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82%AC%EC%9D%B4%EC%96%B8%EC%8A%A4
최신순
조회순
원광연칼럼, 융·복합이 뜨는 이유
우리대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4월 30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융·복합이 뜨는 이유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 / 4 / 30 (금)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융·복합이 뜨는 이유
2010.04.30
조회수 9153
우성주칼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우리대학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0년 4월 28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포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신문: 아시아경제, 사이언스 포럼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우성주 일시: 2010 / 4 / 28 (수) 기사보기: [사이언스 포럼] 나로호 발사와 프로메테우스의 "불"
2010.04.29
조회수 10171
원광연칼럼, 컴퓨터 공학자가 된 ‘바비’
우리대학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장이 세계일보 2010년 3월 25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컴퓨터 공학자가 된 ‘바비’ 신문: 세계일보, 사이언스 리뷰 저자: 카이스트 문화과학기술대학원장 원광연 일시: 2010 / 3 / 25 (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컴퓨터 공학자가 된 ‘바비’
2010.03.25
조회수 9517
계간 카이스트비전 2010년 봄호 발간!
계간 카이스트 비전 2010년 봄호가 발행됐다. 입학처 입학정책팀에서 발행하고, 홍보동아리 카이누리의 카이스트비전팀(편집장 강하나 학생)의 취재 및 기사작성 활동과 동아사이언스의 편집디자인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이 계간지에서는 커버스토리 "KAIST 교수, 캠퍼스 밖으로"란 주제로 카이스트 교수들의 활발한 대외활동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기획면에서는 "KAIST 연애생활보고서"란 제목으로 캠퍼스커플(CC), 떨어져사는 커플(DC, Distant Couple), 솔로편 등 3가지 형태의 학생 생활에 대해 들려주고 있다. 이 밖에도 포토스토리에서 포착한 "KAIST 캠퍼스 폴리스24시"가 흥미롭고, 새롭게 기획된 [지인아, 어디 가?] 편에서는 우리학교의 금융공학 분야에 대해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목차 Contents 04 석림의 종 | 우리의 멋, 자연 속의 여백 06 학교소식 08 커버스토리| KAIST 교수, 캠퍼스 밖으로 1 “사장님, 아니 작가님? 아, 아니 교수님, 당신은 누구신가요?” 2 “카이스티안이여, 한국에 실리콘밸리를 만듭시다” - 이승섭 기계공학과 교수 3 과학 아닌 것에서 과학을 발견하다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4 피아노 치는 국악인, “내 음악이 새롭나요?” - 변계원 인문사회과학과 교수 16 포토에세이 | KAIST 캠퍼스 폴리스 24시 20 진로가이드 | 지구의 가치를 높이는 기업, 두산중공업 1 한국형 원자력 르네상스를 이끈다 2 “반갑습니다, 선배님!” 두산중공업 김정태 상무를 만나다 24 문화와 인물 1 다시 돌아온 총학생회, 박승 신임 회장을 만나다 2 예술 속의 과학! 백신을 디자인하다 -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졸업전시회 28 명강의 | “자, 숨 크게 들어 마시고~ 내뱉고” - 인성리더십3 ‘기초발성’ 강좌 30 지인아, 어디 가? | KAIST에 금융공학? 그거 기대되네~! 34 기획 | KAIST 연애 생활 보고서 1 CC편 2 DC편 3 Solo편 40 KAIST 블로그42 퀴즈43 편집후기 계간지 「KAIST비전」 2010 Spring 창간 1997년6월1일 발행일 2010년2월22일 발행인 서남표 편집주간 김도경 편집장 강하나 발행처 KAIST 입학정책팀 우) 305-701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335(구성동 373-1) Tel (042)350-2351 Fax (042)350-2420 편집디자인 동아사이언스 Tel (02)3148-0735 [카이스트비전 PDF파일로 보기] 2010_KAIST_Vision_spring(1~23page).pdf 2010_KAIST_Vision_spring(24~43page).pdf
