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광현 교수, 뉴욕 스프링거출판사 ‘시스템생물학 백과사전’ 편집위원장으로 선임
우리대학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38)가 뉴욕 스프링거(Springer)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시스템생물학 백과사전’의 편집위원장(Editor-in-Chief)에 최근 선임됐다고 밝혔다.
조교수는 영국, 독일, 미국의 석학 3명과 함께 공동 편집위원장으로 선임됐으며 섹션별 편집위원을 선임하고 전체 집필과정과 편집을 주관하게 된다.전 세계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모든 연구성과를 집대성함으로써 ‘시스템생물학 백과사전(Encyclopedia of Systems Biology)’을 집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 백과사전은 약 6-12권, 10,000 페이지 분량으로 2011년 발간예정이다.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한 조교수는 1999년부터 공학과 생명과학의 융합학문인 시스템생물학 분야를 IT의 새로운 응용분야로서 독자적으로 개척했으며 다수의 국제적인 연구성과를 도출했다.
2009.07.08
조회수 16479
-
서울 디자인의 모든 것, KAIST에 맡겼다!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서울특별시의 디자인정책을 총괄하는 임기 2년의 디자인서울 총괄본부장으로 우리학교의 정경원 교수를 최종결정했다고 5월 22일 밝혔다. 산업디자인학과에 재직 중인 정경원 교수는 서울대와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미국 시라큐스대 석사,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대 박사를 취득했다. 또한 한국디자인진흥원장, KAIST 대외협력처장, 세계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 집행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2월부터 현재까지 서울디자인재단 이사로 일해 왔다.
부시장급에 해당하는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은 서울시가 그동안 기초를 닦아온 공공디자인 분야와 서울의 디자인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확대하는 등 디자인시정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서울시의 외부전문가 영입을 위한 공개채용 절차를 거쳐 결정된 이번 인사에서 정경원 교수는 초대 본부장이었던 서울대 권영걸 교수에 이어 두 번째로 서울시의 디자인총괄을 맡게 됐다. 앞으로 정경원 디자인서울 총괄본부장은 디자인 경영혁신 마인드를 창의시정에 접목시켜 시민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서울디자인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며, 디자인서울의 글로벌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의 일을 맡게된다.
서울시는 민선4기 출범 직후 디자인서울총괄본부를 신설해 운영했다. 이는 중앙정부 및 타 지방자치단체에도 ‘디자인’이라는 화두를 확산시켰으며 공공기관의 디자인정책에 대한 관심도 불러일으켰다. 최근 서울시는 2년간 WDC 2010 선정, SDO 개최,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확립, 서울브랜딩체체 구축 등 디자인서울을 정착시켜 왔다.
한편 정경원 교수는 정해진 공무원 임용 절차를 거쳐, 6월초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공식적인 업무에 들어갈 예정이다.
2009.05.26
조회수 17406
-
총동문회장에 이상천 박사 취임
제19대 KAIST 총동문회장에 이상천(李相天, 57) 한국기계연구원장이 취임했다. 임기는 2년이다.
李 동문회장은 지난 1976년에 KAIST 기계공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테크노파크 이사장과 영남대학교 총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민간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맹호장(2004), 대통령 표창(2006), 청조근정훈장(2008) 등을 수여했다.
국제학술제 게재논문 15편, 국내학술지 게재논문 32편,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21편이 있다.
2009.01.22
조회수 17021
-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KAIST 부설학교로 전환
- 한국 과학영재교육을 선도하는 세계적 수준의 과학영재 교육기관으로의 도약 목적
- 22일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관련 양해각서 체결
내년 3월 1일부로 부산 소재의 한국과학영재학교가 KAIST 부설학교로 전환된다.
한국 과학영재교육을 선도하는 세계적 수준의 과학영재교육기관으로의 도약이 목적이다. 이와 관련한 양해각서 체결식이 서남표 KAIST 총장, 설동근 부산광역시 교육감, 권장혁 한국과학영재학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2일 오전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있게 된다.
