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5%AD%EA%B3%B5%EC%9A%B0%EC%A3%BC%EA%B3%B5%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이인칼럼 나로호 발사 서둘지 말아야
이인 교수(항공우주공학과)가 <동아일보> 2009년 8월 22일자에 "[시론] 나로호발사 서둘지 말아야"란 제목의 기고문을 기재했다. 제목 [시론/이인] 나로호 발사 서둘지 말아야 저자 이인(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매체 동아일보 일시 2009/08/22 칼럼보기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8220055
2009.08.22
조회수 8126
고위험.고수익 연구(High Risk High Return Project) 첫 워크샵 개최
- 2008년 선정된 총 44개 과제의 연구과정 및 성과 발표 - 다양한 분야에서 고위험, 고수익 연구를 수행해 온 교수 및 학생들의 노력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 KAIST(총장 서남표)가 지난 해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고위험/고수익 연구(High Risk High Return Project, 이하 HRHRP)의 첫 워크샵을 오는 14일 교내 창의학습관에서 개최한다. HRHRP는 서남표 총장의 KAIST 2단계 주요 개혁방안 중 하나로, 실패할 위험이 있으나 성공할 경우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모하여 이를 적극 지원하는 연구사업이다. 기존의 정량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잠재된 영향력을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삼으며, 전임/비전임 교수, 연구원, 학생 등 연구책임자의 신분제한을 없애고, 방대한 분량의 과제제안서 및 보고서를 대폭 간소화하여 연구자의 행정적 부담을 줄이는 등 획기적인 운영방식을 통하여 KAIST의 연구문화를 혁신할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달 착륙 탐사 선행연구, 얼음 연료전지와 얼음 자석을 위한 얼음공학, 무정차 고속열차 개발, 떠다니는 항구(Mobile Harbor), 원유유출사고 시 방재를 위한 연구 등 학문․경제․사회적으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연구과제들이 수행되고 있다. 2008년에 선정된 총 44개 연구과제(교수 40명, 학생 4명)의 아이디어, 연구과정 및 성과가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이번 워크샵에서 발표된다. 이외에도 모든 과제의 연구내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포스터 44점과 달 착륙선 모델(연구책임자 : 항공우주공학전공 권세진교수), 원유유출방재를 위한 협업로봇(연구책임자 :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훈학생, 박사과정)등 연구결과 얻어진 시제품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행사일정>○ 일 시 : 2009.1.14(수) 09:00~18:00○ 장 소 : 대전 KAIST 창의학습관 터만홀, 101호, 102호 ○ 주 최 : KAIST 연구처 ○ 일 정 : 첨부된 일정표 참조
2009.01.08
조회수 16808
한국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 KAIST에서 첫 강의
- 4일(목), KAIST 교내 기계항공시스템학부에서, 한국 우주인 프로그램에 대해 학부생과 일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 한국 최초의 우주인인 이소연(30) 박사가 모교인 KAIST에서 겸직교수로 발령받은(2008.9.1일부) 지 처음으로 자신의 우주인 선발과정과 우주실험 등에 대해 후배들에게 강의를 하게 된다. 오는 4일(목)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KAIST 기계항공시스템학부(N7 건물) 강의실에서 항공우주공학 전공 학부생들과 일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게 되는 데, 이 강의는 일반인들의 청강도 가능하다고 학교 측은 밝혔다. 이번 강의는 ‘항공우주공학 신기술 특강’ 과목의 일부로 이뤄진다. 이 강의에는 NASA에서 오랫동안 일하다 귀국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박철 교수가 지난 주에 달탐사에 대해 강의한 것을 비롯하여 항공우주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고 있다.
