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B6%80%EC%B4%9D%EC%9E%A5
최신순
조회순
‘KAIST 조정훈 학술상’시상 및 장학증서 전달식
- 학술상에 서울대 여재익교수, 장학생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김경환, 고려대 기계공학과 이해아, 공주대사대부고 김홍찬 - 우리학교는 13일 오후 3시, 본관 회의실에서 장순흥 부총장과 유족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KAIST 조정훈 학술상’ 시상식을 가졌다. 학술상 수상자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여재익 교수(40세)가 선정됐다. 여 교수는 국내 항공우주 고에너지 열유체역학 및 응용분야의 선구자로서, 펄스 에너지원을 활용해 새롭고 다양한 연구 분야를 도입했다. 여 교수는 항공우주 추진분야의 고에너지 연료의 기초 현상 연구, 레이저 조사시 방출되는 플라즈마를 활용한 우주 자원 정밀탐사 및 충격파에 의한 무통증 약물투여 등 다양하게 확장된 연구분야를 소개해, 공학을 의학 및 식품학에까지 접목시키는 넓은 안목을 보여줬다. 장학금 수여자는 김경환(29,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해아(25,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김홍찬(18, 공주대 사대부고 3년) 등 3명이 선정됐다. 학술상 수상자에게는 2천만원의 부상이, 장학생 선정자에게는 대학원생 각 3백만원, 고등학생 2백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KAIST 조정훈 학술상’은 지난 2003년 발생한 KAIST 추진 및 연소공학연구실 폭발사고로 숨진 故 조정훈(趙丁焄, 항공우주공학과, 사고당시 25세)박사를 기념하고 그의 학문적 열정을 기리기 위하여 趙 박사의 부친인 조동길(趙東吉, 공주대 국어교육학과) 교수가 유족보상금 등에 사재를 합친 4억7천만원을 KAIST 학술기금으로 기부한 기부금을 재원으로 하여 제정된 뜻 깊은 상이다. 2005년부터 매년 항공우주공학분야에서 연구업적이 뛰어난 젊은 과학자를 발굴하여 수상해오고 있으며 올해로 6회째를 맞는다.
2010.05.13
조회수 17665
장순흥칼럼 韓美원자력협정 윈윈의 길 있다
동아일보 2010년 4월 19일자에 장순흥 KAIST 교학부총장의 원전관련 칼럼이 게재됐다. 제목: 韓美원자력협정 윈윈의 길 있다 신문: 동아일보 저자: 장순흥 교학부총장 일시: 2010 / 4 / 19 (월) 칼럼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00419/27665772/1
2010.04.19
조회수 14341
KAIST IP영재기업인교육원 개소식
우리학교는 2월 3일 오후 1시 고정식 특허청장, KAIST 장순흥 교학부총장, 이광형 교무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IP영재기업인교육원’ 개소식을 행정분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개소식에 이어, 작년 12월 최종 선발한 101명(중등과정 51명, 고등과정 50명)의 차세대 영재기업인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3일부터 5일까지 2박3일간 진행된다. 특허청은 이를 위해 지난 9월 KAIST와 POSTECH에 차세대 영재기업인 교육원을 설치했다. POSTECH 교육원은 지난달 27일 오리엔테이션과 함께 개소했다. 참고사항차세대 IP-기반 영재기업인은 MS의 빌 게이츠, 구글(Google)을 공동창업한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와 같이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미래 신성장산업을 창출할 창의적인 인재를 일컫는다.
2010.02.03
조회수 17866
장순흥칼럼 원전수출 계속 돼야한다
장순흥 교학부총장이 우리나라의 400억 달러 규모 UAE(아랍에미레이트) 원자력 발전사업 프로젝트 수주 성공과 관련된 칼럼을 매일경제에 기고했다. 제목: [기고] 원전 수출 계속 돼야 한다 매체: 매일경제 저자: 장순흥 교수(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학부총장) 일시: 2009/12/29 화 칼럼보기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9&no=666457
2009.12.28
조회수 13160
저탄소 녹색성장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
[저탄소 녹색성장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 란 제목의 기사가 인터넷 매체 NewDaily 2009년 12월 7일자에 게재됐다. 기사는 뉴데일리 창간4주년 기념인터뷰 형식으로 KAIST 장순흥 교학부총장을 인터뷰했다. 기사에서 장순흥 교학부총장은 “KAIST는 저탄소 에너지에 기반한 핵심 연구과제로 온라인 전기자동차와 모바일 하버(이동 부두)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두 과제는 KAIST 내에서 뿐 아니라 국가적인 핵심 연구 프로젝트로 올라있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제목: 저탄소 녹색성장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 - 장순흥 KAIST 부총장 뉴데일리 창간 4주년 기념인터뷰 - "한국엔 기회…카이스트는 이미 핵심과제 선정,연구·실용화" 게재일: 2009년 12월 7일 매체: 인터넷매체 "NewDaily" (www.newdaily.co.kr) 기사보기 http://www.newdaily.co.kr/html/article/2009/12/01/ARTnhn37040.html
2009.12.09
조회수 15225
前정통부장관 배순훈 교수 KAIST 부총장에...
“KAIST 경영대학원, 세계적인 경영대학원으로 거듭날 것” 지난 8월 16일 배순훈(63·사진) 교수가 신임 서울부총장에 임명됐다. 1976년 대우중공업 기술본부장으로 대우와 인연을 맺은 배 부총장은 1991∼1995년 대우전자 사장, 1995∼1997년 회장을 역임했다. 1998년 정보통신부 장관을, 2004∼2005년에는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현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그는 대우전자 사장 시절인 1992년 탱크처럼 튼튼하고 핵심기능에 집중하는 전자제품을 만들자는 ‘탱크주의’로 화제를 모았고, 배 교수가 1999년부터 재직해온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의 수펙스 경영관 101호실은 ‘탱크강의실’로 불린다. 배 부총장은 "경영의 기초연구에 주력해 노벨경제학상에 도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 개인적으로 대기업체 사장과 장관도 해봤지만 타이틀은 중요하지 않다. 내가 속해 있던 기관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거듭났다는 점에 만족한다. KAIST 경영대학원도 그런 방향으로 이끌 계획이다."라며 세계화와 일류화의 포부를 밝혔다.
2006.08.29
조회수 15842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