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B%A4%EB%A6%AC%EC%BD%98%EB%B0%B8%EB%A6%AC
최신순
조회순
제2회 실리콘밸리 글로벌 기업가정신 써머스쿨 성료
우리 대학 국제협력처 글로벌사업기획센터(처장 임만성)와 창업원(원장 배현민)이 공동으로 주최한 '2023 글로벌 기업가정신 써머스쿨(Global Entrepreneurship Summer School, 이하 KAIST GESS)'이 이달 2일 두달 여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실리콘밸리 산-학 연계 창업 부트캠프(2022 GESC)로 출발한 2023 KAIST GESS는 글로벌 기업가정신의 중심인 실리콘밸리 현지를 방문해 창업 사례를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참가 학생들이 향후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창업 역량과 네트워크를 마련해주기 위해 기획됐다. 올해 2월부터 공모를 진행해 우리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창업자와 법인설립 1년 이내의 초기 창업자 등 총 20명을 선발했으며, 베트남·아제르바이잔·온두라스·인도네시아·필리핀·카자흐스탄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학생 수도 지난 해와 비교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또한, 올해 행사에는 경영대학 소속 임팩트 MBA(Impact MBA) 및 사회적기업가(SE) 교육과정생 20명도 실리콘밸리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참가자들은 지난 4월부터 약 두 달간 대전 본원 캠퍼스에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피칭 교육과 팀별 창업 아이템을 구상하는 준비 과정을 거쳤다. 이후 지난달 21일부터 10일간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UC 산타크루즈, UC 버클리 등 유수 대학 캠퍼스를 방문한 데 이어 코트라 실리콘밸리 무역관(관장 김형일) 및 현지 동문 기업을 방문하여 글로벌 기술 창업의 현장을 경험했다. 베슬에이아이(VESSL AI, 대표 안재만), 비 가라지(B Garage, 대표 김영준), 메딕 라이프 사이언스(대표 한규호, Medic Life Sciences), 사운더블 헬스(대표 송지영, Soundable Health), 임프리메드(대표 임성원, ImpriMed) 등 주요 동문 기업이 참여해 생생한 경험담을 담은 강연과 회사 투어로 창업에 대한 열정과 도전정신을 북돋웠다. 마지막 날에는 실리콘밸리 현지 벤처 투자자들을 심사위원으로 초빙해 참가 팀별 사업 아이템에 대한 최종 피칭을 진행했다. 두 달여의 준비 기간 중 원격 화상회의와 대면 멘토링으로 실리콘밸리 전문 엑셀러레이터에게 지속적인 조언을 받은 참가팀들은 각자의 비즈니스 모델을 발전시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피칭 대회의 최종 우승은 불면증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수면 유도 장치 스누브(snoove)를 적용한 사업 아이템을 발표한 스파키(Sparky)팀이 차지했다. 우승팀을 이끈 최지웅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학생은 "실리콘밸리라는 글로벌 스타트업 현장에서 창업의 실제를 직접 보고 겪으면서 새롭게 배우고, 도전하고, 실패를 경험하는 글로벌기업가정신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행사를 주관한 임만성 국제협력처장은 "이번 경험을 통해 우리 KAIST 학생들이 향후 세계적인 리더로 발돋움하고 글로벌 가치를 창출해 우리 대학의 국제적 명성을 높이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사업기획센터와 창업원은 이번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개최를 발판 삼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예비 창업가를 육성하기 위한 'KAIST GESS' 프로그램을 지속 발전시킬 예정이다.
2023.07.05
조회수 1151
미국 실리콘밸리 주재사무소 개소
우리학교는 미국 암벡스(Ambex)社(회장 이종문, KAIST 명예석좌교수) 지원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 주재사무소를 개소한다. ‘KAIST America"로 명명된 주재사무소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공동연구 수행 관리 ▲실리콘밸리의 글로벌기업 및 명문대학과 연구개발협력 ▲재미 KAIST 동문 네트워크 구축 ▲미국 내 기부금 모금 및 관리를 위한 발전기금(US Foundation) 업무 ▲실리콘밸리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KAIST 재학생 인턴십 과정 지원 업무 등을 수행한다. 장순흥 KAIST 교학부총장은 “‘KAIST America’는 그동안 진행되어 온 KAIST 세계화 전략의 일환이다. KAIST 기술력을 바탕으로 벤처 캐피탈 회사 설립과 학교 발전을 위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탠포드대학, 구글, 야후, 인텔社와 차로 10분 거리에 위치할 KAIST 미국 주재사무소는 이종문 회장의 지원으로 암벡스社내 1층에 설치되며, 무상으로 사용하게 된다. 개소식은 서남표 총장과 KAIST 주요 보직자, 스탠포드대학과 버클리대학 교수, 실리콘밸리 주요기업 간부, KAIST 동문들이 참석한 가운데 올 상반기 중에 미국 현지에서 가질 예정이다.
2008.03.18
조회수 15593
카이스트 터만홀 개관, 실리콘밸리 인사 몰려온다
카이스트 터만홀 개관, 실리콘밸리 인사 몰려온다 [전자신문 2004-05-17] 오는 17일 오후 1시30분 창의학습관 터만홀(Terman Hall) 개관식과 기업가정신 및 R&D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국제심포지엄 개최에 즈음해 KAIST 설립에 기여한 실리콘밸리 인사들을 대거 몰려온다. 이번 터만홀 개관식에는 KAIST 초청으로 존 에치멘디(54) 스탠퍼드대 수석부총장과 윌리엄 밀러(79) 전 스탠퍼드대 부총장, 이종문(76) 암벡스 그룹 회장 등이 내한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70년도 KAIST설립 당시 자문위원과 초대 부원장을 지낸 정근모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 등이 참석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밀러 교수의 프레드릭 터만(1900∼1982)에 대한 회고 △정근모 원장의 ‘KAIST 설립과정과 터만 교수의 역할 회고’ △에치멘디 부총장의 터만홀 개관 축사 등이 예정되어 있다. 프레드릭 터만은 미국 스탠퍼드대 부총장을 역임한 ‘실리콘밸리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로 지난 70년 KAIST 설립의 토대가 된 ‘터만 보고서’의 작성자이다. 지난 70년 우리 나라가 한국과학원(KAIS, KAIST의 전신) 설립을 위한 교육차관을 미국 국제원조처(USAID)에 요청하자 당시 터만이 단장으로 파견된 바 있다. KAIST는 이에 따라 최근 준공한 창의학습관 1층 강당을 터만홀로 명명하고 터만 교수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얼굴을 부조로 제작·설치해 17일 오후 제막식을 가지기로 했다. 이어 진행되는 국제심포지엄에서는 △에치멘디 부총장의 ‘실리콘밸리와 스탠퍼드대학은 어떻게 상호 협조하는가’ △밀러 교수의 ’국제 하이테크를 위한 경쟁력 강화 △이종문 회장의 ‘과학자와 엔지니어에게 왜 기업가 정신이 필요한가’ 등에 대한 강연이 이어진다. KAIST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스탠퍼드대학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 이종문 회장은 개인사정으로 불참함 (KAIST 홍보협력팀)
2004.05.17
조회수 18753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