들로 지난 2006년에 처음 구성됐으며, 올 해가 네 번째 회의가 된다. KAIST는 총장자문위원회를 통해 ▲KAIST를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정책적 자문 ▲KAIST의 업적과 수월성의 국내외 홍보 ▲KAIST 발전기금 모금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원 ▲자문위원과 연계된 국내외 유수 기관들과 협력관계를 개설, 유지, 발전시키는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서 총장이 직접 일 년간의 주요성과와 현황을 발표한다. 특히, 서총장은 대한민국 미래성장의 동력이 될 두 국가 그린 프로젝트, 온라인전기차(On-Line Electric Vehicle)와 모바일하버(Mobile Harbor)의 연구개발 현황과 성과를 설명한다.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들은 지난 일 년간의 KAIST 성과를 심도있게 논의하여 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들에 대해 자문한다.
한편, 김창원 자문위원(AMKORE A&E 회장)의 발전기금 약정식이 서남표총장, PAC 자문위원, KAIST 보직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오전 12시 영빈관에서 열린다.
하와이 건설업계의 산증인인 김회장은 100만달러를 KAIST의 발전기금으로 기부한다. “한국인이 경쟁해서 살아남을 길은 교육밖에 없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김회장은 하와이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엔지니어링 컨설팅 업체인 R.M. 토윌社의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하와이와 한국에서 활동중인 종합건설 엔지니어링 AMKORE A&E의 창업자이자 회장으로 KAIST총장 자문회의 위원 및 이사회 위원이다.
김회장은 2003년에는 이민 백주년 행사의 총괄회장으로 100주년 기념재단 설립을 위해 미주 한인사회에서 ‘3달러 모으기’ 모금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동포사회 및 조국발전의 공을 기리고자 정부는 2003년 대한민국 무공훈장을 수여했다.
KAIST PAC 해외 자문위원은 △박병준 美뷰로 베리타社 특별자문위원 △김창원(Donald C. W. Kim) AMKORE A&E 회장 △닐 파팔라도(Neil Pappalardo) 美메디테크社 회장 △라스 팔레슨(Lars Pallesen) 덴마크공대 총장 △존 홀츠리히터(John F. Holzrichter) 美파니 앤 존 허츠 재단 이사장 △혹탄(Hock E. Tan) 美아바고 테크놀로지 대표 △팹캔 토로시안(Papken Der Torossian) 美비스텍 반도체 그룹 회장 △모세 슈피탈니(Moshe Shpitalni)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대 대학원장 △김상진(Samuel J. Kim) 美UCW America Corp 사장 등 9명이다.
국내 자문위원은 △이기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김우식 前과학기술부 부총리 △김진현 세계평화포럼 이사장 △이희범 STX 에너지 회장 △김명자 그린코리아21포럼 이사장 △민계식 현대중공업 부회장 △이희국 LG 실트론 사장 △류근철 모스크바국립공과대학 교수 △강보영 안동의료재단 이사장 △권오갑 前한국과학재단 이사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등 11명이다.
2009.09.22
조회수 15882
-
한국과학영재학교 2011학년도 입시정책 발표
- 모집정원의 70% 이상 획기적인 입학사정관 제도 도입
우리대학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권장혁 교장)는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고 창의성을 갖춘 글로벌 과학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2011학년도 학생선발 기본정책을 발표했다.
2011학년도 입시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입학사정관 제도 선발의 확대 시행이다. 모집정원 144명에 대해서 2010학년도의 30% 내외 선발에서 2011학년도에는 입학사정관 제도를 70%이상 획기적으로 확대하여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입학사정관 제도를 통한 선발에서는 사교육에 의해 훈련된 영재를 전면 배제할 계획인데, 각종 경시대회 입상실적은 일체 고려하지 않고, 내신 성적과 탐구활동, 독서활동, 봉사활동, 리더십 활동, 발명활동 등을 참고하여 20년 후에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창의성과 잠재력을 지닌 학생을 발굴할 예정이다.
