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인호칼럼 부패 고발 보상제도의 효과
우리학교 문화과학대학 인문사회과학과 이인호 초빙석좌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2월18일(목)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이인호칼럼] 부패 고발 보상제도의 효과
매체: 동아일보
저자: 이인호 김보정석좌교수(초빙석좌교수)
일시: 2010/2/18 목
칼럼보기
http://news.donga.com/Column/3/04/20100218/26250136/1
2010.02.18
조회수 8592
-
김도경칼럼 입학사정관제 성공의 길
우리학교 입학처 김도경 처장(신소재공학과 교수)이
동아일보 2010년 2월18일(목)자에 시론을 게재했다.
제목: [시론/김도경] 입학사정관제 성공의 길
매체: 동아일보
저자: 입학처장 김도경(신소재공학과 교수)
일시: 2010/2/18 목
칼럼보기
http://news.donga.com/Column/3/04/20100218/26250219/1
2010.02.18
조회수 10150
-
원광연칼럼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우리학교 문화기술대학원장 원광연 교수가
세계일보 2010년 2월 18(목) 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사이언스리뷰]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매체: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교수(문화기술대학원장)
일시: 2010/2/18(목)
칼럼보기 [사이언스리뷰] 창의력을 성장동력화하려면
2010.02.18
조회수 8314
-
서남표칼럼 중국 대학들은 세계 톱 10 된다는데
서남표 총장이 조선일보 2010년 2월 8일(월)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 [시론] 중국 대학들은 세계 톱 10 된다는데
저자 : 서남표(KAIST 총장)
일시 : 2010/2/8(월)
칼럼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2/07/2010020700799.html
2010.02.08
조회수 9818
-
권영선칼럼 구직비용 낮추기위해 정부노력 필요
우리학교 이노베이션학부 경영과학과 권영선 교수가
충청투데이 2010년 2월 3일(수)자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수요광장] 구직비용 낮추기 위해 정부노력 필요
신문: 충청투데이
저자: 권영선(Innovation 학부 경영과학과) 교수
일시: 2010/2/3(수)
칼럼보기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9613
2010.02.03
조회수 8973
-
김진형칼럼 아이폰,아이패드 소란을 보며
우리학교 김진형 교수(전산학과)가 "아이폰,아이패드 소란을 보며"란 제목의 칼럼을
한겨레신문 2010년 2월 3일(수)자에 실었다.
제목 [시론] 아이폰,아이패드 소란을 보며
저자 김진형(전산학과) 교수
매체 한겨레신문
일시 2010/2/3(수)
칼럼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402443.html
2010.02.03
조회수 8902
-
쿠마르칼럼 인도에서 찾는 기회
라비 쿠마르 경영대 학장이
매일경제 2010년 2월 3일(수) 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매경춘추] 인도에서 찾는 기회
매체: 매일경제
저자: 라비 쿠마드 경영대학장
일시: 2010/2/3(수)
칼럼보기
[매경춘추] 인도에서 찾는 기회
2010.02.03
조회수 8575
-
이인호칼럼 국치100년을 곱씹어야할 이유
우리학교 문화과학대학 인문사회과학과 이인호 초빙석좌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1월21일(목)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이인호칼럼] 국치 100년을 곱씹어야할 이유
매체: 동아일보
저자: 이인호 김보정석좌교수(초빙석좌교수)
일시: 2010/1/21 목
칼럼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00121/25552045/1
2010.01.21
조회수 8774
-
안충승칼럼 녹색혁명의 길 `연안운송`
(주)모바일하버 사장이며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 특훈전문교수인 안충승 교수가
2010년 1월 21일(목)자 한국경제에 [시론] 녹색혁명의 길 "연안운송" 이란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제목: [시론] 녹색혁명의 길 `연안운송`
매체: 한국경제
저자: 안충승 (주)모바일하버 사장,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 특훈전문교수
일시: 2010/1/21(목)
칼럼보기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12057161
2010.01.21
조회수 10444
-
2009 Seoul Global IT Forum 개최(10/9)
34개국 73명의 해외IT관련 공무원과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체의 IT 전문가등 150여명이 참여하여 정보통신분야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포럼이 우리학교 주최로 열린다.
