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A1%B0%EC%84%A0%EC%9D%BC%EB%B3%B4
최신순
조회순
박철칼럼 나로호 3차 발사 의미 없다
박철 항공우주공학과교수가 조선일보 2010년 6월 14일(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시론] 나로호 3차 발사 의미 없다… 독자개발로 가야 신문: 조선일보 저자: 박철 항공우주공학과교수 일시: 2010년 6월 14일 (월) 기사보기: [시론] 나로호 3차 발사 의미 없다... 독자개발로가야
2010.06.14
조회수 10651
잭팟 당첨금 7억원 전액기부, 안승필씨 인터뷰
조선일보는 지난 15일 강원랜드에서 가장 큰 금액이 당첨되어 이를 모두 우리학교에 기부한 안승필씨와의 인터뷰기사를 5월 28일 인물 13면에 실었다. 제목: "7억 빚 남아있지만 가족도 잘했다 격려" 신문: 조선일보 인물 13면 일시: 2010년 5월 28일 금요일 [기사보기] 7억 빚 남아있지만 가족도 잘했다 격려
2010.05.28
조회수 10834
KAIST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국내1위, 아시아 3위
우리대학은 조선일보가 영국의 대학 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공동으로 실시한 ‘2010년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부분에서 국내1위, 아시아 3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한국 대학들의 논문이 급속히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특히, 우리대학의 논문 수는 지난해 평가에서의 9791편에서 1만3817편으로 41.1%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난 2007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른바 ‘대학 개혁’의 결실이 이제 막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이 평가는 아시아권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국제 고등교육 기관평가로, 올해 평가에는 국내 80개 대학을 포함해 아시아 11국 448개 대학을 대상으로 했다. 평가기준으로는 ▲연구능력(60%) ▲교육수준(20%) ▲졸업생 평판도(10%) ▲국제화(10%) 등 4개 분야를 점수화해 순위를 매겼다. 우리학교는 학계 평가 19위, 교원당 논문 수 17위의 좋은 성적을 거뒀다. 1, 2위 대학들보다 국제화면에서 다소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들어 ‘생활의 국제화 정책’등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에 향후 국제적인 인지도가 더 올라갈 것이다. 올해 평가부터는 의대가 있는지 여부와 대학의 학생규모를 반영해 의대를 포함한 종합대학, 의대 없는 대규모 종합대학,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특성화 대학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따로 순위를 매겼다. 한편, 의대를 포함한 전체 순위 평가에서는 홍콩대가 아시아 1위, 서울대 6위를 차지했고, 의대가 없는 카이스트와 포스텍이 각각 아시아 13·14위로 국내 2·3위였다. 조선일보는 우리학교가 지난해 정보통신대(ICU)와 통합한 후 ‘시너지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아 올해는 순위가 다소 내려갔다며, 하지만 학계 평가(연구능력부문)가 아시아 최고 수준이고 국제화 지표가 상승세라 향후 순위가 올라갈 것으로 예측했다.
2010.05.13
조회수 16757
KAIST 웹사이트 A학점 받았다!
KAIST 웹사이트가 조선일보사 발행월간지 이코노미 플러스와 웹발전연구소가 공동조사한 "대학 웹사이트 품질평가"에서 A학점을 받았다. 양방향 소통의 채널로 중요성이 더해지는 웹사이트에 대한 이번 평가는 100대 기업분야, 정부부처분야, 지자체분야, 대학웹사이트 분야 등으로 분야별 평가를 시도했다. [이코노미플러스]와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교수팀(웹발전연구소)이 공동 실시한 이번 평가에서 KAIST는 총 197개 대학 중에서 한국해양대학교와 함께 총점 100점 만점에 87점으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품질검사 5] 4년제대학 - 부경대, 한국해양대, KAIST "A", 포항공대 둥 주요명문대는 "낙제점"이란 제목으로 보도된 이번 기사에서 총 197개 4년제 대학 웹사이트의 웹접근성, 웹사용성 등의 품질을 평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주요랭킹은 전체 대학 중 5.1%인 10개 대학만이 "양호(A등급)"이었으며, 13.7%(27개)의 대학은 "미흡(B등급)"하다는 평가였다. 나머지 160개 대학은 모두 "매우 미흡(C등급)"에 속했다. 다음은 주요대학 순위(순위 - 합계 - 등급 순) 01위 부경대학교 - 91.5점 - 우수(S) 02위 KAIST, 한국해양대 - 87점 - 양호(A) 04위 충북대학교 - 86점 - 양호(A) 05위 서울기독대 - 83.5점 - 양호(A) 06위 공주대학교 - 82.5점 - 양호(A) 07위 서울대학교 - 80점 - 양호(A) 08위 대구교육대 - 80점 - 양호(A) 09위 한국예술종합학교 - 80점 - 양호(A) 10위 한림대학교 - 80점 - 양호(A) 11위 광주과기원 - 78,5점 - 미흡(B) ... 22위 성균관대학 - 73,5점 - 미흡(B) ... 31위 충남대학교 - 71점 - 미흡(B) ... 37위 연세대학교 - 70점 - 미흡(B) ... 75위 한양대학교 - 65,5점 - 매우 미흡(C) 77위 이화여자대 - 65,5점 - 매우 미흡(C) ... 90위 고려대학교 - 64점 - 매우 미흡(C) ... 125위 포항공대 - 61점 - 매우 미흡(C) 129위 부산대학교136위 - 60.5점 - 매우 미흡(C) 136위 숭실대학교 - 60점 - 매우 미흡(C) ... 154위 숙명여대 - 58점 - 매우 미흡(C) 162위 한동대학교 - 57.5점 - 매우 미흡(C) 195위 홍익대학교 - 50,5점 - 매우 미흡(C) 관련기사보기 (조선일보 발행 월간지 이코노미PLUS 2010년 2월호)이코노미플러스 & 웹발전연구소 공동조사 100대 기업•정부부처•지자체•대학 웹사이트 품질 평가 월간지 이코노미Plus 2010년 2월호 인터넷판 기사이미지