2008.12.04
조회수 14042
이인 교수, 중국 난징항공항천대 명예교수 추대
우리학교 항공우주공학전공 이인(李仁, 59세) 교수가 지난달 27일(월) 중국 난징항공항천대학교(NUAA, Nan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의 명예교수(Honorary Professor)에 추대됐다. NUAA 명예교수직은 이 대학 최고의 영예 직 중 하나로 지금까지 4명을 임명했다. 李 교수는 항공우주분야의 학술적 업적과 국제적 활동을 인정받았다. NUAA는 교직원 2,800명, 학생 26,000명으로 구성된 이공계중심대학으로 항공우주분야를 포함, 사이언스(Science), 엔지니어링(Engineering), 경영(Management), 예술(Art), 인문(Humanity), 외국어 및 국제교육(Foreign Language & international Education) 등 다양한 분야의 단과대(College)를 고루 갖추고 있다. 특히 NUAA는 항공우주분야에서는 중국 내 최우수대학으로 평가 받고 있으며, 국제 학술활동 및 연구 교류활동, 학생 국제화 프로그램(International student program) 등도 상당히 활성화 되어있다.
2008.11.28
조회수 12408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 교수, 달착륙선 개발 및 시험성공
- 우주 선진국의 기술이전 기피 핵심기술 자체개발 성공 - NASA 국제 달탐사 네트워크용 달착륙선의 절반비용으로 개발가능 항공우주공학과 로켓 연구실의 권세진(權世震, 49) 교수 연구팀이 (주)스페이스솔루션(대표 이재헌)과 공동으로 달착륙선을 개발하고 시험에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달착륙선은 무게가 25kg이고, 엔진은 최대 350N(Newton) 까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 중력이 지구의 1/6에 불과한 달 표면에 약 20kg 이상의 무게를 착륙시킬 수 있다. 달착륙선은 달 탐사를 위해 필수적인 장치이지만, 로켓기술과 함께 우주 선진국이 원천적으로 기술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우주핵심 기술이다. 權 교수의 로켓 연구실에서는 6년여의 연구 끝에 추력조절이 가능한 우주선 엔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달착륙선에 장착한 시험에 성공하였다. 달착륙선의 성공적인 개발로 현재 논의 중인 우리나라의 달 탐사를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權 교수가 개발한 달착륙선에는 최대 350N의 추력을 낼 수 있는 액체추진제 로켓 엔진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엔진은 (주)스페이스솔루션에서 개발한 고성능 추진제 밸브가 장착되어 추력제어가 가능하다. 엔진의 추진제로 친환경 액체 추진제를 사용하였으며, 추진제에 독성이 없어 선진국의 달착륙선에 비해 개발 비용이 절반 수준으로 저렴하다. 權 교수에 의하면, NASA (미 항공우주국)에서 국제 달탐사 네트워크(ILN - International Lunar Network)용으로 개발 중인 달착륙선 한 기의 개발 비용이 1억 달러(1,500억원) 수준이지만, 이번에 개발된 엔진을 사용할 경우 그 절반 수준인 5,000만 달러(750억원)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엔진 내부에 충진되는 촉매반응기를 포함한 모든 부품은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됐다. 착륙선 경량화를 위해 추진제 탱크 및 가압용기를 복합재료로 제작하였고, 허니컴 샌드위치 판넬을 이용하는 등, 장치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강성을 높이는 최신 설계 기법을 사용했다. 한편, 단일추진제 로켓 엔진의 성공적인 개발과 더불어 權 교수의 로켓 연구실에서는 현재보다 효율이 2배 향상된 저장성 이원추진제 로켓엔진을 개발 중이다. 이 엔진은 1000N까지 추력을 제어할 수 있어서, 달 탐사를 위한 우주선의 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2008.11.28
조회수 13565
2007학년도 학위수여식 거행