KAIST 글로벌IT기술전문가과정(ITTP)은 서울대 국제IT정책과정(ITPP)와 공동으로 2009 서울 글로벌 IT포럼을 ‘정보통신기술(ICT) 협력 경험 공유를 통한 글로벌 파트너쉽 구축’이라는 주제로 서울 리츠칼튼호텔에서 오는 9일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해외IT공무원과 국내 정부기관 및 기업체의 IT 전문가등 약 150여명이 참여하여 한국과 정보통신분야의 실제 국제협력 사례를 공유하며 향후 협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코스타리카 국립과학기술연구소(Rafael Murillo, KAIST ITTP),네팔 정보기술센터(Sunil Paudel, KAIST ITTP), 아제르바이잔 SK C&C(Nigar Guliyeva, KAIST ITTP졸업), 몽골 과학기술재단(Narantsogt Sanjaa, 서울대 ITPP), 스리랑카 국립과학기술위원회(Muditha Liyanagedara, 서울대 ITPP) 출신의 졸업생 5명이 출신기관의 간부급 1명과 함께 초청돼 그간 진행된 또는 향후 진행될 한국과의 정보통신기술(ICT) 협력 현황을 발표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특허청 등 5개의 정부기관과 삼성네트웍스, KT, 안철수연구소등 11개 업체가 참여하여 KAIST ITTP과정과 서울대 ITPP과정에 재학중인 약 34개국 73명의 해외 IT 공무원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해외 진출희망국가 공무원과 직접만나 협력을 논의할 수 있다. 또한 참여 해외 IT공무원은 한국의 IT전문가로부터 정보통신분야 협력자문을 구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지식경제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후원한다.
<과정소개>
* KAIST 글로벌 IT기술 전문가 과정IT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신흥전략국가의 IT분야 공무원 및 IT 기술 전문가를 대상으로 맞춤식 석∙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하여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지역의 장기적인 협력거점과 인적 네트워크 확보를 통한 지한파 양성 및 IT산업 해외진출 및 수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지식경제부로부터 연간 17억원의 재원을 지원받아 2006년 2월부터 과정을 개설함. 연간 20명 내외의 신규 교육생을 선발함.
<약어설명>
* ITTP : KAIST 글로벌IT기술전문가과정(KAIST Global IT Technology Program)
* ITPP : 서울대 국제IT정책과정(Seoul National University International IT Policy Program)
<행사일정>
(1) 10/9(금) 09:30~12:10 개회 및 기조연설
- 환영사: KAIST ICC 강민호 부총장, NIPA 김선봉 부원장
- 축사
: 튀니지 대사, 안철수연구소 김홍선 사장
: KAIST ITTP과정 노재정 책임교수
- 기조연설
: 서울대 공대 강태진 학장
: ETRI 김명준 부원장
: 삼성네트웍스 James Angelone 상무 : NIA 김성태 원장
(2) 10/9(금) 13:30~16:10 Parallel Session
- Parallel Session I
: 특허청 윤원길 팀장
: KT 이병노 부장
: NIPA 김준연 팀장
: 조달청 강성민 과장
: NIA 윤정원 부장
- Parallel Session II
: 아제르바이잔 SK C&C Nigara Guliyeva
: 코스타리카 국립과학기술연구소 Rafael Murillo
: 몽골 과학기술재단 Tudev Ganerdene
: 네팔 정보기술센터 Sunil Paudel / Subarna Shakya : 스리랑카 국립과학기술위원회 Muditha Liyanagedara
2009.10.08
조회수 17213
-
김병호회장 300억 기부에 각종 사설칼럼 이어져
경기도 용인의 서전농원 김병호 대표가 3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한 이래로 주요 매체에서 각종 사설과 칼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김병호 회장은 지난 2009년 8월 12일 자신이 평생 모은 재산 300억원을 과학기술 발전에 써달라며 KAIST에 기부하면서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이라며 그의 인생철학을 밝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준 바 있다. 다음은 김병호 회장의 발전기금 기부를 의미있게 다룬 각종 사설과 칼럼들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가난의 대물림" 끊어줄 기부와 장학금
