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수 교수, ‘대한민국 IT 이노베이션 대상’ 대통령 표창
- G20 지원 Wi-Fi 기반 코엑스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공로 인정 -
우리 학교 전산학과(KTNET-KAIST 산학연구센터장) 한동수 교수가 3일 10시 30분 서울 EL-TOWER 7층 그랜드홀에서 열린 ‘2011 대한민국 IT 이노베이션 대상’ 개인유공자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한동수 교수는 ▲지난해 2월 사용자 참여형 방식으로 와이파이 신호를 사용해 실내에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와이파이 기반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상용화 기술을 개발해 G20 행사 기간에 코엑스에서 출시 ▲올해 와이파이 기반 지하철 내비게이션 시스템인 ‘지하철 내리미’를 개발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또 유비쿼터스 헬스(u-Health), IT-바이오융합 등 다양한 IT융합분야에서 지난 10여년에 걸쳐 국내외 학술지 200여편의 논문게재, 2편의 전문 서적 출간, 7건의 특허 등록, 그리고 20여건의 특허를 출원해 국내외 IT융합기술 발전에 폭넓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11 대한민국 IT 이노베이션 대상’은 지식경제부가 주최해 IT융합시장의 선점 및 IT융합을 통한 국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우수사례 발굴 및 성과 확산을 위해 IT융합과 녹색기술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과 유공자를 발굴해 주는 상이다.
2011.11.03
조회수 15596
-
KAIST, 2011 지식재산대상 시상
- KAIST 총장상 (주)윕스 이형칠 대표, 대한변리사회장상 (주)LG전자 특허센터 김정중 상무(전문위원),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장상 (주)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김광준 전무(법무팀장)
우리학교는 지난 21일 오전 11시 40분 서울 도곡동 캠퍼스 AMP홀에서 KAIST, 대한변리사회,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 관계자와 수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1 지식재산대상 시상식을 가졌다.
KAIST 총장상을 수상한 (주)윕스의 이형칠 대표는 특허검색서비스 WIPS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해 2010년 WIPO(세계지식재산기구)가 선정한 세계 6대 특허 정보 제공자(Patent Information Provider)로 선정되는 등 우리나라의 지식재산 검색 및 분석 서비스 산업을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시킨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대한변리사회장상을 수상한 (주)LG전자 김정중 상무는 해외 기업들의 LG전자 DTV(디지털 지상파 TV) 특허 침해에 공세적으로 대응해 미국 DTV 판매 1위 업체인 Vizio를 상대로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ITC(무역위원회) 소송에 승리하고 라이센싱 계약을 이끌어 내는 등 국내 기업의 특허활동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장상 수상자인 (주)삼성 모바일디스플레이 김광준 전무는 삼성전자 재직 시 특허전략팀, IP법무팀, 특허분석팀 등을 두루 이끌면서 삼성전자의 미국 특허등록 순위를 "03년 9위에서 "06년 2위에 오르게 했다. 또한, 대만 PC업체들을 비롯한 다수의 경쟁업체 및 특허 괴물(Patent Troll)들과의 분쟁에서 승소하고, 특허 전문업체들에 의한 사업 리스크 최소화 전략으로 미국 인텔렉추얼 벤처스(Intellectual Ventures)와 전략적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는 등 국내 기업의 특허활동을 체계화했다는 업적을 인정받았다.
지식재산대상은 KAIST가 대한변리사회(회장 이상희),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회장 백만기)와 공동으로 주최해 지식재산의 창출, 활용, 보호활동을 통해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개인이나 기업을 선정해 올해 처음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이 상은 기업들의 구체적인 지식재산 경영활동 성과와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가치창출 및 수호 사례를 중점적으로 심사하는 점에서 지식재산 분야의 다른 상들과 차별화된다. 주관기관은 KAIST 지식재산대학원이며, 김옥란 기념사업회가 포상금을 후원하고 있다.