2010.03.04
조회수 13495
이상엽 특훈교수, 미국 공학한림원(NAE) 외국회원으로 선임
-미국공학한림원, 전 세계 공학 분야 석학들 대상으로 9명의 외국회원 선임 -우리나라에서 12년 만에 두 번째 외국회원 탄생-40대 중반, NAE 회원 선임 이례적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46세, 생명과학기술대학 학장, 바이오융합연구소 공동소장, LG화학 석좌교수) 특훈교수가 2010년도 미국 공학한림원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NAE) 외국회원(Foreign Associate)으로 선임됐다고 22일 밝혔다. 미 공학한림원 회장인 찰스 베스트(Charles Vest)박사는 공식편지에서 올해 미국회원 68명과 외국회원 9명을 선임했다고 최근 밝히면서, “이상엽 교수의 미생물생명공학과 대사공학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높이 평가하여 선임한다.”고 말했다. 미국공학한림원은 공학분야 최고의 석학들의 모임으로 공학 관련 연구, 산업, 교육 분야 전 세계 석학들 중 가장 기여가 큰 사람들을 다단계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임한다. 2009년도 미국공학한림원 회원명부에 따르면, 총 194명의 NAE 외국회원이 있으며, 이들 중에는 영국이 34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 일본이 22명, 독일이 17명 등이다. 우리나라는 제 12대, 15대 과학기술처(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정근모(72세) 한전고문이 1998년도에 NAE 외국회원으로 선임된 바 있다. KAIST 관계자는 “40대 중반에 NAE 회원이 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일이다. 미생물 생명공학 분야에서 李 교수가 세계적인 리더임을 증명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미국공학한림원은 미국과학한림원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미국의학원 (Institute of Medicine)과 함께 3대 학술원을 이루고 있으며, 미국 공학분야 대학평가 시 공학한림원의 회원이 몇 명 있느냐로 평가할 정도로 엄격한 잣대로 평가된 회원들만을 선임한다. 李 교수는 “이 기쁜 소식을 지난 16년간 KAIST에서 저와 함께 연구에 매진한 모든 연구실 식구들과 함께 하고 싶다. 그간 연구실에서 함께 연구를 수행한 제자들과 함께 받는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미생물대사공학, 시스템생물학, 합성생물학, 산업 바이오텍 분야 연구에 매진하여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세계에서 인정받는 훌륭한 제자들을 많이 키우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李 교수는 2006년 미국미생물학술원 (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의 펠로우, 2007년 국내 최초로 사이언스誌를 발간하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펠로우에도 선임된 바 있다.
2010.02.22
조회수 10988
원광연칼럼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우리학교 문화기술대학원장 원광연 교수가 세계일보 2010년 2월 18(목) 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사이언스리뷰]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매체: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교수(문화기술대학원장) 일시: 2010/2/18(목) 칼럼보기 [사이언스리뷰]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2010.02.18
조회수 8314
가수 김장훈, SBS '강심장'에서 HUBO 에피소드 밝혀
유명가수 김장훈이 지난 12월 22일(화) 밤 11시경, SBS-TV에서 방영된 예능프로 "강심장"에 출연해서 우리학교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UBO(휴보)와 관련된 이야기를 밝혀 큰 관심을 끌었다. 그 관련기사는 동아일보사의 사이언스 전문 웹매체인 더 사이언스에서 소개됐다. 제목: 휴보, 예능 프로그램 출연 ... 1위 차지 부제: 가수 김장훈, SBS "강심장"에서 에피소드 밝혀 매체: THE SCIENCE (동아일보 동아사이언스에서 발행하는 인터넷신문) 일자: 2009년 12월 23일(수) 기자: 동아사이언스 전동혁 기자 관련기사링크: 휴보, 예능 프로그램 출연 ... 1위 차지
2009.12.24
조회수 11915
계간 KAIST비전 2009 겨울호 발간!