동아일보 사설(2009/08/14)
- [사설] 300억 재산 쾌척한 김대표 가족의 나눔정신
세계일보(2009/08/14)
- [설왕설래]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문화일보(석간) 사설(2009/08/13)
- [사설] "버는 건 기술, 쓰는 건 예술" - 김병호회장의 기부
아시아경제(석간) 칼럼(2009/08/13)
- [권대우의 경제레터]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대전일보 사설(2009/08/13)
- 김 회장의 아름다운 KAIST 발전기금 기부
경제주간지 이코노믹 리뷰 칼럼(2009/08/19)
- 버는 것은 기술, 쓰는 것은 예술 (권대우 아시아경제신문 회장)
중앙일보 칼럼(2009/08/26)
- [시론]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이광형 KAIST 교수)
2009.08.28
조회수 8478
-
2010학년도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전국 일반고 학생 150명 최종 선발
- 전국 651개교 학교장 추천자 1명씩에 대해 서류평가, 고교방문면접, 심층면접 실시
- 역경을 극복한 학생, 특정분야 영재성이 있는 학생 다수 포함
- 전국 일반고교 골고루 합격자 배출, 여학생 비율이 40%로 대폭 증가
새로운 입학사정관제 전형인 2010학년도 ‘학교장 추천전형’의 일반고교출신 최종합격자 150명 명단을 지난 7일(금) 발표했다.
우리대학 2010학년도 학교장 추천전형은 사교육을 줄여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고 미래를 이끌어 나갈 창의성과 잠재력 있는 인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올해 처음 시행된 입학사정관제 전형이다.
입학처는 지난 5월말 전국 651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각 1명씩 학교장 추천을 받은 이후, 제출 서류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박승 전 한국은행총재 등 사회저명인사를 포함한 입학사정관들의 고교현장 방문 면접평가를 통해 300명의 1단계 합격자를 7월 16일에 발표했다. 이후 7월 23일 KAIST 캠퍼스에서 개최된 2단계 심층면접을 통해 개인면접, 토의면접 등 다양한 면접방식으로 지원자의 탐구역량, 대인역량, 내적역량, 영재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최종합격자 150명을 선발하게 되었다. 이중 농산어촌 학생 16명, 저소득층 학생 15명이 포함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학생(서울, 경기, 인천지역) 53.3%, 타 지역 학생 46.7%로 전국 일반계고교에서 골고루 합격자를 배출했으며 이번 전형을 통해 150개 고교 중 91개교가 2006년 이후 처음으로 합격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여학생 비율이 40%로 대폭 증가 했으며, 지금까지 재학 중인 여학생 23%보다 17%나 더 많은 여학생이 선발됐다.
이번 합격자 중에는 역경을 극복한 학생, 특정분야 영재성이 있는 학생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눈길을 끈다. 국내 특허를 다수 보유, 출원중이고 중기청 주관 벤처창업경진대회 우수상, 서울시 시민상 등을 수상한 서울 백암고 박병훈 학생, 로봇분야의 영재성 및 창조성이 돋보인 실업계 고교 대진정보통신고의 조민홍 학생, 고교 수준의 교재 2권(수리, 과학 논술집, 수학이론 및 해설집)을 저술한 한일고 김남우 학생, 발명특허 6건, 실용신안 2건을 가진 대전 지족고 이경율 학생, 어머니와 함께 매달 한 번씩 양로원에서 봉사활동은 한 동국대 사범대부속고 오장섭 학생, 세계 창의력 올림피아드 및 유니세프 세계 청소년 기후변화 포럼 한국대표로 활동한 신성여고 신희선 학생, 동료학생들에게 수학과목을 2년 동안 가르친 경혜여자고 유연이 학생, 컴퓨터 관련 자격증 13개를 취득했으며 빌게이츠와 같은 CEO가 되는 것이 꿈인 아산고 김성영 학생 등이 있다.
2009.08.10
조회수 16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