KAIST 부설학교로 전환 후 학교명칭은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가 되며, 학교장은 KAIST 총장이 임명한다. 학교의 교직원은 KAIST 소속 교직원이 되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학교시설, 부지 및 소유재산은 관계 법령에 따라 KAIST에 무상 양여하게 된다.
관련 후속 조치와 협의 등은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장과 부산광역시교육청 기획관리국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여 구성되는 실무위원회에서 다루게 된다.
2008.05.22
조회수 20293
-
정경원교수, 학과발전기금으로 1000만원 기부
산업디자인학과 정경원교수가 지난 4월1일 학생들과 학과 발전을 위해 써 달라며 학과발전기금으로 1000만원을 기부하였다.
정경원교수는 1984년 부임하여 1986년 산업디자인학과를 만드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이공계 산업디자이너의 양성에 앞장선 정교수는 2000-2003년 민간디자인 전문가로서는 최초로 한국디자인진흥원장으로 선임되어 재무구조 개선 및 조직문화를 혁신하였고, 세계적인 디자인대회들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또한 국가적 차원의 진흥 정책과 교육을 통해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2003년 개인부문 최고상인 은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에서는 ‘후배와의 차 한잔’이라는 슬로건 아래 학과발전기금 모으기 운동을 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많은 졸업생들과 교직원들이 동참하여 좋은 시작을 보이고 있다.
이 기금은 학과 교육환경 개선 등에 활용된다.
2008.04.11
조회수 16062
-
전산학과 황규영 교수, 세계적인 VLDB 저널의 수석 편집위원장으로 선임
우리 학교 전산학과 황규영 교수가 VLDB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Very Large Databases)의 수석 편집위원장으로 선임됐다. 이 저널의 수석 편집위원장은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뛰어난 연구 업적을 쌓은 학자들 중에서 선출된다.
황교수는 1990년 VLDB 저널의 창간에 참여하여 13년간 창간 편집위원으로 공헌하였으며, 2003년부터는 편집위원장, 2007년부터는 3인의 편집위원장 중 수석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적 거장들인 필립 번스테인 박사와 크리스틴 젠슨박사와 함께 저널의 방향을 이끄는 중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저널은 ACM TODS(ACM Transactions on Database Systems)와 더불어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쌍벽을 이루는 세계 최고의 저널로서, 관련 저널 중에서 가장 높은 impact factor(3.289)를 보유하고 있다.
2007.12.31
조회수 19803
-
서남표 총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 취임
<동정> 서남표 KAIST 총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 취임
서남표(徐南杓) KAIST(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이 최근 한국공학교육
인증원(ABEEK) 제3대 원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전임원장의 잔여기간인
내년 6월12일까지다.
사단법인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과 자문을
시행함으로써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지난 1999년 8월에 설립되었다
2007.10.02
조회수 15712
-
정경원교수, 칠레 디자인 정책세미나 기조 연설
“한국의 디자인 진흥 정책을 칠레에 심는다”KAIST 정경원교수, 칠레 디자인 정책세미나 기조 연설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정경원(鄭慶源, 57) 교수가 오는 7월 24일(화)부터 2일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리는「디자인산업을 위한 공공 정책」세미나에서 기조 연설을 한다.
“공공 디자인 진흥 정책의 발전 모델 - 한국의 경험”이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鄭 교수는 국가 경제발전 정책과 디자인산업 진흥전략의 관련성을 실제 사례를 중심을 발표하게된다.
칠레 정부의 기술협력청(SERCOTEC)과 경제개발청(CDRFO)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디자인 정책세미나는 칠레 정부가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디자인산업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鄭 교수는 디자인 진흥정책 및 디자인경영 전문가로 2000년 2월부터 2003년 5월까지 한국디자인진흥원장을 역임했다.
