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9D%B4%ED%99%8D%EA%B7%9C
최신순
조회순
국내 소셜 비즈니스 기업인 KAIST에 모인다
국내 소셜 비즈니스의 최근 동향과 미래 흐름을 알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KAIST 사회기술혁신연구소(소장 이홍규)는 11월 4일(수) 오후 교내 KI빌딩 메트릭스홀에서 소셜 비즈니스 기업인과 관련 분야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기술혁신 심포지엄’을 연다. ‘소셜 비즈니스(Social Business)’는 환경문제 ‧ 소득불평등 ‧ 고령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 활동을 말한다. 일반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비영리기관의 사회봉사활동을 넘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일련의 활동을 지칭한다. ‘기업의 기술역량과 소셜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사회적 벤처기업 ․ 중견기업 ․ 대기업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소셜 비즈니스의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 기술을 이용한 소셜 비즈니스 전략 ▲ 비즈니스 모델과 소셜 비즈니스 ▲ 대기업의 소셜 비즈니스 전략 세션으로 나눠 발표와 토론이 진행한다. 먼저 KAIST 사회기술혁신연구소의 이홍규 교수와 임홍탁 교수가 기조강연자로 나서‘소셜 비즈니스에서 기술의 역할 :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 김찬중 나눔과 기술 공동대표, 김준호 심원테크 대표, 이준서 에코준 대표, 김정헌 언더독스 대표, 박종범 농사펀드 대표, 권중현 CJ경영실 사회공헌담당 상무, 박성훈 SK사회공헌위원회 매니저 등이 발표자로 참여한다. 이들은 ▲ 사회혁신용 아이템 발굴을 위한 플랫폼 구축 : 개도국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재제조(Remanufacturing)기술과 장애인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 소셜 비즈니스 전략 ▲ 디자인 기술을 이용한 소셜 비즈니스 전략 ▲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과 소셜 비즈니스 전략 ▲ 농사 크라우딩 펀드 : 농민과 소비자의 위험 공유 ▲ CJ의 사회적 가치창출 : 사업을 통한 사회공헌 ▲ 새로운 모색, 사회성과 인센티브 등 소셜 비즈니스의 현장 경험과 기술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이홍규 KAIST 사회기술혁신연구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소셜 비즈니스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라며“자본주의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생적으로 시작된 소셜 비즈니스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알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의 소셜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자는 누구나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이 가능하며 참가비는 무료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산업통상자원부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마련됐다. 끝.
2015.10.30
조회수 6963
사회기술혁신연구소, 점자 프린터 기술 등 ‘따뜻한 기술’ 성과 전시회 개최
우리 대학 사회기술혁신연구소(소장 이홍규)는 20일(금) 오전 10시 본교 창의학습관 로비에서 ‘따뜻한 기술 및 아이디어 팩토리 성과 전시회’를 연다. 이번 전시회에는 사회현안 해결을 위해 ‘KAIST 아이디어 팩토리’소속 학생들이 개발한 제품과 중소기업들이 사업화한 제품 등 총 29종의 제품이 전시된다. 대학생 창업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개방형 제작 공간인 ‘아이디어 팩토리'는 이번 전시회에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프린터 ▲ 선박 침몰사고에 대비한 과산화수소 산소 호흡기 ▲ 교육용 3D 프린터 등 19종의 제품을 출품했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프린터] [선박 침몰사고에 대비한 과산화수소 산소 호흡기] 중소기업 전시제품으로는 ▲ 탈․부착이 가능한 휠체어 보조 동력장치 ▲농산물 도난 방지 시스템 ▲ 방범용 조명 창 등 10개 제품이 전시됐다. 이와 함께 KAIST는 오후 1시 교내 KI 빌딩에서 ‘기술혁신과 사회 혁신의 융합-사회기술 혁신’을 주제로 사회기술혁신 심포지엄도 연다. 이홍규 KAIST 사회기술혁신연구소장이 기조 강연자로 나서‘사회기술혁신의 의미 :시스템 전환’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최혁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기획관리본부장이 ‘한국 사회적 경제조직들과 사회기술’, 김제선 풀뿌리 사람들 상임이사가 ‘사회혁신과 사회적 경제의 모색’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이홍규 KAIST 사회기술혁신연구소장은 “이번 전시회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따뜻한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학생들과 중소기업들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아이디어를 내고 사업화하는데 지속적인 지원을 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2014년 설립된 KAIST 아이디어 팩토리는 KAIST 재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제품화 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있다. 지난해 재학생들이 개발한 교육용 3D 프린터 기술을 사업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끝.
2015.03.20
조회수 7640
이홍규칼럼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11월 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1월 3일(수) 기사보기: 인문학이란 마법을 생각해 볼 때
2010.11.03
조회수 9082
이홍규칼럼 지금은 찬사를 사양할 때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10월 1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지금은 찬사를 사양할 때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10월 13일(수) 기사보기: 지금은 찬사를 사양할 때
2010.10.13
조회수 7956
이홍규칼럼 한국 사회의 이중적 행태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9월 15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한국 사회의 이중적 행태 신문: 동아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9월 15일(수) 기사보기: 한국 사회의 이중적 행태
2010.09.15
조회수 8127
이홍규칼럼 두려움이 혁신과 도약을 낳는다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8월 4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두려움이 혁신과 도약을 낳는다 신문: 동아일보 저자: 이홍규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년 8월 4일(수) 기사보기: 두려움이 혁신과 도약을 낳는다
2010.08.04
조회수 7915
이홍규칼럼 소통의 세 가지 길
이홍규 IT경영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10년 7월 14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소통의 세 가지 길 신문: 중앙일보 저자: 이홍규 IT경영학과 교수 일시: 2010년 7월 14 (수) 기사보기: 소통의 세 가지 길
2010.07.14
조회수 8531
이홍규칼럼 두려움이 혁신과 도약을 낳는다
이홍규 IT경영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6월 28일(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두려움이 혁신과 도약을 낳는다 신문: 동아일보 저자: 이홍규 IT경영학과 교수 일시: 2010년 6월 28 (월) 기사보기: 두려움이 혁신과 도약을 낳는다
2010.06.28
조회수 6930
이홍규칼럼 이규혁선수와 한국의 기업문화
우리학교 이노베이션(Innovation) 학부의 이홍규 교수(경영과학과)가 국민일보 2010년 2월24일자(수) 국민일보에 칼럼을 게재했다. 제목 [경제시평] 이규혁선수와 한국의 기업문화 저자 이홍규(경영과학과) 교수 매체 국민일보 일시 2010/2/24(수) 칼럼보기[경제시평] 이규혁 선수와 한국의 기업문화
2010.02.24
조회수 9963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