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82%98%EB%85%B8%EA%B3%BC%ED%95%99
최신순
조회순
김승우교수, 랩탑크기 시스템에서 극자외선 광원생성 성공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김승우교수 연구팀은 4일 빛의 광자와 나노 크기의 금속 구조체 내부의 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플라즈몬 공명현상을 이용해 기존의 고출력 증폭기술 없이 결맞음 특성을 가진 극자외선(Extreme Ultraviolet: EUV) 광원을 랩톱컴퓨터 크기의 장치로 만들어내는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Nature지에 발표된 이 기술은 매우 작은 크기의 금속 나노 구조물과 낮은 출력의 소형 극초단 레이저 광원만으로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획기적으로 작은 공간에 랩탑 크기의 장치 구현을 입증하였으며 이는 향후 EUV광원의 다양한 응용을 위한 초석을 놓은 학술적 공헌으로 인정 받았다. 극자외선 영역의 결맞음 특성을 갖는 광원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를 고에너지로 운동하게 할 수 있는 엄청난 규모의 가속기가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초고속 펄스 레이저와 가스상태의 원자 내부의 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고차 조화파를 이용한 새로운 방법이 가능하였으나 고출력 레이저 증폭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과 규모 면에서 제약이 많이 따라 왔다. 극자외선 (Extreme Ultraviolet: EUV) 영역의 레이저 광은 의학과 생명공학에 요구되는 현미경 기술, 그리고 나노 과학에 사용되는 리소그라피 기술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분야의 원천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주목 받고 있는 광원이다.
2008.06.09
조회수 16978
해외석학 초청 특별 강연
세계적 나노과학자 하바드대학교 화이트사이즈 교수 초청 4월 19일(수) 오후 2시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KAIST 화학과와 나노과학기술연구소가 나노과학 분야의 최고 과학자인 하바드대학교 화학과 화이트사이즈(Whitesides) 교수를 초청, 특별 강연을 가진다. 이 강연은 “나노과학과 나노기술(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라는 주제로 오는 4월 19일(수) 오후 2시,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펼쳐진다. 화이트사이즈 교수는 물리, 화학, 생물, 그리고 공학을 어우르는 나노과학 분야를 개척. 선도적 연구를 수행해 왔다. 23세에 MIT에서 교수로 임용된 화이트사이즈 교수는 1998년 미국의 노벨상에 해당하는 전미최고과학자상 수상을 포함한, 2003년 일본 교토과학자상, 2004년 스위스 파라셀서스과학자상 등 전 세계의 수많은 국가에서 최고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그는 사이언스 및 네이쳐誌에 수십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한 세계적인 석학이다. 이번 강연은 ‘나노과학과 나노기술에 왜 많은 과학자들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지 그리고 나노과학과 나노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해 쉽게 설명함으로써, 과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나노과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에게도 나노과학과 기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2006.04.17
조회수 12645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