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D%95%AD%EA%B3%B5%EC%9A%B0%EC%A3%BC%EA%B3%B5%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이덕주 교수,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 공로상 수상
〈이 덕 주 교수〉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이덕주 교수가 지난 달 17일 인도에서 열린 제 4 회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ARF, Asian-Australian Rotorcraft Forum 2015)에서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에는 미국의 벨 헬리콥터(Bell helicopter)사와 유럽의 에어버스 헬리콥터(Airbus helicopter)사 등이 참여해 헬리콥터 포함 회전익항공기와 관련된 학문적, 기술적 연구를 교류한다. 이덕주 교수는 제1회 아시아-호주 회전익항공기 포럼 및 전시회의 대회장을 맡아 초대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헬리콥터 관련 분야를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현재 진행되는 국내 항공 사업에 젊은 학자 및 연구자들의 많은 연구 결과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길 바란다”며 “나아가 항공분야에서도 새로운 세계 시장 창출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1985년 미국 나사 에임스(NASA Ames) 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한 이 교수는 항공기 제트 엔진과 헬리콥터 공력음향학(Aeroacoustics) 연구 분야의 석학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미 헬리콥터 학회지 부 편집장과 한국형 군용헬기, 민수헬기 통합 태스크포스 팀장을 역임했다. 지난 5월에는 국내 최초로 미 헬리콥터 학회(American helicopter Society, AHS) 부회장으로 선출돼 아시아, 호주, 러시아 지역을 담당하고 있다.
2015.12.08
조회수 8792
KAIST 연구실에 구경 오세요 … 'Open KAIST 2015' 개최
KAIST의 생생한 연구현장과 최신 연구 성과물이 일반에 공개된다. KAIST가 5-6일 이틀 동안 교내 17개 학과 ‧ 학부 ‧ 대학원과 3개 연구센터를 둘러 볼 수 있는 행사인‘Open KAIST 2015'를 개최한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Open KAIST'는 일반인이 학과와 연구실을 둘러보고 체험할 수 있는 행사로 KAIST가 주최하는 행사 중 가장 큰 규모다. 이번 행사에는 연구실 투어, 연구성과 전시회, 학과소개, 특별강연 등 64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돼 풍성한 볼거리가 제공된다. 학생들이 즐길 수 있는 연구실 투어 프로그램 중에서는 문화기술대학원 노준용 교수 연구실의‘모션 캡처 시스템’이 눈길을 끈다. ‘모션 캡처 시스템’은 적외선 카메라와 광학 마커(Marker)를 활용해 사람과 동물의 동작을 3D 공간상에 표현할 수 있는 기술로, 영화 ‧ 게임 ‧ 애니메이션 산업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연구원들이 직접 동작을 촬영해 3D 캐릭터로 변환되는 과정을 시연할 예정이다.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실은 ‘발광다이오드(LED)제작의 시작과 끝’을 주제로 청색 발광다이오드에 숨어있는 과학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 제작과정을 소개한다. 청색 발광다이오드는 기존 광원에 비해 효율이 월등이 높아 스마트폰, 전광판, 디스플레이에 활용되면서 우리생활에 깊숙이 녹아있는 기술이다. 이런 산업적 기여도를 인정받아 청색 LED를 개발한 과학자가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전기및전자공학부 준타니(Jun-tani)교수 연구팀은‘휴머노이드 로봇 나오(NAO)의 인간 행동 모방’프로그램을 운영한다.‘나오’는 인간의 뇌에 해당하는 인공 신경망을 가지고 있어 대상의 움직임을 따라하고 기억해 학습이 가능한 로봇이다. 이와 함께 ▲ 항공우주공학과 방효충 교수 연구실의‘무인기 연구 및 나노 인공위성’▲ 건설 및 환경공학과 명현 교수 연구실의‘미래 도시 로봇 시스템 : 해파리 퇴치 로봇, 벽을 타고 오르는 드론’ 등도 전시된다. KAIST의 최신 연구 성과물도 전시된다.‘IT융합연구소’는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인‘닥터 엠(Dr M)’쇼룸을 운영한다. ‘닥터 엠’은 인체에 부착한 스마트 센서를 통해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통합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으로 20여 개의 최신 기술을 보여준다. 인공위성연구센터는‘알기 쉬운 인공위성’프로그램을 운영해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소개하고 위성체 조립실과 위성 교신국도 보여준다. 관람객들을 위한 특별강연도 열린다. 전산학부 김민혁 교수와 오혜연 교수가 각각‘컴퓨터 그래픽스 및 첨단 영상기술 소개’와‘사람과 컴퓨터’주제로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재미있는 과학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밖에 대학생들이 컴퓨터를 옷에 부착하고 패션쇼를 진행하는‘웨어러블 컴퓨터 경진대회’도 큰 볼거리를 제공한다. 개별관람을 원하는 자는 별도의 신청 없이 행사 당일 안내소에서 배포하는 안내책자를 이용해 본인이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 자율적으로 관람 할 수 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이정권 공과대학장은 “올해로 8회째 열리는 ‘Open KAIST' 는 일반인이 KAIST의 생생한 연구현장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자리”라며 “청소년들이 과학적 지식을 넓히고 과학을 사랑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행사의의를 밝혔다. 행사의 세부적인 프로그램과 일정은 홈페이지(openkaist.ac.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