그리고 한국과학영재학교는 현재 공교육 정상화 및 사교육 배제를 위한 다양한 교육 활동을 추진 중에 있는데, 교과지도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인 Help Desk와 Office Hour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수학 교과의 모든 필수과목을 수준별로 운영하여 맞춤식 수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어능력 개별 지도 프로그램인 ECC(English Communication Center)도 운영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과학영재학교 과학축전(KSASF) 및 Virtual Science Academy(가상학교)를 운영하여 전국의 초ㆍ중등 과학영재학생들에게 다양한 과학탐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교육 시장에서 제도권 공교육으로 학생을 유인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외국인 학생 18명을 정원 외로 선발하여 2010학년도 봄학기부터 수업할 예정인데, 국어, 국사, 사회과목을 제외한 전 과목을 영어로 수업할 예정이다.
2009년 3월 1일자로 KAIST 부설이 된 한국과학영재학교는 거의 전원이 KAIST 합격이 보장되어 있으며, 연구 중심 학교를 운영하여, 대학 입시에 구애받지 않고 창의력과 리더십을 키울 수 있는 국내 유일의 학교로 후발 영재학교 및 과학관련 특목고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2009.07.08
조회수 13560
-
이광형칼럼 기술개발은 "일석이조" 실업대책
이광형(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세계일보 2009년 5월 4자에 "기술개발은 ‘일석이조’ 실업대책"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이광형칼럼] 기술개발은 ‘일석이조’ 실업대책
저자 - 이광형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매체 - 세계일보
일자 - 2009.05.04(월)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0503002051&sid=2001030&subctg1=&subctg2=
2009.05.04
조회수 7883
-
2010년 입시 학교장 추천, 무시험으로 150명 선발
- 각종 경시대회 성적은 입시에 반영하지 않기로
서남표 KAIST 총장은 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외교통상부 정부합동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KAIST 입시정책에 관한 개혁안을 발표했다.
아래 사항은 서남표 총장이 이날 발표한 내용이다.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인해 우리나라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모든 국민이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를 위해 필요치 않은 사교육을 줄여 공교육을 정상화 시키면서,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는 것도 위기 극복의 중요한 과제라 생각함.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 그러나 한국 교육은 획일적이고 암기위주이기 때문에, 다양성과 창의성을 잃어 가고 있으며, 사교육 시장의 공룡화에 따라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음.
최근 언론에서 ‘사교육 없는 학교’ 캠페인과 ‘학교장과 교사의 열정이 학교를 바꾼다’는 기사가 보도된 바 있음. 이는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함.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궁극적으로 대학입시에서 뒷받침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고 판단함. 앞장선 입시개혁을 통해 공교육이 활성화되도록 적극 뒷받침하고자 하는 것이 KAIST의 정책추진 방향임.
이와 관련하여 KAIST는 다음의 사항을 적극 추진하고자 함.
□ 올해 2010학년도 입시부터 전국 일반고를 대상으로 학교장
추천과 심층면접만을 통해 150명 선발
KAIST는 사교육을 받지 않아, 아직 눈에 띄지 않는, 잠재력 있는 인재를 발굴하고자 함. 학교장에게 성적에 상관없이, 창의성과 리더십이 있는 과학기술분야의 열정 있는 학생 1명씩 추천 요청. 그동안 KAIST에 많이 합격하는 특목고(과학고, 외국어고)는 대상에서 제외.
KAIST는 입학사정관이 직접 학교 현장을 방문하여 학생, 담임선생, 학교장을 면담하고 학습현장 시찰 후 학생 선발. 이 중 10%는 농산어촌 학생, 10%는 저소득층 학생에게 우선 할당.
□ 2010학년도 입시부터 각종 경시대회 성적을 입시에 반영 않기로.
경시대회는 학생들의 지적 도전을 자극한다는 긍정적인 면이 있으나, 일부 경시대회가 상장을 남발, 본래의 취지가 변질되고 있다는 비판이 있음. 또한 초등학교 때부터 경시대회 준비에 대한 사교육이 널리 퍼져, 선행학습 하는 학생이 상을 받는 경향이 있음.
KAIST는 선행 학습을 통해 문제 하나 더 푸는 학생이 20년 후에 국가를 이끌어 갈 것이라 생각하지 않음. 경시대회 성적보다, 창의성과 잠재능력이 있는 학생들을 발굴하여 교육하는 것이 KAIST의 임무라 판단함.
