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용공학연구소 임명진 박사, 세계인명사전에 등재
KAIST 응용과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중인 임명진(任明鎭, 32) 박사가 세계적 인명사전인 ‘마르퀴즈 후즈후’(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6년도 판에 등재된다.
任 박사는 이방성 전도 필름 및 접착제 기술 부문에서 SCI급 해외저널 논문 17편, 국제특허 8건, 국내특허 9건 등록 포함 30여건의 특허, 국제학술회의 발표 30여편 등 탁월한 연구 성과로 고밀도 환경친화적인 반도체 패키지 접속 소재 연구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이방성 전도 필름 및 페이스트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기가 흐르는 전기적 이방성 및 접착성을 갖는 고분자막으로 현재 LCD, PDP 등 평판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분야와 센서 및 반도체 패키지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2001년 KAIST 신소재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任 박사는 2000년 삼성전자 주최 제6회 휴먼테크 논문상 은상 수상,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연구자 선발, 2003년 제8회 전자부품콘테스트 한국전자부품진흥회장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마르퀴즈 후즈후는 지난 1899년부터 발간돼 세계 215개국을 대상으로 정치·경제·사회·예술·의학·과학 등 각 분야 저명인사와 탁월한 리더를 선정, 업적과 프로필 등 이력을 소개하는 세계 3대 인명사전중 하나이다.
2005.10.20
조회수 14303
-
인공위성 우리별주역 박강민씨, 11년만에 박사학위
박강민 씨, KAIST 전기전자과 1천호 박사의 영예도 함께 얻어
국내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개발한 30대 후반의 "늦깎이 위성박사" 박강민(朴剛民, 38)씨가 KAIST 전기전자과 1천호 박사의 주인공이 됐다.
KAIST 학사과정(구. 과학기술대학) 첫 입학생(86)이며, 지난 92년 발사된 우리별 1호의 개발 주역이었던 朴 박사는 91년도에 영국 서리(Surrey)대학에서 위성통신공학으로 석사학위를 마쳐 위성공학계에서는 이미 주목받는 인물이었다.
朴 박사는 영국 서리 대 유학시절부터 우리별1, 2호 개발에 몰두하여 인공위성 불모지였던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전유물이었던 우주기술 분야에 최초로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박사과정은 94년도에 입학했지만, 이후로도 계속되는 우리별 3호와 과학위성 연구개발에 참여하느라 졸업이 계속 늦춰져 11년만인 올해 2월에 졸업한다.
졸업논문은 위성용 합성개구 레이다에 사용된 안테나 면적의 최적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정찰용 레이다인 합성개구 레이다를 탑재한 정찰위성 개발의 선구자가 되겠다.고 소감을 밝힌 朴 박사는 KAIST 학부 1기,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유난히도 첫 번째와 인연이 많은데 합성개구레이다를 탑재한 정찰위성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우리별 1호 개발의 공로로 92년도에는 대통령 표창을 수여하기도 했던 朴씨는 현재 인공위성 및 산업용 카메라 개발업체인 (주)한비전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까지 999명의 박사를 배출했던 전기전자공학과는 단일학과에서는 국내 최초로 박사학위자 1,000명을 넘어 1,036명을 기록하게 되었다.
또한 1천호 박사를 배출한 KAIST 전기전자과 박사과정 졸업생 중 328명은 대학 교수로, 나머지 671명은 산업체와 연구기관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5.02.23
조회수 15257
-
200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2/18)
박사 232명, 석사 593명, 학사 375명 등 총 1,200명의 고급 과학기술인력 배출
KAIST(총장 로버트 러플린)는 오는 2월 18일(금) 오전 11시(석박사)와 오후 3시(학사) 두 차례에 걸쳐 200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한다.
이날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232명, 석사 593명, 학사 375명 등 총 1,200명이 학위를 받게 된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71년 설립이래 박사 5,990명, 석사 16,217명, 학사 7,393명 등 총 29,600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되었다.
또한 「20대 박사의 산실」이기도 한 KAIST는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도 박사학위 수여자 232명 중 38.3%인 89명이 20대 박사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KAIST 출신 박사 총 5,990명 중의 43.7%인 2,615명이 20대 박사로 기록되고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오명(吳明) 과학기술부총리, 염홍철(廉弘喆) 대전광역시장, 나정웅(羅正雄) 광주과학기술원장을 비롯한 정부출연기관장, 임관(林寬) KAIST 이사장 등의 내빈이 참석할 예정이다. 러플린 KAIST 총장은 석사 학위자 학과별 대표와 학사 및 박사학위자 전원에게 직접 학위를 수여하며, 졸업식사를 하게된다.
