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과학기술대학, 하버드대 뇌과학센터와 연구협력 양해각서 체결
우리대학 생명과학기술대학은 미국 하버드대학교 뇌과학센터와 뇌연구분야 공동연구, 연구원 교류를 포함하는 양해각서를 최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세계적으로 뇌연구를 주도하는 하버드대학교 뇌과학센터(소장 케네스 블럼( Kenneth Blum))와 체결한 양해각서에는 연구협력, 교수, 연구원, 학생의 교환, 연구 인프라와 연구재료 공동 활용, 국제적인 연구과제의 공동수주 등에 관한 협력을 담고 있다.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상엽 KAIST 생명과학기술대학장은 “양기관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이 세계 선두권의 뇌연구팀들이 힘을 합쳐 뇌과학 및 뇌공학 연구에서 큰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창의적 융합연구가 강한 KAIST 생명과학기술대학은 바이오 및 뇌공학과와 생명과학과를 중심으로 뇌과학 및 뇌공학 연구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KAIST는 이번에 체결된 하버드대학교 뇌과학센터와의 협력 이외에도 일본 RIKEN 뇌연구소, 미국 에모리대학,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등과의 협력도 진행중이다.
KAIST는 이러한 전세계 뇌연구 네트워크에 더하여 서울아산병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K 주식회사 등 이미 가동중인 국내 유수기관과의 협력연구가 가시화되면서 상호 보완 구도의 뇌융합연구를 선도할 수 있게 되었다.
2009.07.21
조회수 15599
-
정경원 교수, 도쿄에서 디자인 경영 강연
우리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정경원(鄭慶源, 59) 교수가 23일 일본 도쿄 아키하바라에서 개최되는 ‘기업 경영을 위한 디자인의 기여’ 라는 세미나에서 기아자동차와 아시아나 항공의 디자인 경영 사례를 중심으로 기조연설을 했다.
교토공과대학교(Kyoto Institute of Technology)가 주최하고, 일본산업디자인진흥기구, 일본디자인재단, 일본산업디자이너협회 등이 후원하는 이 세미나는 일본의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최근의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디자인 경영의 역할을 일깨우기 위해 개최된다. 鄭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디자인 산업의 발전과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에서 디자인 경영이 핵심역량을 육성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강조해 오고 있다.
2009.01.29
조회수 11772
-
도윤선씨, 국제디스플레이학회 "우수 포스터 논문상" 수상
전기 및 전자공학전공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도윤선씨(지도교수 최경철 교수)가 지난 8일(금) 일본 오쓰에서 열린 "IDW 2006"학회에서 우수 포스터 논문상(Outstanding Poster Paper Award)을 수상했다.
도윤선씨는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의 암 잔상과 리셋 방전과의 관계 연구(Relationship between IR Emission of Reset Discharge and Image Retention in AC PDP)" 논문 발표로 이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도씨는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영상의 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일시적 잔상 현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2006.12.21
조회수 14693
-
전자전산학과, Sony 인턴십 프로그램 체결
KAIST 전자전산학과(학과장:이용훈, BK21정보기술사업단)은 지난 3월 7일 SONY Japan社과 인턴십 프로그램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KAIST 학생들에게 일본 기업의 IT 기술개발 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해외취업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특히, 이번 SONY 인턴쉽 프로그램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KAIST 전자전산학과와 첫 계약 체결 후 실시하는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인턴쉽 프로그램은 선발 후 3개월간의 인턴십과정 동안 경비전액을 지원받으며, 정규직 선발의기회도 함께 부여된다.
이번 협약을 주도한 이용훈 전자전산학과장 겸 BK21정보기술사업단장은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학교 학생들이 해외 IT 기업 문화의 현 주소와 더불어 각 나라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 KAIST 전자전산학과 이용훈 학과장(왼쪽)과 Sony Japan사의 Yasuhiro Chigusa( General Manager, R&D Human Resource Dept., Corporate Human Resources)
내용제공 : BK21 정보기술사업단 김미영 선생(T. 042-869-8502)
2005.03.21
조회수 15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