특히 이번에 KAIST 부설학교가 된 한국과학영재학교도 학생 선발방식을 변경할 계획임. 지금까지 다단계 테스트를 거쳐 선발하였으나, 사교육으로 선행학습을 받은 학생들이 많이 입학한다는 비판이 있음. 앞으로는 더욱 학생의 창의성과 잠재력 발굴에 초점을 두겠음. 2010년도 입시에서 선행학습이 요구되는 경시대회 성적 반영 비중을 대폭 줄이고, 그 다음 해인 2011년도 입시부터는 일체 반영치 않음. 입학사정관을 영재학교에도 배치하여, 농어촌에서 잠재력 있는 학생을 찾아 정원의 10% 정도를 선발토록 할 계획임.
□ KAIST가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 발전의 중추적 역할 노력
KAIST 부설학교로 전환된 한국과학영재학교를 개혁하고자 함.
○ 첫째, 교사자격증 유무를 떠나 국내외에서 우수교사를 초빙. 교육 및 연구실적을 바탕으로 한 평가에 따라 인센티브 제도를 강화하고, KAIST 교수의 부설학교 교육 참여를 확대할 예정임.
○ 둘째, 선행학습보다는 탐구 실험교육을 강조하며, 창의성 계발 및 연구중심으로 교과과정을 전면 개편. 2010학년도부터 수학, 과학, 영어 과목 수업은 모두 영어로 진행되며, 외국인 학생과 외국인 교사를 모집하여 국제화할 계획임. 금년 중에 14명의 외국인 교사를 초빙하고, 18명의 외국인 학생을 선발하여, 2010년 2월부터 함께 교육할 예정임.
○ 셋째, KAIST는 한국과학영재학교 운영에서 익힌 영재교육의 know how를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노력.
‘과학영재교육 전문대학원’을 개설하여 교사의 연구능력을 높이는데 기여. ‘과학교사연수센터’를 설치하여 전국의 과학영재학교 및 과학고 교사들에게 첨단연구 실험장비를 경험하는 단기연수 제공.
2009.03.10
조회수 16553
-
변증남칼럼 과학기술교육시스템 개선책
변증남 교수(전기및전자공학과)가 과학기술교육시스템 개선책"이란 제목의 칼럼을
IT일간지 <디지털타임스> 2008년 7월 15일자에 기고했다.
제목 [디지털산책] 과학기술교육시스템 개선책
저자 변증남(전기및전자공학과) 석좌교수
매체 디지털타임스
일시 2008/07/15(화)
칼럼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71502012269614001
2008.07.15
조회수 8469
-
KAIST, 연구계약 및 특허정책 개혁
- 연구 결과물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재산권 기준 적용 - 국내 대학, 기업간 연구 풍토 개선하는 계기 마련- 선행 연구 합리적 보상, 후속 연구 활동 걸림돌 제거우리 학교는 올 3월부터 기업과 연구계약 시 선진대학 수준의 새로운 지식재산권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국내 대학과 기업의 연구 계약은 주로 기업이 요구하는 조건으로 체결되어 왔다. 국내 기업은 연구비를 연구 대가로 인식, 결과물에 대한 기업 소유권과 연구관련 선행기술에 대한 무상 활용을 주장하고 있다. 기업이 연구결과에 대한 특허권을 소유하게 되면 선행 연구에 대한 권리도 침해되고 후속연구 결과도 기업에 종속되어 대학의 연구 활동이 위축된다. 이런 계약 형태는 대학의 기술이 기업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우리 학교는 연구비를 연구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비용 개념으로 인식하고 지식재산권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마련, 기업과 연구계약에 적용키로 했다. 이번에 시행되는 세부 기준은 ▲연구결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KAIST가 단독 소유, 기업에는 라이센싱 옵션권 부여 ▲라이센싱 옵션권으로 전용 또는 통상실시권을 선택시 특허의 출원, 등록, 유지 비용은 기업이 부담 ▲공동소유 특허에 대해서는 기업, KAIST가 상호 승인없이 제3자에게 실시권 부여 가능 ▲전용실시권은 유상으로 독점적 권한을 가지며 제3자에게 실시권 부여 가능 ▲통상실시권은 무상으로 비독점적 권한을 가지며 제3자에게 실시권 부여 불가능 ▲연구수행 이전에 KAIST가 개발하고 보유한 선행 특허를 기업이 사용할 경우 별도 기술실시계약 체결 ▲시작품은 기업이 소유하되, 기자재와 연구시설은 KAIST가 소유한다 등이다. 이번에 실시하는 새로운 기준은 연구 결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대학과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박선원(朴善遠) 산학협력단장은 “연구 결과물에 대한 사용권은 당연히 기업에 있으나 그 결과물 사용에 대한 대가 지급은 필수다. 