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95%84%EC%8B%9C%EC%95%84
최신순
조회순
우성주칼럼 아프로디테에 숨은 과학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7월 21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아프로디테에 숨은 과학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7월 21일(수)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아프로디테에 숨은 과학
2010.07.21
조회수 9287
우성주칼럼 연금술과 원전강국의 꿈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7월 7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연금술과 원전강국의 꿈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7월 7일(수)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연금술과 원전강국의 꿈
2010.07.07
조회수 7822
우성주칼럼 세상을 바꾸는 힘 "창의력"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6월 2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세상을 바꾸는 힘 "창의력"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6월 23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세상을 바꾸는 힘 "창의력"
2010.06.23
조회수 7817
우성주칼럼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은 하나다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6월 10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은 하나다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 / 6 / 10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은 하나다
2010.06.10
조회수 8337
우성주칼럼 아바타 "속내" 들여다보기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5월 19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아바타 "속내" 들여다보기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 / 5 / 19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아바타 "속내" 들여다보기
2010.05.19
조회수 7738
KAIST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국내1위, 아시아 3위
우리대학은 조선일보가 영국의 대학 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공동으로 실시한 ‘2010년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부분에서 국내1위, 아시아 3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한국 대학들의 논문이 급속히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특히, 우리대학의 논문 수는 지난해 평가에서의 9791편에서 1만3817편으로 41.1%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난 2007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른바 ‘대학 개혁’의 결실이 이제 막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이 평가는 아시아권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국제 고등교육 기관평가로, 올해 평가에는 국내 80개 대학을 포함해 아시아 11국 448개 대학을 대상으로 했다. 평가기준으로는 ▲연구능력(60%) ▲교육수준(20%) ▲졸업생 평판도(10%) ▲국제화(10%) 등 4개 분야를 점수화해 순위를 매겼다. 우리학교는 학계 평가 19위, 교원당 논문 수 17위의 좋은 성적을 거뒀다. 1, 2위 대학들보다 국제화면에서 다소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들어 ‘생활의 국제화 정책’등에 힘을 쏟고 있기 때문에 향후 국제적인 인지도가 더 올라갈 것이다. 올해 평가부터는 의대가 있는지 여부와 대학의 학생규모를 반영해 의대를 포함한 종합대학, 의대 없는 대규모 종합대학, 의대 없는 중소 종합대학, 특성화 대학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따로 순위를 매겼다. 한편, 의대를 포함한 전체 순위 평가에서는 홍콩대가 아시아 1위, 서울대 6위를 차지했고, 의대가 없는 카이스트와 포스텍이 각각 아시아 13·14위로 국내 2·3위였다. 조선일보는 우리학교가 지난해 정보통신대(ICU)와 통합한 후 ‘시너지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아 올해는 순위가 다소 내려갔다며, 하지만 학계 평가(연구능력부문)가 아시아 최고 수준이고 국제화 지표가 상승세라 향후 순위가 올라갈 것으로 예측했다.
2010.05.13
조회수 17418
우성주칼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우리대학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4월 28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포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신문: 아시아경제, 사이언스 포럼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우성주 일시: 2010 / 4 / 28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 포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2010.04.29
조회수 10651
2010 아시아-아프리카 전산학 교육 및 연구 국제 워크숍 개최
