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2%AC%EC%9D%B4%EC%96%B8%EC%8A%A4
최신순
조회순
우성주칼럼 세상을 바꾸는 힘 "창의력"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6월 2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세상을 바꾸는 힘 "창의력"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년 6월 23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세상을 바꾸는 힘 "창의력"
2010.06.23
조회수 8625
원광연칼럼 지수함수의 법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6월 17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지수함수의 법칙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년 6월 17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지수함수의 법칙
2010.06.17
조회수 11030
우성주칼럼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은 하나다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6월 10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은 하나다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 / 6 / 10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은 하나다
2010.06.10
조회수 9323
우성주칼럼 아바타 "속내" 들여다보기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5월 19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포럼] 아바타 "속내" 들여다보기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교수 일시: 2010 / 5 / 19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포럼] 아바타 "속내" 들여다보기
2010.05.19
조회수 8638
윤태영 교수팀, 생체막 단백질 기능 첫 규명
우리대학 윤태영 물리학과 교수 주도하에 생체막 단백질인 시냅토태그민1(Synaptotagmin1)이 신경세포 통신을 능동적으로 제어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다. 시냅토태그민1은 신경전달물질 분출을 조절하는 양대 핵심 단백질로서, 지금까지 학계는 단순히 칼슘 이온이 유입되면 시냅토태크민1이 신경전달물질을 분출하는 것으로 추정해 왔지만, 명확히 그 기능을 밝혀내지 못했다. △카이스트 윤태영 물리학과 교수, △이한기 박사 △신연균 교수(포항공대, 아이오와주립대) △권대혁 교수(성균관대) △현창봉 교수 (고등과학원)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실육성사업(BRL)"과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저널인 ‘사이언스(Science)’誌 5월 7일자에 게재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젊은 국내 토종박사들이 주축이 되어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일궈낸 값진 연구성과이다. 총 9명으로 구성된 연구팀에서 8명이 국내 연구자들로, 이중 7명이 만 40세를 넘지 않은 신진 연구자이다. 특히 연구를 주도한 윤태영 교수는 만 34세로 2004년 서울대에서, 이한기 박사는 만 33세로 명지대에서, 권대혁 교수는 만 38세로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토종박사들이다. 또한 이번 연구성과는 정부의 대표적인 연구지원사업(BRL)과 인력 양성사업(WCU)의 지원을 받아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세계 최고의 과학저널에 발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림1. 신경전달물질 분출에 있어서 시냅토태그민1의 동적제어 스위치 모델] 윤태영 교수 연구팀은 시냅토태그민1이 신경세포 통신의 강약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신경세포 내에 적정농도(10μmol/L, 1리터당 10마이크로 몰)의 칼슘 이온이 유입되면 시냅토태그민1은 신경전달물질을 빠르게 분출하지만, 적정농도 이상의 칼슘이 유입되면 오히려 그 기능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이것은 시냅토태그민1이 신경세포에서 나오는 칼슘 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냅토태그민1이 신경세포 통신의 강약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한 것이다. 윤태영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지난 10년간 학계의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인 시냅토태그민1의 기능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낮은 농도의 칼슘에서 시냅토태그민1이 가장 활발히 활동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하여, 기존 연구가 밝히지 못한 시냅토태그민1의 기능을 정확히 설명하였다. 특히 연구팀은 시냅토태그민1을 생체막으로부터 분리하면, 제어 스위치 기능이 상실된다는 사실도 확인하여, 시냅토태그민1의 생체막 부착 여부가 그 기능에 핵심인 것을 밝혀냈다. 또한 윤 교수팀은 차세대 신약개발의 주요 타깃인 생체막 단백질의 기능을 분자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생체막 단백질은 물질 수송 등 세포내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데, 암, 당뇨, 비만 등 각종 질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차세대 신약개발 표적 단백질의 최대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단소포체 형광 기법(single-vesicle fluorescence detection)’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생체막 단백질의 기능을 단분자 혹은 수개 분자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림2. 단소포체 형광기법] 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10년간 학계가 밝혀내지 못한 시냅토태그민1의 기능을 명쾌히 밝혀내고, 복잡한 생체막 단백질의 기능을 분자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이번 연구로 생체막 단백질을 활용하여, 암, 당뇨, 비만 등 현대인의 질병에 대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2010.05.07
조회수 26020
원광연칼럼, 융·복합이 뜨는 이유
우리대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4월 30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융·복합이 뜨는 이유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 / 4 / 30 (금)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융·복합이 뜨는 이유
2010.04.30
조회수 11071
우성주칼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우리대학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4월 28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포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신문: 아시아경제, 사이언스 포럼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우성주 일시: 2010 / 4 / 28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 포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2010.04.29
조회수 11719
원광연칼럼, 컴퓨터 공학자가 된 ‘바비’
우리대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3월 25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컴퓨터 공학자가 된 ‘바비’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 / 3 / 25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컴퓨터 공학자가 된 ‘바비’
2010.03.25
조회수 11656
계간 카이스트비전 2010년 봄호 발간!