- 박사 200명, 석사 725명, 학사 396명 등 총 1,321명 배출 - 최초의 여성 예비우주인 이소연씨, KAIST 특별상 수상 - 최연소 박사 오은규씨, 학사과정 수석 졸업 원혜정씨우리 학교는 오는 29일(금) 오후2시, 교내 노천극장에서 2007학년도 학위수여식을 거행한다. 이날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200명, 석사 725명, 학사 396명 등 총 1,321명이 학위를 받게 된다. 이로써 우리 학교는 지난 ’71년 설립 이래 박사 7,067명, 석사 18,636명, 학사 8,998명 등 총 34,701명의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배출하게 됐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 박사학위 수여자 200명 중 40%인 79명이 20대 박사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KAIST 출신 박사 총 7,067명 중 43%인 3,046명이 20대 박사로 기록되고 있다. KAIST 첫 여성 명예박사로 이길여(李吉女, 75) 가천길재단 회장과 박근혜(朴槿惠, 56) 한나라당 국회의원이 명예이학박사 학위를 받는다. 올해 KAIST 명예박사는 이공계 출신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통해 국가와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한 국내 여성 인사를 선정했다. 이공계 출신 여성 지도자를 명예박사로 선정한 이유는 이공계 여학생들에게 사회적 역할 모델과 미래 리더로서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서남표 총장은 졸업식사에서 “여러분 같이 뛰어난 인물들이 우리가 사는 이 땅을 더욱 좋은 곳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을 이 특별한 학교에 입학시켜 교육하게 된 것이다. 이제 세계와 인류를 위해 여러분이 기여할 몫을 함으로써 그 분들의 지원에 보답해야 할 때가 되었다.”며, 졸업생들의 사회 기여를 당부한다.■ 한국 최초 여성 예비우주인 이소연씨, KAIST 특별상 수상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한국 최초 여성 예비우주인 이소연(李炤燕, 29, 사진 왼쪽)씨가 우리나라 우주과학 발전과 우리 학교 위상을 크게 높인 공로로 "KAIST 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李씨는 우주인 최종후보 훈련으로 바쁜 중에도 틈틈히 연구 및 박사논문 작성을 마무리하여 이번에 박사학위를 취득하게 됐다. 李씨의 졸업 논문은 "불균일한 비대칭 교차 전기장내에서 DNA 래칫 현상을 이용한 DNA 분리 소자에 관한 연구(DNA Seperation Chips Using Temporally Asymmetirc Ratchet Effect in Nonuniform Electric Fields, 지도교수: 조영호)"다. 李씨는 "연구 및 논문작성으로 밤을 새우기도 했었지만, 교수님과 주위의 도움 덕분에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며,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우주인이 되기 위해 특별히 노력한 것은 아니지만 최선을 다해 공부하고, 운동하고, 생활한 것이 지금의 밑거름이 됐다. "무엇에도 불구하고 할 수 있다"라는 평소의 신념이 어려운 우주인 훈련 가운데에서도 졸업 논문을 마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며 소감을 말했다.■ 학사과정 수석졸업, 생명과학과 원혜정씨올해 학사과정 수석졸업의 영광은 4.3만점에 4.20점을 받은 생명과학과 원혜정(元慧定, 21, 사진 오른쪽)씨가 차지했다. 元씨는 학위수여식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을 받게 되며, 졸업생 대표연설도 하게 된다. KAIST 석사과정으로 진학할 예정이다. ■ 최연소 박사, 오은규씨이번 졸업생 중 최연소 박사는 생명과학과를 졸업하는 오은규(吳恩圭, 만 26세, 1981년 11월 5일생, 아래 사진 왼쪽)씨다. 吳씨는 ‘애기장대의 발아 조절에 관련된 PIL5 기능 연구(Functional roles of PIL5 in Arabidopsis seed germination , 지도교수: 최길주)’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吳씨는 졸업 후 우리 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한다. “아직도 배울 것이 많다. 처음 실험실에 들어왔을 때의 기대와 열정을 잊지 않고 더 열심히 연구에 전념 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해외유명 SCI저널에 8편의 논문 발표, 박승희 씨건설 및 환경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는 박승희(朴承熙, 28, 아래 사진 가운데)는 재학 중 총 8편의 논문을 해외 유명 SCI 저널에 발표했다. 추가로 2편의 논문이 심사 중에 있다. 