-13개국 최고 명문 대학 전산학 학장 및 학과장이 참가 협력증진 방안 논의 - 우리대학 전산학과가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KAIST 본관 1층 회의실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 13개국 최고대학의 전산학과장 및 학장들을 초청, ‘2010 아시아-아프리카 전산학 교육 및 연구 국제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각 대학이 추진해 온 교육 및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태국, 베트남, 나이지리아, 이집트, 인도네시아 등 자원강국이면서 IT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국가들을 대표하는 최고명문 대학의 전산학과 관계자들이 국내 워크숍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산학과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이들 대학들과 전산관련 교육 및 연구분야에서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수립하고 학과 경영과 교육·연구 노하우 등을 전수, 공유함으로써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들 국가의 전산학과 교수와 우수학생을 매년 10~20여명씩 선발, 박사과정 학생으로 유치하여 고급인력으로 양성시킨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을 위해 현재 정부와 협의 중이다. 최기선 KAIST 전산학과장은 “이들 국가들은 IT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국가들로써 해당 대학들과 상호협력은 물론 해외의 우수 인재를 유치, 교육하여 지한파로 양성해 나갈 예정이다.”며 “향후 IT분야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소프트웨어산업에서 인력 및 관련 서비스의 해외수출 등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10.02.17
조회수 13184
이상엽 특훈교수, 아시아 생물정보학회 연합체 회장으로 추대
-2011년 아시아 생물정보학회연합학회 대표로 활동 예정-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45, 생명과학기술대학 학장, 바이오융합연구소 공동소장, LG화학 석좌교수)특훈교수가 지난 15일 일본 요꼬하마에서 열린 아시아 생물정보학회 연합체(Association of Asian Societies for Bioinformatics; AASBi)이사회에서 2011년 회장으로 추대됐다. 이 교수는 2010년 연합체 부회장직을 수행하게 되며, 2011년 회장으로서 1년간 아시아 생물정보 학회연합체를 대표하게 된다. 아시아 생물정보학회 연합체는 2002년 한국 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예전의 한국생물정보학회), 일본 생물정보학회, 싱가폴 의학생물정보연합회, 호주 생물정보학회, 대만 생물정보학회, 그리고 최근 중국 생물정보학회의 대표가 모여 만든 학회연합체다. 연합체 이사회는 연합체 창립이사(founding board member)들과 각국의 회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수는 “아시아연합학회의 회장이라는 중책을 맡게 되어 어깨가 무겁지만,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우리나라와 아시아의 훌륭한 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 연구역량이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고, 한 단계 더 도약하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 교수는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일본 요꼬하마에서 개최된 아시아 생물정보학회연합체의 공식 학술대회인 GIW(Genome Informatics Workshop)의 공동 프로그램위원장으로 참여했으며, ‘시스템생명공학’이란 주제로 개회 기조강연(Opening keynote lecture)을 하기도 했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GIW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정보학 국제학술대회다.
2009.12.22
조회수 13773
신소재공학과 유진 교수 시드니 스타인(Sidney Stein) 수상
신소재공학과 유진교수(59)가 지난 3일 미국 산호세(SAN JOSE)에서 열린 국제 마이크로 전자 및 패키징 학회(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IMAPS) 정기총회에서 2009년도 ‘시드니 스타인(Sidney Stein)상’을 수상했다. 시드니 스타인(Sidney Stein)은 전자 패키징 분야 양대 학회의 하나인 IMAPS의 창립자다. 이 상은 학회의 국제활동에 기여하고 전자패키지 산업의 기술 또는 리더십에 국제적으로 중요한 기여를 한 개인에게 수여된다. 유 교수는 현재 IMAPS 학회의 아시아 위원회(ALC) 회장이며, 한국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 학회 회장과 KAIST 전자 패키지 재료 연구센터(CEPM) 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아울러 유 교수는 2010년 11월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라일리에서 개최 예정인 IMAPS 학회에서 공동의장(technical co-chair)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2009.11.19
조회수 14040
아시아경제 서남표총장 특별인터뷰
석간으로 발행되는 일간지 "아시아경제"가 우리학교 서남표 총장 특별인터뷰 내용을 자세히 보도했다. 아시아경제의 대담자는 김동원 부국장 겸 정보과학부장이며 기사는 2009년 10월 1일자 석간에 실렸다. 제목 [아시아초대석] 서남표 KAIST 총장, 뚝심과 추진력 넘치는 "70대 청년" 신문 아시아경제(석간) 일자 2009/10/01 바로가기 <서남표 KAIST 총장, 뚝심과 추진력 넘치는 "70대 청년">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00109354601428 바로가기 <서남표 KAIST 총장은 누구인가>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00109570863188
2009.10.01
조회수 8114
서남표총장, 스위스 글리온 콜로키움에 참석
KAIST 서남표 총장은 지난 20일부터 5일간 스위스 글리온에서 열린 ‘글리온 콜로키움(Glion Colloquium)’에 참석하여 ’아시아 관점에서 본 혁신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1998년 시작돼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한 ‘글리온 콜로키움’은 제네바대학 주최로 스위스 글리온에서 격년으로 개최된다. 주로 미국과 유럽의 대학, 경제계, 정부 인사 등을 중심으로 행사 때마다 20명 남짓한 소수의 세계적 저명인사만을 초청하는 국제회의로 유명하다. 서 총장은 2007년 6월에도 초청돼 ‘한국연구대학의 국제화‘에 대해 발표했으며, 올해 두 번째로 초청받았다.
2009.06.24
조회수 11568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7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