2011.05.23
조회수 16006
-
김명석교수, 지식경제부 장관표창 수상
우리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김명석 교수가 2009 로봇산업인의 밤 행사에서 로봇산업발전 유공자 중 7명에 포함돼 지식경제부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김명석 교수는 로봇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인재양성 및 로봇디자인 연구 개발에 참여한 점을 인정받았으며, 현재「로봇과 문화포럼」대표 및 한국로봇학회 감사로 활동 중이다.
한편, 로봇산업인의 화합과 결의를 다지고 관련 유공자들을 치하하기 위한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상 및 로봇산업인의 밤” 행사가 정운찬 국무총리, 곽승준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장, 임채민 지경부 제1차관을 비롯한 로봇 산·학·연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9년 12월 3일(목) 오후4시30분에 서울 63시티 코스모스홀에서 개최된 바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그 동안 로봇산업 경쟁력강화에 기여한 유공자 7명과 우수한 로봇제품 개발을 통해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6개 기업에 대해 포상을 실시했는데, 로봇산업발전 유공자 부문 중에서 영예의 대통령 표창은 한국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를 제2위의 휴머노이드 로봇개발국으로 도약시킨 KAIST 오준호 교수가 수상했다. 국무총리 표창은 유콘시스템(주) 배진근 전무, 지경부 장관표창은 KAIST 김명석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경진호 책임연구원, 한성대학교 조혜경 교수, 현대로템(주) 이정엽 책임연구원, 전자신문사 배일한 미래팀장 등이 수상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운찬 국무총리는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한 로봇산업인들을 치하하며, “로봇이 미래 우리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갈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로봇산업인들이 미래를 대비한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에 매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2009.12.04
조회수 16762
-
휴보아버지 오준호교수, 대통령표창 수상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제4회 대한민국 로봇대상 및 로봇산업인의 밤 행사에서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정운찬 국무총리, 곽승준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장, 임채민 지경부 제1차관을 비롯한 로봇 산·학·연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09.12.3(목) 16:30부터 63시티 코스모스홀에서 개최된 이날 행사에서는 그 동안 로봇산업 경쟁력강화에 기여한 유공자 7명과 우수한 로봇제품 개발을 통해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한 6개 기업에 대해 포상을 실시했다.
로봇산업발전 유공자 부문에서 영예의 대통령 표창은 한국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함으로써 우리나라를 제2위의 휴머노이드 로봇개발국으로 도약시킨 우리학교 오준호 교수가 수상했으며, 국무총리 표창은 유콘시스템(주) 배진근 전무, 지식경제부 장관표창은 우리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김명석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경진호 책임연구원, 한성대학교 조혜경 교수, 현대로템(주) 이정엽 책임연구원, 전자신문사 배일한 미래팀장 등 7명이 수상했다.
한편, 올해의 우수 로봇제품을 선정하는 지능형로봇기술대상 부문 대통령상은 ‘로봇전용 액츄에이터’을 개발한 ‘(주)로보티즈(대표 김병수)’가 수상하였는데, 이 제품의 Dynamixel은 감속기, 제어기, 구동기 및 Network 기능 등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모듈로 만든 새로운 개념의 로봇전용 스마트 액츄에이터이다. 국무총리상은 (주)도담시스템스(대표 문영남), 지경부 장관상은 호야로봇(주)(대표 이소열), (주)엔티리서치(대표 김경황)에서 각각 수상했다.
이날 행사에서 정운찬 국무총리는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로봇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한 로봇산업인들을 치하하며, “로봇이 미래 우리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갈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로봇산업인들이 미래를 대비한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에 매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로봇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도 연구개발 예산을 확충하고, 규제를 과감히 개혁하여 기업의 투자여건을 개선” 할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오준호 교수는 국내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의 달리기 기능 등이 시연되어 큰 관심을 끌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달리기 공개 시연은 국내 최초로 세계에서 3번째이자 국가로는 일본에 이어 2번째로, 시속 3.6Km의 속력으로 두 발로 달림으로서 우리나라의 우수한 휴머노이드 로봇기술을 대내외에 과시했다. 이날 휴보는 뛰는 기능 이외에도 사람처럼 손목을 빙빙 돌리는 기능, 5개의 손가락에 센서가 들어있어 복잡한 형태의 물건을 떨어뜨리지 않고 쥐는 기능도 같이 선보였다. 개발책임자인 오준호 교수는 “앞으로 휴보가 더 빨리 달리고, 방향전환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09.12.04
조회수 17364
-
항공과 석사과정 유동일 항공우주논문대상 수상
우리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유동일(28) 학생(비행제어실험실, 지도교수 심현철)이 최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주관하는 제7회 KAI 항공우주 논문상 공모전에서 대상에 선정됐다. 올해 논문상 선정에는 해외 유학생을 비롯, 국내외 15개 대학에서 25편의 논문이 접수된 가운데 대상1편, 최우수상 1편, 우수상 3편 등 총 5편이 상을 받았다.