계간 카이스트 비전 2009년 겨울호가 발행됐다. 입학처 입학정책팀에서 발행하고, 홍보동아리 카이누리의 카이스트비전팀(편집장 백현재 학생)의 취재 및 기사작성 활동과 동아사이언스의 편집디자인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이 계간지에서는 특집 "KAIST가 들려주는 기부이야기"이란 제목으로 우리대학의 기부스토리를 자세히 담고 있으며, 기획면에서는 남녀재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해서 학업편, 생활편, 문화편 등으로 나누어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진로가이드]에서는 KAIST 출신 변리사를 출신으로 변리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목차는 다음과 같다. Contents 04 석림의 종 | 성공을 꿈꾸는 엔지니어되기(김경수 기계공학과 교수) 06 학교소식 08 특집 | KAIST가 들려주는 기부 이야기 1 최고의 과학 인재 키워달라 2 기부는 소유의 끝이 아니라 절정 3 내 결론은 KAIST... 모든 걸 주고 싶다 4 경영학개론, 유쾌한 기부 가르치다 16 포토에세이 | 대변신으로 샤방샤방~! KAIST 교내 식당 둘러보기 18 진로가이드 | 나도 변리사 됄래! 그런데 변리사가 뭐야? 1 변리사, 아이디어 전쟁터의 검투사 2 "안녕하세요, 선배님?" KAIST 출신 변리사를 만나다 3 그들이 궁금하다! 변리사를 꿈꾸는 KAISTian 24 문화와 인물 1 굿모닝, 프로페서! - 前 러시아 대사, 이인호 교수를 만나다 2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 "배나사" 유성 교육장을 찾다 28 명강의 | KAIST의 작은 로스쿨을 가다 30 연구실 탐방 | 미디어 만드는 디자인 공장 KAIST 산업디자인학과 디자인미디어 연구실 34 기획 | KAIST 남녀탐구생활 1 학업편 2 생활편 3 문화편 40 KAIST 블로그 42 퀴즈 43 편집후기 계간 카이스트비전 2009 겨울호 보기 2009_KAIST_Vision_winter.pdf
2009.12.12
조회수 11650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3...문화편
동아일보사의 동아사이언스에서 발행하는 유력 인터넷매체 "더 사이언스"(THE SCIENCE)는 최근 "KAIST 남과 여" 특집을 메인기사로 다루고, 2009년 12월 8일자 THE SCIENCE 이메일뉴스레터의 메인기사로 비중있게 다뤘다. KAIST-동아사이언스 공동기획으로 진행된 이 기획시리즈는 1편 - [KAIST 공동기획] "너무나 다른 KAIST의 남과 여" - 남녀탐구생활 파트1 학업편2편 - [KAIST 공동기획] "너무나 다른 KAIST의 남과 여" - 남녀탐구생활 파트2 생활편 -에 이어서 다음과 같은 주제의 기사를 다뤘다. [KAIST공동기획] 그와 그녀의 24시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3 ... 문화편 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12/04/20091204200000027825/200912042000000278250110000000.html
2009.12.10
조회수 11013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2...생활편
동아일보사의 동아사이언스에서 발행하는 유력 인터넷매체 "더 사이언스"(THE SCIENCE)는 최근 "KAIST 남과 여" 특집을 메인기사로 다루고, 2009년 12월 8일자 THE SCIENCE 이메일뉴스레터의 메인기사로 비중있게 다뤘다. KAIST-동아사이언스 공동기획으로 진행된 이 기획시리즈는 1편 - [KAIST 공동기획] "너무나 다른 KAIST의 남과 여" - 남녀탐구생활 파트1 학업편 -에 이어서 다음과 같은 주제의 기사를 다뤘다. [KAIST공동기획] 그와 그녀의 24시 KAIST 남녀탐구생활 파트2 ... 생활편 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12/04/20091204200000027824/200912042000000278240110000000.html
2009.12.09
조회수 11308
김상욱 교수, 저명 국제학술지 ‘신진과학자’특집호 초청표지논문 게재
- 고기능성 탄소나노튜브 손쉬운 분자조립 제어기술 개발 우리대학 김상욱 교수팀은,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단체인 영국 왕립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간하는 저명학술지 ‘연성물질’(Soft Matter)지가 특별 기획한 ‘신진과학자 특집호’(Emerging Investigator Special Issue)에 초청되어 6월 21일 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 이 특집호는 주로 미국과 유럽의 저명한 과학자들로 구성된 이 학술지의 편집진과 고문단이 엄격한 추천 및 심사 과정을 거쳐 선정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선도적인 연구업적을 내는 젊은 과학자 18명(미주 6명, 유럽 10명, 일본 1명, 한국 1명)의 상세한 연구 이력과 ‘특별 초청논문’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상욱 교수의 논문이 유일하게 초청되었으며, 특히 다른 나라 연구자들의 논문을 제치고 김상욱 교수의 논문이 표지논문으로 선정됨으로써 연구업적의 우수성을 전 세계적으로 공인받게 되었다. 김 교수는 이번 초청 논문에서 기존 분자조립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신개념의 나노기술을 소개하였다. 