계간 카이스트 비전 2010년 봄호가 발행됐다. 입학처 입학정책팀에서 발행하고, 홍보동아리 카이누리의 카이스트비전팀(편집장 강하나 학생)의 취재 및 기사작성 활동과 동아사이언스의 편집디자인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이 계간지에서는 커버스토리 "KAIST 교수, 캠퍼스 밖으로"란 주제로 카이스트 교수들의 활발한 대외활동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기획면에서는 "KAIST 연애생활보고서"란 제목으로 캠퍼스커플(CC), 떨어져사는 커플(DC, Distant Couple), 솔로편 등 3가지 형태의 학생 생활에 대해 들려주고 있다. 이 밖에도 포토스토리에서 포착한 "KAIST 캠퍼스 폴리스24시"가 흥미롭고, 새롭게 기획된 [지인아, 어디 가?] 편에서는 우리학교의 금융공학 분야에 대해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목차 Contents 04 석림의 종 | 우리의 멋, 자연 속의 여백 06 학교소식 08 커버스토리| KAIST 교수, 캠퍼스 밖으로 1 “사장님, 아니 작가님? 아, 아니 교수님, 당신은 누구신가요?” 2 “카이스티안이여, 한국에 실리콘밸리를 만듭시다” - 이승섭 기계공학과 교수 3 과학 아닌 것에서 과학을 발견하다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4 피아노 치는 국악인, “내 음악이 새롭나요?” - 변계원 인문사회과학과 교수 16 포토에세이 | KAIST 캠퍼스 폴리스 24시 20 진로가이드 | 지구의 가치를 높이는 기업, 두산중공업 1 한국형 원자력 르네상스를 이끈다 2 “반갑습니다, 선배님!” 두산중공업 김정태 상무를 만나다 24 문화와 인물 1 다시 돌아온 총학생회, 박승 신임 회장을 만나다 2 예술 속의 과학! 백신을 디자인하다 -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28 명강의 | “자, 숨 크게 들어 마시고~ 내뱉고” - 인성리더십3 ‘기초발성’ 강좌 30 지인아, 어디 가? | KAIST에 금융공학? 그거 기대되네~! 34 기획 | KAIST 연애 생활 보고서 1 CC편 2 DC편 3 Solo편 40 KAIST 블로그42 퀴즈43 편집후기 계간지 「KAIST비전」 2010 Spring 창간 1997년6월1일 발행일 2010년2월22일 발행인 서남표 편집주간 김도경 편집장 강하나 발행처 KAIST 입학정책팀 우) 305-701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335(구성동 373-1) Tel (042)350-2351 Fax (042)350-2420 편집디자인 동아사이언스 Tel (02)3148-0735 [카이스트비전 PDF파일로 보기] 2010_KAIST_Vision_spring(1~23page).pdf 2010_KAIST_Vision_spring(24~43page).pdf
2010.03.04
조회수 16375
이상엽 특훈교수, 미국 공학한림원(NAE) 외국회원으로 선임
-미국공학한림원, 전 세계 공학 분야 석학들 대상으로 9명의 외국회원 선임 -우리나라에서 12년 만에 두 번째 외국회원 탄생-40대 중반, NAE 회원 선임 이례적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46세, 생명과학기술대학 학장, 바이오융합연구소 공동소장, LG화학 석좌교수) 특훈교수가 2010년도 미국 공학한림원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NAE) 외국회원(Foreign Associate)으로 선임됐다고 22일 밝혔다. 미 공학한림원 회장인 찰스 베스트(Charles Vest)박사는 공식편지에서 올해 미국회원 68명과 외국회원 9명을 선임했다고 최근 밝히면서, “이상엽 교수의 미생물생명공학과 대사공학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하여 선임한다.”고 말했다. 