2010.03.04
조회수 13956
입학사정관전형 합격 조민홍 학생 조선일보 보도
조선일보 2010년 2월 22일자 D섹션(교육/입시) 7면에서는 카이스트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선발된 조민홍 학생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실었다. 기사는 요즘 교육계가 "입학사정관제"로 떠들썩하다면서, 일찌감치 자신이 좋아하는 것, 취미를 찾아내 꾸준히 자신만의 "특별한 포트폴리오"를 쌓은 대표적 학생으로 조민홍 KAIST 2010 신입생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제목: "취미 살렸더니 비교과 활동 저절로 해결됐죠" 일시: 2010.2.22(월) 매체: 조선일보 면수: 교육섹션(D7면) 기자: 오선영 맛있는 공부 기자 syoh@chosun.com 관련기사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21/2010022100508.html 조민홍 학생은 이미 KAIST 입학사정관제 전형 합격으로 아주 유명해졌다. 많은 언론매체에서 그에 대한 보도가 소개된 바 있으며, 지난 1월 20일에는 창의력과 성장잠재력을 인정받아 교육과학기술부가 수상하는 대한민국 인재상 100명에 포함되기도 했다. 조민홍 학생에 대한 관련 보도내용 로봇, 꿈이 들려준 삶의 진실 2010-2-5 전자신문 "입학사정관제 합격자 학교 적응 돕자" 2009-9-29 조선일보 대진정보통신고 로봇동아리-로봇피아.. 세계대회 우승한 무서운 학생들 2009-9-3 부산일보 CBS <김현정의 뉴스쇼> 대담 조민홍 군 2009-8-13 FM 98.1 CBS라디오 장난감 로봇 만들던 실업고생 카이스트 간다 2009-8-12 부산일보 KAIST합격생들 이력도 톡톡튀네 고교 발명왕, 로봇박사 등 2009-8-12 한국일보 로봇에 빠진 전문계 고교생도 전교 30등 ‘발명왕’도 KAIST에 2009-8-11 중앙일보
2010.02.22
조회수 11978
김미경칼럼 융합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우리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김미경 교수가 조선일보 2010년 2월19일(금)자에 칼럼을 게재했다. 제목: [ESSAY] 융합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매체: 조선일보 저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일시: 2010/2/19 금 칼럼보기 [ESSAY] 융합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2010.02.19
조회수 10500
서남표칼럼 중국 대학들은 세계 톱 10 된다는데
서남표 총장이 조선일보 2010년 2월 8일(월)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 [시론] 중국 대학들은 세계 톱 10 된다는데 저자 : 서남표(KAIST 총장) 일시 : 2010/2/8(월) 칼럼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07/2010020700799.html
2010.02.08
조회수 9943
최병규 교수, 미국 과학정보연구소(ISI)의 자주 인용된 논문 연구자(HCR)로 선정
조선일보 1월4일자 보도에 따르면 우리학교 산업 및 시스템 공학과 최병규 교수가 "자주 인용된 논문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 HCR)"로 선정됐다. 네 번째 한국인이다. 기사보기 제목 : [오늘의 세상] "자주 인용된 논문 연구자" 네번째 한국인 탄생 매체 : 조선일보 (종합 2면) 일시 : 2010년 1월 4일자 조간 홍콩=이향수특파원(khwoo@asiae.co.kr)
2010.01.04
조회수 11750
서남표칼럼 대한민국, 기적은 지금부터다
서남표 총장이 조선일보 2009년 12월16일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아침논단] 대한민국, 기적은 지금부터다 저자: 서남표(KAIST 총장) 일시: 2009/12/16 칼럼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2/16/2009121602000.html
2009.12.21
조회수 8452
김우식칼럼 세종시의 "외투벗기기"
김우식 KAIST 초빙특훈교수(前 연세대 총장, 前 과학기술부총리)가 조선일보 2009년 11월 23일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시론] 세종시의 "외투 벗기기" 매체: 조선일보 저자: 김우식(KAIST초빙특훈교수) 일시: 2009/11/23 칼럼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1/22/2009112200705.html
2009.11.23
조회수 7940
서남표칼럼 뛰어난 과학-공학자를 기르는 법
서남표 총장이 조선일보 2009년 11월12일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아침논단] 뛰어난 과학-공학자를 기르는 법 매체: 조선일보 저자: 서남표(KAIST 총장) 일시: 2009/11/12 칼럼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1/11/2009111101536.html
2009.11.16
조회수 9001
조선일보 사설] 가능성보여준 KAIST의 사정관제
국내 유력일간지 조선일보가 우리학교의 학사과정 입시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설을 실었다. 조선일보는 2009년 9월 15일자 사설로 "가능성 보여준 KAIST의 "사정관제+고교추천"입시"라는 제목을 통해 우리학교의 2010학년도 학사과정 1차모집(학교장추천전형)제도를 상세히 소개하며 고교생의 종합잠재력을 평가하는 새로운 시도로 주목할만하다고 높히 평가했다. 조선일보 사설(2009/09/15) 전문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9/14/2009091401851.html
2009.09.15
조회수 7610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