또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선행연구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우수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연구자에게 최소한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며 “지난해 10월 세계적 IT 기업인 M사가 작성해온 연구계약서를 보면 공동연구에서 연구비는 기업이 부담하고 연구 결과 발생한 지식재산권은 KAIST가 소유하는 조건이었다. 또한 특허권을 확보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기업이 부담하고 기업은 실시권만 가지며, 독점적 실시권의 사용시에는 로얄티에 대한 별도 계약을 체결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다. 현재 국내 기업들과의 연구 계약 조건과는 큰 차이가 있다”라고 말했다.
우리 학교는 1973년부터 기업과 연구 계약을 시작했고, 1974년 처음 특허출원을 했다. 지난해 기업과 연구계약은 292건, 계약 1건당 평균 연구비는 7천만원으로 해가 거듭될수록 계약 건당 연구비도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연구결과로 발생되는 지식재산권에 대해서는 기업이 일방적으로 권리를 취하고 있다. 이런 연구계약 풍토에 대해 수년전부터 이의를 제기해 왔으나, 연구결과물인 특허권은 극히 일부만 학교 단독권리 또는 공동권리로 되고 대부분은 기업 권리로 계약되고 있다.
2008.02.13
조회수 13629
-
변증남칼럼 새 정부에서도 과기정책은 근간
변증남 교수(전기및전자공학과)가 "새 정부에서도 과기정책은 근간"이란 제목의 칼럼을
IT일간지 <디지털타임스> 2008년 1월 22일자에 기고했다.
제목 [디지털산책] 새 정부에서도 과기정책은 근간
저자 변증남(전기및전자공학과) 석좌교수
매체 디지털타임스
일시 2008/01/22(화)
칼럼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12202012269614001
2008.01.22
조회수 7627
-
대외 공식 명칭 “KAIST”로 통일
- 한국과학기술원, 영문 풀네임 등은 사용치 않기로- 명칭혼란 방지와 학교 이미지 명확화 목적우리 학교는 정부부처(예; 과학기술부) 및 연구기관(예; 과학기술연구원 등) 등과의 명칭 혼란을 방지하고, 대외적인 이미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2008년도부터 학교의 공식적인 명칭을 KAIST로 통일한다. 이 방침의 확정까지 KAIST는 학내 전체학과장회의(07.11.30), 정책운영위원회(07.12.3), 학처장혁신전략회의(07.12.10) 등의 심의를 거쳤는데, 이들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학교명칭은 영문 "KAIST"로 통일한다. ▲Full name(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사용하지 않는다. ▲꼭 필요한 경우 외에는 한글 명칭 "한국과학기술원"도 사용하지 않는다. ▲KAIST를 불가피하게 한글로 표기해야 할 경우에는 "카이스트"로 쓸 수 있다. ▲또한, 2008년도부터 KAIST에서 나가는 모든 문서(논문 포함)에는 ‘KAIST’라 명기하며, 일반국민들도 그렇게 불러 주기를 요청하기로 한다. 등으로 교명 사용에 따른 기본원칙과 세부원칙들을 정리했다.
2008.01.10
조회수 21580
-
‘KAIST 책 읽는 밤’ 김훈 작가 초청 강연
- 20일(목) 오후 7시 30분, KAIST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개최우리 학교는 "KAIST 제1회 책 읽는 밤" 행사에 소설가 겸 자전거 레이서인 김훈 작가를 초청, 강연회를 갖는다. 강연은 오는 20일(목) 오후 7시 30분, 교내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진행된다
김훈 작가는 이날 우리 학교 학생들에게 ‘남한산성과 나의 인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며, ‘불멸의 이순신’ 작가인 김탁환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와 학생 대표 4명이 패널로 참석, 김훈 작가와 토론을 펼친다.