그동안 분자조립기술은 생체분자나 고분자 등에 주로 적용되어왔으며 이들 유기소재들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기계적으로 매우 강도가 약해 그 응용 범위가 한정되는 약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분자의 배열을 조절하기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탄소나노튜브에 분자조립기술을 적용하여 유기용액 상에서 손쉽게 입체적인 다공성 구조로 만드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입체적으로 얽혀 있는 탄소나노튜브의 다공성 구조가 표지논문 그림으로 채택되었다.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를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매에 함께 녹이고 습도가 매우 높은 공기를 용액표면에 불어넣어 매우 쉽게 다공성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복합체 막을 만들어 냈으며, 여기에 열처리를 통해 고분자만 태워냄으로써 그 안에 숨어 있던 탄소나노튜브 가닥들이 마치 동아줄 같이 엉켜 형성한 분자조립 다공성 구조를 드러냈다. 김 교수는 “그동안 주로 생체분자나 고분자 등에 한정되어 있던 분자조립현상을 탄소나노튜브와 같이 높은 전기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신소재에 적용한 신개념의 연구결과이며, 분자조립공정의 가능성을 다양한 소재로 확장한 중요한 연구결과로 평가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고분자나, 생체분자, 탄소나노튜브 등 다양한 연성물질들의 분자배열을 원하는 형태로 조절하여 초미세 나노패턴을 만들 수 있는 ‘연성소재 분자조립 나노기술’을 개발하여 Nature지, Science지 등 최고수준의 학술지에 10편 이상의 주목받는 논문들을 발표해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모아왔다. 특히, 김상욱 교수의 분자조립 나노기술은 현재 반도체 공정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30나노미터 이하의 나노패턴을 대량으로 제작할 가능성을 제시하여 학계뿐만이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2009.06.23
조회수 14160
조광현 교수, 컴퓨터시뮬레이션 통해 세포 조절회로의 숨겨진 메커니즘 규명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曺光鉉, 38) 교수 연구팀이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 세포의 증식과 분화 조절회로에 숨겨진 동역학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세포생물학계의 권위지인 저널오브셀사이언스(Journal of Cell Science)지 21일자 온라인판에 표지논문(Cover Paper)으로 선정, 출판되었다. 이번 연구는 특히 수학 모델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세포내 복잡한 메커니즘을 해석해 내고 이를 생화학실험을 통해 재차 검증함으로서 완성되었다. 이는 IT를 BT에 접목시킨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연구를 통해 기존 생명과학의 한계를 극복한 중요한 BIT 융합 연구사례로 평가된다. 세포내 어크(ERK) 신호전달경로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주요 회로로 알려져 왔으며, 최종단의 인산화된 어크 단백질의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 프로화일은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핵심인자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 회로의 복잡한 동역학적 특성으로 인해 조절메커니즘은 아직껏 잘 밝혀지지 않았다. 曺 교수 연구팀은 어크 신호전달경로 가운데 라프(Raf) 단백질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알킵(RKIP) 단백질이 매개하여 형성하는 양성피드백과 어크에서 에스오에스(SOS)로 이어지는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음성피드백이 최종 어크 단백질의 동역학 패턴을 결정짓는 주요 조절회로임을 규명해 냈다. 특히 양성피드백은 이 신호전달과정이 외부노이즈에 둔감하도록 스위칭동작을 유발하고 음성피드백은 어크 프로파일의 진동현상을 유발함으로써 다이나믹한 동역학 특성이 결정됨을 밝혀냈다. 이러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결과는 공동연구팀인 영국 글라스고우 암연구소에서 생화학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번 연구는 인간의 주요 질환과 관련된 세포내의 근원적인 조절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차후 생명과학 응용연구의 중요한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또한 BIT 융합연구로서 시스템생물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게 됐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지원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2009년 1월 21일자 온라인판, 인터넷주소> http://jcs.biologists.org/content/vol122/issue3/cover.shtml
2009.01.29
조회수 16339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1
12
13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