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재난학교(Disaster Haggyo) 개최
우리 대학 과학기술정책대학원(원장 최문정)의 스콧 게이브리얼 놀스(Scott Gabriel Knowles교수 연구팀이 지난 14(일)부터 21(일)까지 8일 간 '재난 학교(Disaster Haggyo)'를 개최했다.
전 세계 각지의 연구자, 활동가, 예술가를 초청해 국제 행사로 진행한 재난 학교는 재난학 분야에서 현장에 응답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해 기획됐다. 실제 재난이 벌어졌거나 아직 재난이 종결되지 않은 현장에서 살아가는 공동체와 함께 재난을 새롭게 이해하고 상호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참가자들은 14일부터 이틀간 우리 대학에서 재난학교를 아우르는 중요한 개념과 재난 정의(Justice), 재난 인류학, 인류세 (Anthropocene), 재난 저널리즘, 재난과 예술, 재난 교육 등 방법론에 관한 강연에 참석했다.
행사 첫날인 14일 스콧 게이브리얼 놀스 교수(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겸 인류세 연구센터 부센터장)는 개회사를 통해 ▴재난 정의(正義) ▴인류세 ▴상호 도움 ▴기억의 형성 등을 재난학교를 통해 생각해보고자 하는 네 가지의 큰 개념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상호 도움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서는 "재난 연구는 대학의 경계를 넘어 여러 사람이 같이 머리를 맞대는 연구 공동체를 향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놀스 교수는 "연구의 주제뿐 아니라, 연구 과정에서도 새로운 방식을 생각해봐야 한다"라고 역설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박범순(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겸 인류세 연구센터 센터장)교수는 "식민주의, 한국 전쟁과 냉전의 맥락에서 동아시아 및 한국의 재난을 생각해볼 것"을 당부하며, "재난의 희생자와 기억을 재현(representation)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전제 아래 어떻게 하면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는 도전 과제를 제기하며 재난학교의 포문을 열었다.
16일부터는 안산으로 재난 학교의 장소를 옮겼다. 안산에서 재난학교는 단원고 일대와 4.16 기억교실, 4.16생명안전공원 부지 등을 방문해 세월호 참사 유가족 및 관련 단체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현존하는 재난 현장들이 추모 사업뿐 아니라 세월호 참사에 대한 과학적 분석 및 조사 과정과 어떻게 뒤얽혀 있는지 연구해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18일부터는 제주로 이동해 4.3 사건과 관련된 오랜 문제들과 현재 심화되고 있는 제주의 환경 문제들을 동시에 탐구했다. 희생자 유해 수습이 여전히 완료되지 않았을 정도로 오랫동안 침묵 속에 갇혀 있던 4.3 사건에 대한 교육과 추모 활동의 일환으로 4.3 평화공원과 4.3 평화기념관을 방문했다. 또한, 제주도에서 벌어진 오래된 폭력의 역사가 관광산업, 신재생에너지테스트베드 등으로 인해 새롭게 생겨난 환경 문제들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관해 해양환경단체, 생태해설사, 에너지 전문가 등 제주도 지역의 전문가들을 직접 만나는 시간도 가졌다.
이번 재난 학교에 참여한 최승찬(전산학부 학사과정) 학생은 "지역과 활동 분야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들이 모여 재난학에 관해 활발히 논의하며 재난학의 사회적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이 활동이 사회공동체의 어떤 이익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남아 있어서 과학기술정책대학원의 석사 과정을 막 시작하는 학생으로서 많은 생각과 고민을 더하는 경험이었다"라고 전했다.
참가자들은 행사가 종료된 후에도 긴밀히 교류하며 상호 협력의 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며, 그 첫 번째 시도로 재난학교 참여 경험을 담은 에세이집 혹은 잡지 발간 등을 기획 중이다.
한편, 올해 처음으로 열린 재난 학교는 과학기술정책대학원, KAIST 인류세연구센터, 미국 사회과학연구위원회(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의 후원을 받았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ts Council Korea)의 드리프팅 커리큘럼(Drifting Curriculum),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Framer Framed(미술, 시각 문화, 비판적 이론 및 실천 플랫폼)와도 함께 여러 세션을 기획했다.
이번 재난 학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기술정책대학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로가기 링크 → https://stp.kaist.ac.kr/announcements/view/id/1203#u )
2022.08.26
조회수 1478
-
배상민 교수, 독일 iF 어워드 패키지부문 본상 수상
우리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배상민 교수 연구팀(ID+IM 디자인 연구소)이 ‘제주용암수’ 생수병 디자인으로 세계 최고권위 디자인 대회인 2020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패키지 디자인 부문 본상을 받았다.
독일 하노버전시센터(Hannover Exhibition Center)에서 주관하는 iF 디자인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 대회 중 하나로, 60개국 7천 점 이상의 작품이 출품된다. 수상한 ‘제주용암수 디자인’은 ㈜오리온 제주 용암수와 KAIST와의 산학 협력으로 이루어진 프리미엄 미네랄 생수 디자인 프로젝트이다. 배상민 교수팀이 디자인한 생수병은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모티브로 주상절리와 바다의 수평선을 형상화한 세로 선과 가로섬을 활용해 단순하면서도 감각적인 디자인을 완성했다.
