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AA%85%EC%98%88%EA%B5%90%EC%88%98
최신순
조회순
이정오 KAIST 명예교수 타계
- 제5대 과학기술처 장관/ 제6대 한국과학원 원장/ 제4대 KAIST 원장 역임/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큰 족적 남겨 KAIST( 총장 서남표 ) 기계공학과 이정오 (李正五) 명예교수가 6월 15일(금) 오전 11시 50분경 숙환으로 타계했다. 향년 76세다.故 이정오 교수는 지난 1973년 KAIST 기계공학과에 부임하여 24년 동안 후진양성과 기계공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제5대 과학기술처 장관과 제6대 한국과학원 원장, 제4대 KAIST 원장을 역임하였으며, 과학기술의 불모지인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에 큰 족적을 남겼다. 특히, 80년대 초 대덕연구단지의 연구분위기가 침체되고 있을때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정부출연기관의 대덕이전 계획을 마련하고 정부 예산을 확보하여 이를 실천에 옮기는 등 대덕연구단지 조기 활성화에 틀을 마련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또한 대통령 주재하여 각계 인사가 참여하는 기술진흥 확대회의를 구상하고 설치하여 정부 및 민간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그 확산에도 크게 기여했다. 1985년 청조근정훈장을 수여했으며, 1997년 정년 퇴직 후에도 후진 양성에 각별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는 등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평생을 바친 분이다. <참고사항>- 빈소 : 대전 을지대학병원 장례식장 1호- 발인 : 2007년 6월 17일(일) 오전 7시|- 장지 : 천안 공원묘지- 유족 : 미망인 강옥향(姜玉香) 장남 이종선(李宗宣) 한동대학교 교수 차남 이한선(李翰宣) LG화학 부장 장녀 이명애(李明愛) 사위 이영수(李泳洙) 생산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연락처: 019-480-2451(이한선)
2007.06.15
조회수 16238
이병휘 명예교수, 학교 발전기금 1억 기부
학교 사랑 몸소 실천, 원자력 분야 후학 양성 도움 희망 KAIST(총장 서남표)는 이병휘(李炳暉, 76) 명예교수가 최근 학교 발전기금 1억원을 기부했다. 李 교수는 원자력 분야 전문가로 한국 원자력 발전에 크게 공헌했고, 지난 1996년 정년 퇴직한 후에도 원자력 분야 후학 양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왔다. 발전기금 전달식에 참석한 李 교수는 ‘원자력 분야 후학 양성에 조그마한 보탬이라도 되었으면 좋겠다’고 겸손하게 소감을 밝혔다. 장순흥(張舜興) KAIST 교학부총장은 “李 교수는 평소 검소한 생활과 연구에 대한 끝없는 열정으로 모든 후학의 귀감이 되었다”며 “이 장학기금은 어려움 속에서도 원자력 분야에서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준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학교측은 학생들이 李 교수의 후학에 대한 애정을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원자력공학과 학생 스터디룸을 ‘이병휘 스터디 홀’로 이름을 붙였다.
2007.01.19
조회수 10388
나정웅 교수 정년 퇴임
광주과기원(GIST) 원장을 역임한 KAIST 전기전자공학과 1호 교수 나정웅(羅正雄, 65) 교수가 정년퇴임했다. 羅 교수는 KAIST 설립년도인 지난 1971년 KAIST 교수로 부임, 전기전자공학과 학과를 직접 설립했으며, 전기전자공학과를 세계적인 학과로 발전시키는데 크게 공헌했다. 또한 광주과기원설립추진단장과 제3대 원장을 역임하면서 광주과기원을 특화된 연구중심대학원으로 급성장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羅 교수는 지난 35여년간 KAIST에 재직하면서 후학 양성에 전념, 박사 37명, 석사 90명을 배출했으며, 국내외 유명저널논문 113편과 학술대회논문 93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학술연구 활동을 펼쳤다. 특히 전자파 이용 및 응용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羅 교수는 지하땅굴을 찾는 ‘연속 전자파 지하 레이다’를 발명했으며, 지난 1989년에는 이 레이다를 이용, 제4땅굴을 발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인재양성과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모란장(1999년)과 전자파진흥유공자상(2005년)을 수여받았다. 羅 교수의 정년퇴임식은 지난 29일(금) 교내 정문술빌딩 드림홀에서 있었으며, 이 자리에서 명예교수로 추대된다.
2006.10.04
조회수 15014
윤덕용 前 KAIST원장 정년퇴임
2004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던 KAIST 신소재공학과 윤덕용(尹德龍, 65) 석좌교수가 지난 10일(목) 정년퇴임식을 가졌다. 尹 교수는 1972년 신소재공학과(당시 재료공학과) 최초의 전임교수로 부임하여, 학과를 설립했으며, 이후 33년간 박사 43명과 석사 68명 등의 후학을 양성했다. 또한 국외 학술논문 145편, 국제학술회의 39편 발표 등을 비롯하여 국내외에 총 200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의욕적인 연구활동을 펼쳐왔다. 이러한 연구업적으로 尹 교수는 88년 국민훈장 동백장, 95년 호암상 공학부문 수상, 2004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등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자로 명성을 다져왔다. 특히 尹 교수는 분말 재료의 액상소결 중 일어나는 기공소멸 현상을 발견, 그 이론을 제시했으며 다결정체에서 조성변화에 의한 입계와 액상막의 이동현상을 발견해 그 원리를 규명하고 실험적으로 입증하는 등 첨단 소재의 재료공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업적을 이뤄냈다. 또한 95년 6월부터 3년간 제9대 KAIST 원장으로 재직하면서, 테크노경영대학원과 신기술창업지원단의 설립 등을 통해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정년퇴임식은 10일(목) 오후 3시, 교내 응용공학동 1층 영상강의실에서 있었고, 이 자리에서 명예교수에 추대됐다.
2005.03.15
조회수 17619
이상엽교수, 호주 퀸스랜드대 명예교수 추대
KAIST(총장직무대행 : 劉進)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李相燁, 40, LG화학 석좌교수)가 최근 호주 퀸스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및 호주생명공학-나노기술연구소의 명예교수(Honorary Professor)에 추대되었다고 밝혔다. 퀸스랜드대학과 연구소측은 李 교수의 시스템생명공학 관련 연구업적을 높이 평가, 임기 3년의 명예교수로 추대했다고 알려 왔다. 앞으로 李 교수는 시스템생물학 및 나노바이오기술분야에 대한 자문을 하게 되며, 대학과 연구소 보유의 연구시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캐나다 반프에서 열린 국제대장균통합학회(IECA 2004)에서 “시스템생명공학적 접근에 의한 대장균이용 유용물질 생산”에 관한 초청강연을 하고 돌아온 李 교수는 “고가의 기자재를 보유한 퀸스랜드대학의 우수한 연구진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시스템생명공학 분야에서 좋은 연구실적을 낼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1909년에 설립된 퀸스랜드대학은 호주 최고대학그룹(Group of Eight) 멤버로서 상위 3위안에 드는 연구중심대학이다. 생물과학, 나노기술 및 신경과학 분야가 주요 교육/연구분야이며, 교수 1,963명에 학생수는 3만4천명이다.
2004.07.06
조회수 15542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