■ 부부박사 탄생, 김상준 박지연 씨
같은 학과, 같은 실험실, 같은 세부전공의 부부박사가 같은 날 탄생했다. 생명화학공학과 환경복원공학연구실(지도교수: 양지원 楊枝元) 소속의 김상준(金相俊, 28), 박지연(朴智 女燕, 27)부부가 그 주인공. 이들은 지난 2000년 3월부터 교제하여 올 1월 결혼했다. 金씨의 학위논문제목은 동전기 생물학적 복원에 의한 석유계 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정화이며 석유로 오염된 토양에 미생물과 영양원을 전기적으로 연속 공급하여 오염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 기술에 대한 논문이다. 朴씨의 학위논문은 동전기-펜턴 공정을 이용한 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정화이며, 석유로 오염된 토양에 과산화수소를 전기적 방법으로 공급하여 오염물을 화학적 산화에 의해 단기간에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논문이다. 논문제목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세부전공도 같은 분야를 연구한 이들은 당분간 KAIST에서 박사후연구원(Post-Doc.)으로 근무할 예정이며, 金씨는 정부출연연구소에, 朴씨는 특허청에 입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 최연소 박사, 화학과 심지혜씨
이번 졸업생 중 최연소 박사는 화학과를 졸업하는 심지혜(沈智慧, 만 26세, 1979년 2월 5일생)씨며, 학위논문제목은 수퍼셀 방법을 이용한 반도체 결함의 형성에너지와 구조완화의 계산 및 이론적 연구(지도교수: 화학과 이억균 李億均 교수)이다. 沈 씨는 졸업 후 삼성전기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할 예정이다.
■ 학사과정 수석졸업, 생명과학과 최유라씨
학사과정 수석졸업의 영광은 4.3만점에 4.15의 평점으로 생명과학과를 졸업하는 최유라(崔有羅, 21)씨가 차지했다. 崔씨는 대통령상에 해당하는 21세기를 이끌 우수인재상을 수여하게 된다. KAIST 석사과정에 진학, 학업을 계속하게 된다.
■ 전기전자공학과 1,000호 박사 탄생 - 박강민씨
지난해까지 999명의 박사를 배출했던 전기전자공학과에서는 단일학과에서는 국내 최초로 박사학위자 1,000명을 넘어 1,036명을 기록하게 되었다.
1,000번째 박사학위는 KAIST 학사과정(구. 과학기술대학) 첫 입학생(86)이며, 지난 92년 발사된 우리별 1호의 개발 주역이었던 박강민(朴剛民, 38)씨가 차지했다. 朴씨는 91년도에 영국 서리(Surrey)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줄곧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박사과정은 94년도에 입학했다.
우리별 1호 개발의 공로로 92년도에는 대통령 표창을 수여하기도 했던 朴씨는 현재 인공위성 및 산업용 카메라 개발업체인 (주)한비전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2005.02.17
조회수 15903
-
생명화공 임선기 교수, 한국공업화학회 회장에
한국공업화학회는 최근 정기총회를 열고 제 11대 회장에 KAIST(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임선기(任善基, 59) 교수를 선출됐다고 밝혔다. 임기는 2005년 1월부터 1년간이다.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任교수는 미국 뉴욕주립대 버펄로캠퍼스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78년부터 KAIST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공업화학회는 공업화학에 관한 학문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을 도모하며 공업화학의 진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지난 1990년 5월에 설립되었다. 회원 수는 약 3,000여명이며, 본부와 7개의 지부, 12개의 위원회 그리고 15개의 분과 조직을 두고 있다.
2005.01.07
조회수 14446
-
수소박사 이재영 교수 정년퇴임(8.31 화)
‘수소박사’로 불리우고 있는 KAIST 신소재공학과 이재영(李在英) 석좌교수가 31일(화) 정년퇴임한다.
李 교수는 KAIST(당시 한국과학원) 설립초기인 1973년 신소재공학과(당시 재료공학과) 전임교수로 부임, 이후 32년간 박사 50명과 석사 97명 등의 후학을 양성했다.
또한 국외 학술논문 283편, 국제학술회의 111편 발표 등을 비롯하여 국내외에 총 478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왕성한 연구활동을 펼쳐왔다. SCI논문 283편이 총 2345회 인용되었고, 이 중 대표 논문 10편에서 457회가 인용되는 등 신소재공학 분야의 세계적 학자로 이름을 높였다.