대상을 수상한 유동일 학생은 "초소형 비행체 시스템 개발 및 자율편대비행 구현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icro Aerial Vehicle systems and Autonomous Formation Flight of Multi-MAVs) 논문을 제출해 초소형 무인기에 관한 선행연구 측면에서 심사위원들의 높은 점수를 얻었다. 초소형 비행체에 대한 연구는 최근 각광 받는 무인항공기 응용분야로, 여러 나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외국과 비교해 국내 초소형 비행체 제작 기술은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제반 기술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어서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초소형 비행체는 정찰 또는 탐색을 목적으로 운용되는 무인 항공기로 단독으로 임무 수행이 가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임무 수행시 생존성과 임무 성공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대를 이루어 군집 비행을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이번 논문의 의미에 대해서 유동일 씨는 "이번 논문은 초소형 자동비행 시스템 및 비행체 개발과 자동 편대 비행에 관한 유도 법칙에 관한 내용을 주제로 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초소형 비행체를 직접 설계, 제작 개발하고 현재 국내 개발된 사례 중 가장 가볍고 작은 소형의 고속 오토파일럿 시스템 개발을 한 것"이라고 말을 이었다. 실제로 이 논문은 기존 편대 비행 논문과 달리 선두기의 실제 자동 비행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후미기의 자동 편대 유도법칙의 타당성과 가능성을 확인했다. 현재는 실제 비행 시험만을 앞두고 있는 단계로 자동 편대 비행 실험 이외에 앞으로는 이러한 편대 비행 기술을 기반으로 무인항공기들의 군집 비행시 임무 분담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앞으로의 연구계획에 대해서 유동일 씨는 "박사과정으로 진학하는 내년부터는 실내용 초소형 무인 비행체 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와 여러 형태의 무인 시스템의 통합 운용 등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있어 관련 분야의 연구 수행을 하고자 한다"고 밝혔으며, 이번 수상소감을 묻자 "논문 연구에 아낌없는 지원과 지도를 해주신 심현철 교수님께 감사드리고 더운 날에도 계속된 비행시험을 도와준 실험실 가족들에게 고마운 마음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2003년 제정된 KAI 항공우주 논문상은 지식경제부와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한국항공우주학회가 후원하는 국내 유일의 대학(원)생 항공우주분야 논문상이다. 시상식은 23일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전시회(AEDX2009) 행사장 내 프레스센터 미디어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며, 시상식 이후 대상 수상 논문이 발표된다.
2009.10.23
조회수 18963
-
IT경영학과 4학년 김효주 학생, 제9회 YBM대학생 영어 말하기 대회 대상 수상
우리대학 IT경영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김효주 학생이 7월 4일 개최한 ‘동아일보 주최 영어 말하기 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하였다.
이 대회는 동아일보 ,(재)국제교류진흥회, 한국영어교육학회가 공동주최하고 YBM/Sisa, YBM 시사닷컴, 미국 교육평가원(ETS)의 후원으로 열린행사 이며, 발표 및 시상식은 지난 8월 7일 서울 YBM신촌 어학원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동아일보 8월 8일자 게재>
자세한 기사원문은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news.donga.com/fbin/output
2009.08.31
조회수 15275
-
융합형 보안기술연구센터 참여, '2008 대한민국 보안기술 논문대상 공모전'에서 수상
우리학교 융합형 보안기술연구센터(소장:이흥규) 대학원생들이 참여한 ‘2008 대한민국 보안기술 논문대상 및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이경균(생명공학과, 박사과정)군이 보안요소기술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TD/ID 보안기술 분야에서는 정원석(전기및전자공학과, 박사과정), 최정호(전산학과, 석사과정)군이 우수상을 류승진(전산학과, 석사과정)군이 장려상을 각각 차지했다.