나아가 이러한 병의 형태는 획기적으로 적은 양의 재료를 사용함에도, 일반적인 형태의 플라스틱병에 비해 약 4배 정도의 고압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심미적 영역뿐 아니라 기능적 영역에서도 뛰어난 우수성을 보인다. 병 라벨에는 물을 통해 투과돼 보이는 신비로운 한라산과 밤하늘에 빛나는 오리온 별자리를 담아 제주 한라산의 낮과 밤을 감성적으로 그려냄과 동시에 ㈜오리온의 브랜드를 상징화했다.
배상민 교수는 “ 먼저 학생들과 산학 프로젝트로 연구한 결과물을 상품화해 대량생산되고 그 결과가 국제적 디자인 대회에서 인정받아 기쁘다”라며 제조 및 유통 공정상 디자인에 제약이 많은 상황이었지만 구조 및 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고안과 외형의 아름다움까지 표현하려 노력을 기울였다”라고 말했다.
2020.02.18
조회수 5184
-
전 세계 뇌 과학자 한자리에 모인다
전 세계 뇌 과학자가 모여‘뇌와 IT 융합연구의 미래’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우리 대학과 한국계산뇌과학회는 다음달 2-7일 제주도 서귀포시 국제컨벤션센터 제주(ICC Jeju)에서‘제25회 국제 계산뇌과학회 연례회의(25th Annual Computational Neuroscience Meeting)'를 연다.
아시아에서는 처음 열리는 이번 회의는 국제계산뇌과학회(CNS)가 주최하는 행사 중 가장 큰 국제행사로 33개국 350여 명의 학자와 연구자가 참여한다.
바이오및뇌공학과 정재승 교수가 아시아 지역 대표 주관자로 참여하는 이번 행사에는 기조강연자와 연구자 등 총 70여 명이 참여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첫 기조강연자로 나선 미국 시카고대학교 니콜라스 브루넬 교수는‘외피회로에서 학습규칙 추론을 위한 피질 계산과정’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이어 △ 미국 솔크연구소 탓티아나 샤피 교수의‘신경회로 내의 세포 타입 이종성의 기능적 이점’△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알랭 덱스텍 교수의‘시각피질 신호 전파의 중간 레벨 모델링’ △ 일본 고등통신연구소(ATR) 미쯔오 카와토 교수의‘정신질환의 동적 상태와 바이오 마커’등의 기조강연도 열린다.
이와 함께 6-7일에는 총 7개 분과에서 65명의 발표자들이 연사로 참여해 그룹별 워크숍을 개최한다. 그룹별 주제는 △ 계산 뇌과학의 정보이론 △ 뇌 커넥톰 △ 신경신호의 통계적 분석 △ 통합 피질 모델 △ 신경망의 동적 이론 △ 피질의 기능적 네트워크 분석 △ 실시간 뇌전도 등이다.
이번 행사의 상세정보는 홈페이지(http://www.cnsorg.org/cns-2016-jeju)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끝.
□ 행사 포스터
2016.06.30
조회수 7390
-
KAIST 이상엽 특훈교수, 다보스포럼 세션 주관
- 아이디어랩 주관 및 지속가능한 화학 산업을 위한 전략 발표 -
우리 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에 참석한다.
다보스포럼은 전세계 기업인, 정치인, 학자, 언론인 등이 세계경제를 비롯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전략 등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모임이다.
전 세계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올해는 경제 위기를 벗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 ‘세계의 재편 : 정치, 기업, 사회에 대한 영향(The reshaping of the world : consequences for society, politics and business)’을 주제로 정했다.
이 교수는 22일 다보스포럼 본회의장에서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과 ‘실험실에서 생명(From lab to life)’을 주제로 아이디어랩 세션을 주관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3명의 교수들과 나노테크놀로지를 이용한 경량의 고내구성 물질, 게놈을 읽고 쓰는 것, 무선 생체진단 시스템 등 대해 토론한다.
이와 함께 세계 굴지의 기업총수들이 참석하는 ‘지속가능성, 혁신과 성장’ 세션에 초청돼 떠오르는 기술 및 특히 생명공학기술이 미래 사회와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 지에 대해 발제한다. 그리고 특별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인 세계 화학 산업 최고경영자 모임에 참석해 바이오기반 화학 산업과 환경 친화적 기업으로의 변화에 대해 토론을 벌이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할 예정이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2012년 세계경제포럼 미래기술 글로벌아젠다카운슬(Global Agenda Council, GAC) 의장을 맡아 10대 떠오르는 기술들을 선정하고 발표한 바 있으며, 2013년 생명공학 글로벌 아젠다 카운슬 초대 의장을 맡았다.
2014.01.20
조회수 13011
-
우성주 칼럼 제주語엔 옛 우리말 숨쉰다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3월 2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제주語엔 옛 우리말 숨쉰다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3월 2일(수)
기사보기: 제주語엔 옛 우리말 숨쉰다
2011.03.02
조회수 7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