특히 李 교수는 금속 재료상에서 수소의 확산 특징과 결합 에너지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소열분석법’을 확립, 세계 학계에서도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수소박사’다. 2001년 한국공학상,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을 수상했으며, 1994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창립.종신회원, 2002년 세계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 등을 역임하고 있다.
李 교수는 평소 “저에게 연구는 취미와도 같은 것입니다. 즐거운 일을 직업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게 행복이지요. 카이스트의 우수한 학생들과 함께 연구에 몰두할 수 있어 행복합니다”라는 말을 자주 했으며, 좋은 아이디어를 내주고 같이 노력한 젊은 후학들에게 뭔가 남겨주어야 한다는 자세로 학생들을 지도했다.
정년퇴임식은 31일(화) 오후 4시, 응용공학동 공동강의실에서 있을 예정이며, 이 자리에서 명예교수에 추대된다.
2004.08.31
조회수 16221
-
2003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8.20 금)
- 박사 175명, 석사 135명, 학사 104명 등 총 414명의 과학기술인력 배출 - 만 26세인 전자전산학과 우람찬씨, 최연소 박사 영광 차지
KAIST(총장 : 로버트 러플린)는 오는 20일(금)오후 2시, 대강당에서 2003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식을 거행한다.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175명, 석사 135명, 학사 104명 등 414명의 고급 과학기술인력이 배출된다. 이로써 KAIST는 지난 1971년 설립이래 박사 5,758명, 석사 15,624명, 학사 7,018명 등 총 2만8천4백명의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게 되었다.
또한 "20대 박사의 산실"이기도 한 KAIST는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도 박사학위 수여자 175명 중의 45.7%인 80명이 20대 박사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지금까지 KAIST 출신 박사 총 5,758명 중의 43.9%인 2,526명이 20대 박사로 기록되고 있다.
이번 졸업생 중 최연소 박사는 전자전산학과를 졸업하는 우람찬(禹籃燦, 만26세)씨이다. 禹씨의 학위 논문제목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위한 저전력 3차원 그래픽 SoC의 설계 및 구현”(지도교수 : 전자전산학과 柳會峻 교수)이다.
禹씨는 졸업후 미국의 세계적인 비메모리 반도체 회사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社에서 저전력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구조를 연구할 예정이며, 장래 꿈은 국내 전자계통 대기업의 CEO가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오명(吳明) 과학기술부 장관, 임관(林寬) KAIST 이사장, 권오갑(權五甲) 과학재단 이사장을 비롯한 대덕연구단지내 정부출연기관장 등의 내빈이 참석한다. 러플린 KAIST 총장은 이날 학/석사 학위자 학과별 대표와 박사 학위자 전원에게 직접 학위를 수여하며, 졸업 식사를 하게 된다.
2004.08.18
조회수 15319
-
실험실 폭발사고 유족보상금 KAIST학술기금으로 기부
실험실 폭발사고 유족보상금 KAIST학술기금으로 기부 - 故 조정훈 박사 부친 조동길 교수‘항공우주공학학술기금’으로 4억4천만원 기부 - KAIST는 13일(목), 교내 노천극장에서 1주기 추모행사
지난 해 KAIST 항공우주공학전공 풍동실험실 폭발사고로 숨진 故 조정훈 박사(사고당시 25세)의 부친인 조동길 교수(공주대)가 KAIST로부터 받은 유족 보상금에 사재를 합친 4억4천만원을 KAIST발전기금으로 기부해 화제가 되고 있다.
조동길 교수는 아들의 못다 핀 항공우주공학에 대한 꿈을 승화시켜야 겠다는 생각에 기부를 결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KAIST는 기탁된 특정목적기금「KAIST 조정훈 항공우주공학학술기금」에서 발생되는 수익금을 활용, 「항공우주공학 학술상」을 제정하였으며, 이 상은 매년 국내 항공우주공학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낸 소장 및 신진학자에게 수여된다.
한편, KAIST는 지난 5월 13일(목) 오후 3시, 교내 노천극장에서 고인에 대한 1주기 추모행사를 거행하였다. 또한 이 자리에서는 애석하게 떠난 고인의 넋을 기리고 안전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조성된 추모공원에서 추모시비의 제막행사도 함께 열렸다.
2004.05.17
조회수 17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