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4%9C%EC%9A%B8%EC%BA%A0%ED%8D%BC%EC%8A%A4
최신순
조회순
서울캠퍼스, 동전과 상상력의 충돌 <빅 코인즈, Big Coins> 展 개최
우리 대학은 사진작가이자 미디어작가 지호준(산업디자인학과 겸임교수)의 개인전 <빅 코인즈, Big Coins>를 5월 19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서울캠퍼스 경영대학 수펙스(SUPEX) 경영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KAIST 서울캠퍼스 경영대학 전시에서는 교황 요한 23세가 새겨진 바티칸 동전에 2017년 경매에서 약 4억 5천만 달러에 낙찰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살바토르 문디’를 함께 배치한 작품 ‘프라이스드, Priced’, 헬베티아가 새겨진 스위스 동전에 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했던 암호를 겹쳐 놓은 작품 ‘사이퍼드, Ciphered’ 등, 관객에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영민한 시선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현재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겸직교수인 지호준 작가(KAIST 문화기술대학원 수학)는 일상 사물을 광학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얻은 이미지를 활용하여 작품화하고 있다. 특히 세계 각국 동전의 현미경 확대 사진을 근현대사의 주요 뉴스 기사와 겹쳐 놓는 방식의 독특한 작품세계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윤여선 경영대학장은 “KAIST 미술관은 대전 본원에 있지만 여기 서울캠퍼스 경영대학에도 미술관이 큐레이션한 전시가 꾸준히 개최되고 있는데, 지호준 작가의 이번 개인전으로 새로운 작품세계를 접하게 되어 기쁘다”는 뜻을 전했다. 석현정 미술관장(산업디자인학과 교수)은 “대학원 재학 시절 소속 랩에서 키우던 강아지의 변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를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와 연결하여 작품화할 만큼 엉뚱하고 기발한 지호준 교수의 실험적 상상력은 곧 KAIST가 추구하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지호준 작가는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동전은 단순한 화폐가 아니라 시간과 권력이 새겨진 인류의 초상이었다. 미세한 균열과 질감 속에 잠든 역사와 기억은 하나의 조형처럼 떠올랐다. 작은 금속 안에 숨어 있던 거대한 상상의 세계를 함께 열어보고 싶다”라고 소감을 표했다. 지 작가는 과학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작업을 국내외 여러 전시를 통해 선보여 왔다. 또한 그의 작품은 국제 학술 저널 디지털 크리에이티비티(Digital Creativity)의 표지에 실린 바 있으며, 주튀르키예 한국대사관, 서울시립미술관, 미국 911 메모리얼센터 등에 소장되며 작품성을 점차 인정받고 있다. 내년 2월 말까지 계속되는 이번 개인전은 KAIST 구성원은 물론 외부 관람객에게도 무료로 공개된다.
2025.05.19
조회수 1006
정재민교수, 한국신문협회 자문위원에
우리학교 경영대학(서울캠퍼스)의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에 근무중인 정재민 교수가 7월 5일 한국신문협회의 제5기 정책기획 자문위원에 위촉됐다.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위촉장 수여식에서는 총 7명이 자문위원이 됐으며 임기는 2012년 6월까지이다. 역할은 미디어관련 법제와 신문광고 활성화, 뉴스콘텐츠 가치제고 방안 등 한국신문협회가 추진하는 정책수립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이날 위촉된 자문위원은 정진석(한국외대 명예교수) 위원장, 문재완(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부원장), 강신철(고려대 미디어학부 초빙교수), 김영욱(한국언론진흥재단 수석연구위원), 김택환(중앙일보 멀티미디어랩 소장), 박현수(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 등 7명이다. 한편 2009년 우리학교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조교수로 부임한 정재민은 불교TV 프로듀서(1995~95), 디지틀조선일보 기자(1996~98), West Florida 대학 교수(2003~05), 서울여대 언론영상학부 교수(2005~09) 등을 역임한 바 있다.
2010.07.05
조회수 12271
쿠마르학장인터뷰 경영대 경쟁력을 말한다
경제주간지 "한경비즈니스"는 2009년 7월 27일자(제712호)에서 7월 1일자로 우리학교 서울캠퍼스의 경영대 학장으로 부임한 라비 쿠마르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Univ. of Southern California)의 마셜 경영대 전 부학장에 대한 인터뷰 기사를 자세히 실었다. 기사에서 쿠마르 학장은 국제화는 뚜렷한 목적을 가져야 한다면서 우리학교 경영대학의 경쟁력과 잠재성에 대해서 학생과 기업과 교수가 KAIST에 왔을 때 프리미엄 효과를 예상할 만큼 KAIST는 이미 세계적 명성이 있는 대학으로 더욱 더 국제화된 대학으로 만드는 데 자신의 경험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목: 경영대 경쟁력을 말한다 - 라비 쿠마르 KAIST 경영대학장 부제: 국제화는 뚜렷한 목적성 가져야 매체: 한경비즈니스 지면: 피플면 일시: 2009/07/27(제712호) 기자: 이진원 기자 zinone@kbizweek.com 기사보기 http://www.kbizweek.com/cp/view.asp?vol_no=712&art_no=22&sec_cd=1005
2009.07.27
조회수 10990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