우리 학교는 이번 학기부터 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통한 글로벌 리더로서의 기본 소양을 배양시키기 위해 독서마일리지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KAIST 책 읽는 밤" 행사는 이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김훈 작가 프로필>■ 주요경력 - 2002년 한겨레신문 편집국 민권사회2부 기동취재팀 부국장급 - 2000년 시 전문 계간지 편집위원 - 1999년 - 2000년 한국일보 편집국 편집위원 - 1999년 국민일보 편집국 편집위원 - 1997년 시사저널 편집국장, 편집인 이사 ■ 주요수상 - 2005년 황순원문학상 수상 - 2004년 이상문학상 수상 - 2001년 동인문학상 수상■ 주요저서 - 남한산성, 칼의 노래, 빗살무늬토기의 추억, 현의 노래, 자전거 여행 등 다수
2007.09.18
조회수 14488
-
정경원교수, 칠레 디자인 정책세미나 기조 연설
“한국의 디자인 진흥 정책을 칠레에 심는다”KAIST 정경원교수, 칠레 디자인 정책세미나 기조 연설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정경원(鄭慶源, 57) 교수가 오는 7월 24일(화)부터 2일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리는「디자인산업을 위한 공공 정책」세미나에서 기조 연설을 한다.
“공공 디자인 진흥 정책의 발전 모델 - 한국의 경험”이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鄭 교수는 국가 경제발전 정책과 디자인산업 진흥전략의 관련성을 실제 사례를 중심을 발표하게된다.
칠레 정부의 기술협력청(SERCOTEC)과 경제개발청(CDRFO)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디자인 정책세미나는 칠레 정부가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디자인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鄭 교수는 디자인 진흥정책 및 디자인경영 전문가로 2000년 2월부터 2003년 5월까지 한국디자인진흥원장을 역임했다.
2007.07.23
조회수 16155
-
KAIST 총장자문위원회 본격 가동
산.학.연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로 국외 6명, 국내 7명 선임
발전방안 제시, 정책자문, 기금모금 지원 등 본격적인 활동 개시
KAIST(총장 서남표)를 세계적인 과학기술대학으로 만들기 위한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의 본격적인 자문 활동이 시작됐다.
KAIST는 발전 구상(안)에 대한 정책자문을 위해 구성된 KAIST 총장자문위원회(President"s Advisory Council, PAC) 첫 회의를 지난 11월 8일(수) KAIST 교내 본관 회의실에서 가졌다.
이번 회의에서는 KAIST 학교 전반에 대한 소개와 대학별 경영 계획을 발표하고, 교육혁신본부의 학부교육혁신방안과 KAIST 연구원 5개 연구소별 연구 계획을 설명했다. 이 회의에서 자문위원들은 KAIST 발전 구상(안)에 대한 실행 아이템을 논의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조언 했다. 회의 후에는 연구 현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실 2곳도 방문했다.
KAIST PAC은 국내외 산.학.연 정상에 있는 국제적인 경영 경험이 풍부한 저명한 인사들로 구성되었으며, KAIST가 세계 10위권내 대학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발전방안 제시, 정책자문, 기금모금 지원 등 실질적이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KAIST PAC 국외 자문위원은 닐 파파라도(Neil Pappalardo) 메디테크社 회장, 혹 탄 아바고 테크놀리지社 회장, 요시카와 히로유키 일본산업종합연구소 이사장(전 도쿄대 총장), 존 홀츠리히터 패니 앤 존 해르츠 재단 이사장, 이종문 암벡스社 회장, 박병준 뷰로 베리터스 씨피에스社 회장 등 6명이다.
국내 자문위원은 민계식 현대중공업 부회장, 이희국 LG전자 사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이희범 무역협회장, 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 김동진 현대자동차 부회장, 명영식 GS 칼텍스 사장 등 7명이다.
2006.11.10
조회수 12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