보안요소기술, IT/ID보안기술 2개 분야에 논문 34편, 아이디어 22편이 접수되었으며 엄정한 심사 결과 최종 수상작 16편이 선정됐다.
이번 공모전은 보안기술 진흥과 대학생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한국조페공사가 마련했다. 지난 27일 시상식이 대전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 수상내역
성명 : 이경균(Lee, Kyoung Gyun., 박사과정), 생명화학공학과
수상내용 : 최우수상
논문명(국문) : 형광 자성체 제조 방법 및 보안 요소로의 응용성
논문명(영문) : The fabrication method of fluorescent magnetic nanoparticles and its applications지도교수 : 김도현
학생이름 : 정원석(Jeong, Won Seok, 박사과정), 전자전공
수상내용 : 우수상
논문명(국문) : HF대역 RFID 리더-태그간 자계결합 차단 방법에 관한 연구
논문명(영문) : Method for Blocking Magnetic Coupling between Reader and Tag for HF RFID
지도교수 : 유종원
성명 : 최정호(Choi, Jung Ho, 석사과정), 전산전공
수상 내용 : 우수상
논문명(국문): 컬러 노이즈를 이용한 컬러 프린터 판별 기술
논문명(영문): Color Printer Identification using Color Noise Features
지도교수 : 이흥규
성명 : 류승진(Ryu, Seung-Jin, 석사과정), 전산전공
수상 내용 : 장려상
논문명(국문): 특징점 분석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위조 문서 탐지 기법
논문명(영문): Document Forgery Detection with SVM Classifier and Features Analyses
지도교수 : 이흥규
2008.11.28
조회수 20640
-
KAIST 학술대상 생명과학과 정종경 교수 수상
우리 학교 ‘학술대상’ 수상자로 생명과학과 정종경(鄭鍾卿, 44)교수가 선정됐다.
鄭 교수는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와 당뇨병 유전자의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Nature)지에 2006년, 2007년 연이어 논문을 발표했다. 鄭 교수의 연구 결과는 유전자와 관련된 질병의 이해와 치료 기술 개발에 큰 기여를 했다.
鄭 교수는 최근 5년간 총 24편의 우수 논문을 발표, 의생명과학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업적을 이뤘다. 세포생물학, 발생학, 유전학 등 다양한 생명과학 연구기법을 이용하여 유전자와 관련된 근본적 생명현상을 규명하고 기초 학문 발전에 새로운 학술적 기반을 제공했다.
우리 학교 학술대상은 매년 개교 기념일에 선정·발표되며, 鄭 교수에 대한 시상은 지난 15일 오전 11시, 학내 대강당에서 개최된 개교 37주년 기념식에서 가졌다.
2008.02.21
조회수 18703
-
기계공학과 김영식 박사 후 연구원, 제 3회 삼성전기 Inside Edge 논문 대상 금상 수상
기계공학과 김영식 박사 후 연구원(지도교수: 김승우 교수)이 제 3회 Inside Edge 삼성전기 논문대상에서 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영식 박사는 “3D tomographical measurements of thin films for high-speed visual inspection” 논문으로 생산기술분야에서 박막두께 및 형상측정의 우수성을 인정 받아 이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삼성전기의 ‘Inside Edge 논문대상’은 젊은 인재들의 자유로운 발상과 잠재된 기술력을 발현시키기 위해, 삼성전기가 운영하는 새로운 개념의 학술논문 대상입니다.
시상식은 10월 31일(수요일) 오후 2시부터 삼성전기 본사 건물에서 있었습니다.