미국공학한림원은 공학분야 최고의 석학들의 모임으로 공학 관련 연구, 산업, 교육 분야 전 세계 석학들 중 가장 기여가 큰 사람들을 다단계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임한다. 2009년도 미국공학한림원 회원명부에 따르면, 총 194명의 NAE 외국회원이 있으며, 이들 중에는 영국이 34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일본이 22명, 독일이 17명 등이다. 우리나라는 제 12대, 15대 과학기술처(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정근모(72세) 한전고문이 1998년도에 NAE 외국회원으로 선임된 바 있다. KAIST 관계자는 “40대 중반에 NAE 회원이 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일이다. 미생물 생명공학 분야에서 李 교수가 세계적인 리더임을 증명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미국공학한림원은 미국과학한림원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미국의학원 (Institute of Medicine)과 함께 3대 학술원을 이루고 있으며, 미국 공학분야 대학평가 시 공학한림원의 회원이 몇 명 있느냐로 평가할 정도로 엄격한 잣대로 평가된 회원들만을 선임한다. 李 교수는 “이 기쁜 소식을 지난 16년간 KAIST에서 저와 함께 연구에 매진한 모든 연구실 식구들과 함께 하고 싶다. 그간 연구실에서 함께 연구를 수행한 제자들과 함께 받는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미생물대사공학, 시스템생물학, 합성생물학, 산업 바이오텍 분야 연구에 매진하여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세계에서 인정받는 훌륭한 제자들을 많이 키우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李 교수는 2006년 미국미생물학술원 (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의 펠로우, 2007년 국내 최초로 사이언스誌를 발간하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펠로우에도 선임된 바 있다.
2010.02.22
조회수 14652
원광연칼럼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우리학교 문화기술대학원장 원광연 교수가 세계일보 2010년 2월 18(목) 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사이언스리뷰]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매체: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교수(문화기술대학원장) 일시: 2010/2/18(목) 칼럼보기 [사이언스리뷰]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2010.02.18
조회수 10122
가수 김장훈, SBS '강심장'에서 HUBO 에피소드 밝혀
유명가수 김장훈이 지난 12월 22일(화) 밤 11시경, SBS-TV에서 방영된 예능프로 "강심장"에 출연해서 우리학교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UBO(휴보)와 관련된 이야기를 밝혀 큰 관심을 끌었다. 그 관련기사는 동아일보사의 사이언스 전문 웹매체인 더 사이언스에서 소개됐다. 제목: 휴보, 예능 프로그램 출연 ... 1위 차지 부제: 가수 김장훈, SBS "강심장"에서 에피소드 밝혀 매체: THE SCIENCE (동아일보 동아사이언스에서 발행하는 인터넷신문) 일자: 2009년 12월 23일(수) 기자: 동아사이언스 전동혁 기자 관련기사링크: 휴보, 예능 프로그램 출연 ... 1위 차지
2009.12.24
조회수 1389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1
12
13
14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