朴씨의 박사학위 논문은 ‘압전센서를 이용한 토목구조물 주요부재의 구조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Critical Members of Civil Infrastructures Using Piezoelectric Active Sensors, 지도교수: 윤정방)’다. 2005년 학술진흥재단 해외공동연구 지원 사업으로 1년간 미국 버지니아공대 지능형 재료 시스템 및 구조연구 센터에서 사회기반시설물의 취약 부분을 실시간 감시, 평가하는 자동화 압전 센서노드를 개발했다. 朴씨는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실용화하면 초장대교량이나 초고층건물과 같은 시설물의 노후로 인한 붕괴사고 위험을 사전에 대처할 수 있다. 앞으로 대형 사회기반시설물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항공우주공학과 이인철씨, 보잉 항공사 진출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하는 이인철(李寅哲, 28, 아래 사진 오른쪽)씨는 美 보잉 항공사(Boeing company)로 진출한다. 李씨는 “고차 고해상도 수치기법을 이용한 초음속 스크리치톤의 메커니즘 연구(An analysis of mechanism of supersonic screech tone noise using high order high resolution numerical scheme, 지도교수: 이덕주)”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李씨는 박사 과정 중 인턴으로 6개월 동안 보잉 항공사의 공력음향학 및 유체역학 그룹에서 ‘차세대 항공기의 소음 저감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 결과를 인정받아 졸업 후 보잉사에서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하게 됐다. 李씨는 “앞으로 KAIST와 보잉사가 항공기 소음저감 및 환경문제에 대해 공동 연구해 나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도록 노력 하겠다”라고 말했다.
2008.02.28
조회수 21633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 심현철교수, 연료전지 무인기개발
- 액상 수소화물에서 수소추출, 연료전지스택에 공급하는 시스템 개발- 액체연료로는 세계최초, 무인기의 임무한계 획기적 연장 가능성 열어 우리 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權世震, 48, 사진왼쪽) 교수, 심현철(沈鉉哲, 38, 사진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연료전지로 구동하는 소형 무인기를 개발했으며, 장시간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개발 결과는 기존의 소형 무인기 동력원으로 사용되던 2차 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동력장치인 연료전지를 이용, 무인기의 임무 한계를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감시정찰을 목적으로 하는 소형 무인기는 미국 등 기술 선진국에서 실용화 되었으나, 동력원인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제한적인 임무수행만이 가능했다. 權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무인기의 연료전지 동력장치는 소음이 없고 효율이 높으며, 액상 수소화물로부터 수소를 추출하기 때문에 기존의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를 10배 이상 향상시켰다. 이번에 개발된 연료전지는 무인기 뿐 아니라 로봇의 전원으로도 사용이 기대된다. ▣ 개발배경연료전지는 차세대 동력원으로 세계 각국에서 개발경쟁이 치열하다. 국내에서도 몇몇 전자 및 화학 업체에서 노트북 컴퓨터용 연료전지를 개발하여 시연한 바가 있고, 자동차 회사에서는 엔진을 대체하기 위한 연료전지를 연구 중에 있다. 그러나 연료전지의 우수성이 잘 나타날 수 있으며 연료전지가 아니면 구현 자체가 어려운 장치는 무인기나 로봇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시스템이다. 미국의 해군연구소와 조지아공대(Georgia Tech)의 연구팀이 연료전지 무인기를 연구해 왔으나, 이들은 고압의 수소가스를 저장하여 사용하므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에는 실패했다. 