2007.07.23
조회수 19696
-
전산학전공 황규영 교수, IEEE ICDE 최고논문상 심사위원장에 선임
전산학전공 황규영(黃奎永, 54) 교수가 올해 미국 조지아주 아틀란타에서 열리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인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 Engineering (ICDE 2006)에서 Best Paper Award Committee 위원장에 선임됐다.
IEEE ICDE 학술대회는 올해로 22년의 역사를 갖는 학술대회로,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 Bases(VLDB) 및 ACM SIGMOD International Confrence on Management of Data 학술대회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3대 톱 학술대회이다.
Best Paper Award Committee는 ICDE 2006 학술대회에서 채택된 모든 연구 논문들 중에서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하는 위원회로, 일반 최우수 논문과 학생 최우수 논문을 별도로 선정한다.
黃교수는 세계 정상급 석학 6인을 위원으로 선정하여 이 위원회를 이끌어가게 된다. 黃교수는 2005년에는 VLDB 2005 학술대회에서 10-Year Best Paper Award 선정 위원(5인 위원회) 및 Best Paper Award 선정 위원(6인 위원회)으로 동시에 위촉된 바 있다. 또한, VLDB 2003 학술대회에서 10-Year Best Paper Award 선정위원, 2004년부터 IEEE ICDE에서 Influential(10-Year Best)Paper Award 선정위원으로 활동해 오고 있다.
2006.02.27
조회수 19944
-
노벨물리학상 심사위원 초청특강 개최
우리학교는 노벨물리학상 심사위원장을 지낸 나노분야의 석학 맷 존슨 교수를 초청, 알프레드 노벨, 노벨상과 선정절차(On Alfred Nobel, his Prize and the Selection Process)를 주제로 특강을 개최한다.
29일(화) 오후 4시 30분부터 1시간동안, 교내 창의학습관 1층 터만홀에서 개최될 이번 강의에서 맷 존슨 교수는 노벨이 다이나마이트를 발명했던 1866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노벨상의 전 과정을 소개한 후, 오늘날 노벨상 수상자 선정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를 노벨물리학상 기준으로 설명하게 된다.
1947년 스웨덴의 할름스타드(Halmstad)에서 태어난 맷 존슨(Mats Jonson) 교수는 고텐부르그(Gothenburg)의 찰머스 공대(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를 다녔으며, 1978년에 이론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부터 2004년까지 모교 교수로 지내다 올해부터 고텐부르그 대학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1996년부터 현재까지 스웨덴 한림원 정회원이며 노벨물리학상 심사위원을 맡고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간 노벨물리학상 심사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다음은 강연 요약본과 맷 존슨 교수 약력
The Nobel Prize in Physics - On Alfred Nobel, his Prize and the Selection Process
Mats Jonson /
Department of Physics, Gothenburg University, Sweden /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Alfred Nobel invented dynamite in 1866 and later built up companies and laboratories in more than 20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On November 27, 1895, he signed his last will and testament in Paris. Among its four closely-written pages, less than one referred to the donation which was destined to link his name with the supreme achievements of the modern world in science and literature, and the causes for peace. Nobels decision to donate most of his enormous fortune to prizes for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se areas was at first not very popular, neither among parts of his family nor the Swedish establishment or the institutions who ? without having been consulted ? he had chosen to select the recipients of the Nobel Prizes. The story of how Nobels intentions as expressed in his will was forged into workable statutes for the Nobel Foundations and the Prize awarding institutions ?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physics, chemistry), The Karolinska Institute (medicin or physiology), The Swedish Academy (literature), and the Norwegian Parliament (peace) reads like a thriller. In this lecture I will try to relate parts of this story as well as - with an emphasis on the Prize for Physics - give an overview over how Nobel Laureates are chosen today.