2007.11.07
조회수 20465
-
오준호 교수, 대전MBC "한빛대상" 수상
대전문화방송이 창사 43주년을 맞아 지역발전을 위해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한빛대상" 제3회 수상자로 한국 최초로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한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선정됐다.
대전MBC는 지난달 28일 한빛대상 심사위원회를 열어 ▲오준호 KAIST 교수(과학기술) ▲이광필 충남체육고 교장(문화예술체육) ▲안명자 서산 부춘동사무소 주사보(사회봉사) ▲권상준 티에스이 대표(지역경제발전) ▲이정순 여성장애인연대 고문(인간승리) ▲박세리 프로골퍼(특별상) 등을 분야별 수상자로 결정했다.
시상식은 지난 12일 오후 대전문화방송 공개홀에서 열렸고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500만원이 수여됐다
대전문화방송 관계자는 "지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사로서 사회 각 분야에서 봉사하고 공헌한 인물을 찾아 널리 알림으로써 지역의 시.청취자와 희망과 보람을 함께 나누는 세상을 만들자는 취지에서 한빛대상을 제정했다"고 말했다.
2007.10.16
조회수 18238
-
이흔 교수 학술대상 수상
생명화학공학과 이흔(李琿, 55)교수가 KAIST 개교 36주년 기념식에서 KAIST 학술대상을 수상했다.
李 교수는 지난 5년간 국외 SCI논문 43편, 국내 SCI논문 12편을 발표하고, 수소저장기술 개발, 이산화탄소와 메탄 하이드레이트 맞교환 원리 규명 등 세계적인 학술 업적을 인정받아 학술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李 교수는 2003년 메탄 하이드레이트 논문을 사이언스誌에 발표하였고, 2005년 네이처誌에 발표한 수소저장 기술은 미래 수소에너지 개발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가장 주목할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소개되었다. 2006년 PNAS에 발표한 "이산화탄소와 메탄 하이드레이트 맞교환 원리"는 에너지와 지구 온난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국내외 큰 관심을 모았다.한편, 2007년 우수교원으로 학술상에 생명과학과 정종경 교수, 수리과학과 이창옥 부교수, 화학과 김상규 부교수, 기계공학전공 권대갑 교수, 창의강의상에 항공우주공학전공 한재흥 부교수, 우수강의상에 인문사회과학부 전봉관 조교수, 생명과학과 최준호 교수, 생명과학과 강창원 교수, 전기및전자공학전공 유승협 조교수, 전산학전공 Otfried Cheong 부교수, 금융전문대학원 이회경 교수, 공적상에 물리학과 신성철 교수, 테크노경영대학원 김보원 교수, 금융전문대학원 김지수 교수, 국제협력대상에 기계공학전공 조형석 교수, 국제협력상에 산업디자인학과 이건표 교수, 신소재공학과 홍순형 교수, 테크노경영대학원 박성주 교수가 각각 수상했다.
2007.03.15
조회수 30403
-
"삼성전기 논문대상" 금상(여성구), 은상(김영식) 수상
삼성전기가 주최하는 "제2회 1nside edge 논문대상"에서 전기및전자공학전공 여성구씨(박사과정)가 금상, 기계공학전공 김영식씨(박사과정)가 은상을 차지했다.
여성구씨(지도교수 권영세 교수)는 "Fabrication of Microlens array Using PDMS Replica Molding and Oxidized Porous Silicon Bulk Micromachining’논문에서 생산기술 부문 실리콘 기반의 Micro Mold 제작 기술 및 미세 형상 기술 분야 연구 수행을 높이 평가 받았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영식씨(지도교수 김승우 교수)는 "Dispersive white-light interferometry for in-line inspection of thin-film layers on patterned structures" 논문에서 광기술 분야의 불투명 금속 패턴위에 도포된 투명 박막의 두께 형상 측정 기술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은상을 수상했다.
1nside Edge 논문대상은 삼성전기가 젊은 인재들의 자유로운 발상과 잠재된 기술력을 발현시키기 위해 운영하는 학술논문 대상이다.
2006.11.22
조회수 2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