또한 연료 재보급을 위한 시설 등 운용상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KAIST의 權 교수 연구팀은 액상 수소화물에서 수소를 추출하여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이를 시험용 무인기에 탑재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시험비행 하는데 성공했다. ▣ 핵심기술의 내용權 교수팀에서 사용한 연료인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은 불연성이고 안정한 친환경 물질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수소 함량이 높다. 이 물질로부터 추출된 수소는 순도가 높기 때문에 연료전지 시스템 적용이 수월하다. <그림 1>은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수화물을 가수분해하는 촉매 반응기, 전기를 발생하는 연료전지 스택, 동력을 충전 및 공급하는 동력제어장치,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져 있다. 촉매 반응기에서 가수분해 과정을 통해 발생한 수소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전기를 발생한다. 전기에너지는 동력제어장치에 충전되었다가 출력 요구 시 전동모터를 구동한다. <그림 2>는 동력발생 장치를 무인기에 탑재한 모습이다. 이번에 개발된 연료전지 무인기는 무게 2kg(연료전지시스템 750g 포함)으로써 500g의 연료를 싣고 10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동력원을 갖는 기존 무인기 항속시간의 10배에 달한다. <그림 1> 동력계통의 구성 <그림 2> 동력 장치가 탑재된 무인기 <그림3> 무인기가 비행하는 광경
2007.10.12
조회수 18976
이 인교수, 중국 난징항공항천대학에 기념식수
항공우주공학 전공 이 인 교수는 지난달 25일 중국 난징항공항천대학 (Nan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캠퍼스에서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를 기념 식수 하였다. 중국 출신 노벨상 수상자들이 NUAA대학에 기념 식수를 한 바 있으며, 이교수가 외국인으로는 처음이다. 이번 기념 식수는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학술 및 연구 등의 교류가 증대되기를 희망하는 메세지를 담고있다. Nan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NUAA) 는 항공우주분야에서 중국내의 최우수 대학이며, 교직원 2,800명, 학생수 26,000명으로 구성된 이공계 중심 대학이다. NUAA 는 항공우주분야를 포함하여 Science 분야, Engineering 분야, Management, Art, Humanity, Foreign Language 및 International Education 분야 등의 College를 고루 갖추고 있으며, 국제 학술, 연구 교류 및 International student Program 도 많이 활성화 되어 있다
2007.06.08
조회수 17825
이흔 교수 학술대상 수상
생명화학공학과 이흔(李琿, 55)교수가 KAIST 개교 36주년 기념식에서 KAIST 학술대상을 수상했다. 李 교수는 지난 5년간 국외 SCI논문 43편, 국내 SCI논문 12편을 발표하고, 수소저장기술 개발, 이산화탄소와 메탄 하이드레이트 맞교환 원리 규명 등 세계적인 학술 업적을 인정받아 학술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李 교수는 2003년 메탄 하이드레이트 논문을 사이언스誌에 발표하였고, 2005년 네이처誌에 발표한 수소저장 기술은 미래 수소에너지 개발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가장 주목할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소개되었다. 2006년 PNAS에 발표한 "이산화탄소와 메탄 하이드레이트 맞교환 원리"는 에너지와 지구 온난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국내외 큰 관심을 모았다.한편, 2007년 우수교원으로 학술상에 생명과학과 정종경 교수, 수리과학과 이창옥 부교수, 화학과 김상규 부교수, 기계공학전공 권대갑 교수, 창의강의상에 항공우주공학전공 한재흥 부교수, 우수강의상에 인문사회과학부 전봉관 조교수, 생명과학과 최준호 교수, 생명과학과 강창원 교수, 전기및전자공학전공 유승협 조교수, 전산학전공 Otfried Cheong 부교수, 금융전문대학원 이회경 교수, 공적상에 물리학과 신성철 교수, 테크노경영대학원 김보원 교수, 금융전문대학원 김지수 교수, 국제협력대상에 기계공학전공 조형석 교수, 국제협력상에 산업디자인학과 이건표 교수, 신소재공학과 홍순형 교수, 테크노경영대학원 박성주 교수가 각각 수상했다.