Professor Mats Jonson
Ph.D. in Theoretical Physics at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Gothenburg, Sweden,78)
Postdoctoral work at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N, USA, 1978-80)
Professor at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at Gothenburg, Sweden (1993-2004)
Professor at Gothenburg University, Sweden (2005-present)
Member of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since 1996
Member of the Nobel Committee for Physics (1996-present)
Professor Mats Jonson was born in 1947 in Halmstad, Sweden. He graduated from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in Gothenburg, Sweden, with a degree in Engineering Physics in 1971 and received his Ph. D. in theoretical physics from the same university in 1978 for research on correlation effects in inhomogeneous electron systems. After two years of postdoctoral research mainly on electronic transport properties of strongly random metal alloys at Indiana University he started his academic career in Gothenburg. He was appointed docent in theoretical physics at Gothenburg University in 1984 and professor of condensed matter physics, first at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in 1993 and then at Gothenburg University in 2005.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he has worked on quantum transport in low-dimensional semiconductor structures, Coulomb blockade phenomena in single-electron tunnelling structures, mesoscopic superconductivity and most recently on nanoelectromechanical systems. He was chairman of the joint 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at Chalmers/Gothenburg University from 1992 to 1997 and Dean of the School of Physics and Engineering Physics from 2000 to 2003. In 1996 he became a member of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and joined the Nobel Committee for Physics as an adjunct member the same year. He has been a full member of the Nobel Committee for Physics since 1996 and served as its chairman between 2001 and 2003.
2005.03.29
조회수 22303
-
이귀로 교수, LG전자기술원 원장 취임
전자전산학과 이귀로(李貴魯, 53) 교수가 최근 LG전자기술원 원장에 취임했다.
LG전자기술원은 차세대 기초기술 R&D 역량강화와 우수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주)LG전자가 설립한 중앙연구소이며, 李 교수의 임기는 3월부터 3년간이다.
국내 기업이 산하기관의 장으로서 현직 대학 교수를 3년간이나 장기적으로 초빙, 유치하는 것은 국내 처음이다. 이는 KAIST만이 지닌 민간기관 파견이라는 독특한 제도로 가능하다. 국내 일반대학의 경우 연구연가제도를 이용, 통상 1년 이내의 민간기업체 파견만을 허용하는 데 반해, 애초부터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KAIST는 국내 기업체에 1년 이상의 중장기파견을 허용하는 독특한 제도를 갖고 있다.
李 교수는 86년 KAIST 부임 이래, 두 차례 연구처장 보직을 수행한 바 있으며, 지난 97년 이후에는 한국과학재단 지원 우수공학연구센터(ERC)인 미세정보시스템 연구센터 소장으로 재직하며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초소형 라디오의 세계 최초 구상과 구현 등의 연구 업적을 갖고 있다.
2005.03.15
조회수 23197
-
정경원교수, 남아공에서 디자인리더십 기조연설
KAIST(총장직무대행 : 劉進) 산업디자인학과 정경원(鄭慶源, 54) 교수는 오는 14일(월)부터 18일(금)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디자인교육총회에서 "한국의 경제발전과 디자인진흥 전략" 이란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한국디자인진흥원장을 역임한 鄭 교수는 이번 기조연설에서 한국이 40여 년의 짧은 기간 내에 세계 11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기여한 디자인 진흥과 교육의 역할에 대해 중점적으로 강의하게 된다.
이번 회의는 아프리카를 위한 디자인리더십 개발을 주제로, 최근 산업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아프리카에 필요한 디자인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최되는데, 1970년대까지 만해도 선진국의 디자인전략을 모방하던 한국이 이제는 디자인진흥과 교육에서도 다른 나라들의 벤치 마커가 될 만큼 성장한 과정과 전략을 전수하여 아프리카와 한국사이의 디자인교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경원 교수 약력>
한국디자인진흥원장(2000-2003)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1984-현재)
영국 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박사
미국 시라큐스 대학교 석사
서울대학교 학사
2004.06.16
조회수 21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