2007.03.15
조회수 23068
권세진 교수, 소형인공위성 추진기 국내 독자 개발
- 소형위성 추진기에 세계 최초로 고성능 액체추진제 사용 방식 적용 - 소형인공위성 최고 기술인 서리대학 냉가스 추진기의 약 4배 추진 성능- 소형인공위성 수명주기 연장과 임무 한계 확장에 획기적 기여 기대 KAIST(총장 서남표) 항공우주공학과 권세진(權世震, 47) 교수팀과 (주)스페이스솔루션(대표 이재헌)이 공동으로 소형인공위성 운동제어용 마이크로 추진기를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權 교수팀은 소형인공위성 추진기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촉매 반응기와 추진체 공급 시스템을 통합, 위성 탑재가 가능한 일체형 추진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權 교수팀의 소형인공위성 추진기는 세계 최초로 고성능 액체 추진제를 사용했다. 액체상태의 과산화수소를 추진기 촉매층에서 수증기와 산소로 분해시키면 다량의 열을 방출하게 되며, 이 열이 가스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추진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 추진 장치는 1뉴톤 미만의 추진력으로 수십 kg급 인공위성의 운동제어가 가능하며, 소형위성의 최고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 서리(Surrey) 대학의 냉가스(Cold gas) 추진기보다 약 4배의 추진 성능을 가지고 있다. 權 교수는 “영국 서리 대학에서도 유사 시스템 개발을 추진해 왔으나, 촉매 반응기 베드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과학 위성급 소형인공위성의 수명주기 연장과 임무한계의 확장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우주발사체의 상단부 자세 제어에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소형인공위성 탑재용 추진기 모듈> <추진기 모듈의 시험 광경>
2006.08.25
조회수 15426
KAIST 출신 MIT생, 핫소폴로스상 첫 수상
특허 가능한 혁신 및 논문상 핫소폴로스 $50,000 첫 수혜 KAIST 항공우주공학과(지도교수: 김천곤) 학사 출신, 주철민(29)씨가 핫소폴로스 $50,000 혁신 및 논문상 첫 수상자로 선정됐다. 핫소폴로스상은 조지 핫소폴로스(George Hatsopoulos)에 의해 설립된 써모 일렉트론사(Thermo Electron Corp.)의 후원으로 특허 가능한 발명 혹은 독창적인 연구 활동을 표창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MI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주씨는 “고감도 선택적 생물?화학 생물체 검출을 위한 광학 간섭성 반사측정(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Reflectometry for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of Biological and Chemical Species)” 논문으로 이 상을 받았다. MIT 종합병원 소속이며 하바드 의과대학의 조교수인 요하네스 드 보어(Johannes de Boer) 교수와 MIT 기계공학과 피터 소(Peter So) 교수와 공동으로 수행한 이 연구는 살충제나 박테리아 및 유기 독소 등의 초저밀도 분자에 대한 실시간 검출을 가능케 하는 광섬유 기반 저간섭성 간섭계의 발전을 이끌어 냈다는 평을 듣고 있다.
2005.07.28
조회수 15666
과학과 예술, 최고의 만남 - 한국예술종합학교와 협정체결
- 14일, KAIST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상호교류 협정체결- 과학과 예술의 공통분모인 창조적 상상력 제고 기대 KAIST(총장 : 洪昌善)와 한국예술종합학교(KNUA, 총장 : 李建鏞)는 14일(수) 오전11시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실에서 양교의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호 교류협정을 체결한다. 양교는 △교직원의 상호교류 △학생교류 및 상호학점의 인정 △공동연구(공연포함) 및 학술회의의 공동개최 △학술자료, 출판물 및 정보의 상호교환 △시설물의 상호 이용 등 교육, 연구, 사회봉사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세계초일류를 지향하고 있는 연구중심 이공계대학인 KAIST와 음악, 연극, 영상, 무용, 미술, 전통예술 등 6개분야의 전문예술인 양성 교육기관인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상호협력함으로써 양교의 학생들이 과학과 예술의 공통분모라 할 수 있는 창조적 상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훌륭한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2004.01.15
조회수 17710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4
5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