2015.11.02
조회수 19861
한국형 슈퍼컴퓨터 개발 위한 전문가 포럼 출범
국가 컴퓨팅 능력 향상을 위해 초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럼이 출범한다. 우리 대학은 7월 2일(목) 오전 10시 KAIST 본관에서 강성모 KAIST 총장(위원장), 권오준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등 전문가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고성능 컴퓨팅 발전 포럼’ 출범식을 갖는다. 이번 포럼은 기존의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의 해외 도입과 운용 위주의 정책을 탈피해 컴퓨팅 기술의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음성인식 및 인공지능, IoT 등 新서비스업 대두로 인해 빅데이터를 단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초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국에서도 초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투자를 확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초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초고성능 컴퓨팅 기초연구, 인력양성, 산업육성 등 중장기 발전전략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KAIST가 중심이 되어 운영 될 이번 포럼은 초고성능 컴퓨팅 분야 추진과제에 대한 전문적이고 심층적인 논의를 위해 실무분과를 조직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 분과 예시 : 슈퍼 컴퓨팅 / 뉴로 컴퓨팅 / 양자 컴퓨팅 / 클러스터 컴퓨팅 올해 10월까지 초고능성 컴퓨팅 분야에 대해 공개토론회 및 공청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국내 슈퍼컴퓨터 기술개발 능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포럼의 위원장인 강성모 KAIST 총장은 “이번 포럼의 출범은 대한민국이 초고성능 컴퓨팅 분야의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포럼에서 논의되는 내용을 미래부에 제안하여 국가 과학기술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끝.
2015.07.02
조회수 11298
이덕주 교수, 美 헬리콥터 학회 부회장 선출
이 덕 주 교수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이덕주 교수가 국내 최초로 미국 헬리콥터 학회(American Helicopter Society, AHS) 부회장에 선출됐다. 이 교수는 올해 7월부터 2년간 부회장으로서 아시아, 호주, 러시아 지역을 담당한다. 미국 헬리콥터 학회는 1943년 창립한 이래 6800명의 회원이 등록된 동일 분야 최대 학회로, 전 세계 헬리콥터 기술 뿐 아니라 수직이착륙(VTOL) 비행기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사회는 미국 헬리콥터 제조사로 유명한 시콜스키(Sikorsky Aircraft Corporation)社 회장을 비롯해 회전익분야의 전문가 30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교수는 1985년 미국 나사 에임스(NASA Ames) 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시작해 항공기 제트 엔진과 헬리콥터 공력음향학(Aero-Acoustics) 연구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미 헬리콥터 학회지의 부 편집장과 제1회 아시아-호주 회전익기 포럼 및 전시 대회장과 한국형 군용헬기, 민수헬기 통합 테스크포스 팀장을 역임했다.
2015.05.12
조회수 8489
유동일 학생, '항공주 논문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유동일 학생(지도교수 심현철)이 ‘제11회 KAI 항공우주 논문상’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 10월 30일 서울 KINTEX ADEX 2013 전시장 내 미디어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됐다. 유동일 학생은 ‘무인전투기를 위한 가상 추적점 기반 자율 공중 교전 유도 법칙에 관한 연구(A Study on Virtual Pursuit Point based Autonomous Air Combat Guidance Law for UCAV)’ 논문을 제출해 연구의 독창성과 참신성을 인정받았다. 유동일 학생이 소속된 ‘KI 필드 로보틱스 센터’는 지난 제7회 KAI 항공우주논문상 공모전에서도 대상을 수상했으며 이번에 두 번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KAI 항공우주 논문상’은 미래 성장 동력인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학문적 관심고취와 연구개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난 2003년 시작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한국항공우주학회,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한국항공진흥협회 등이 후원하는 행사로 국내 최고 권위를 가진 항공우주분야 공모전이다. 끝.
2013.11.01
조회수 17475
이지윤 교수, 미국 FAA 공로상 수상
- 태양폭풍으로 인한 이온층 변화를 감시해 항공기 안전운항 보장 - 우리 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이지윤(39) 교수가 GPS(위성항법시스템) 보강시스템 개발 및 위성항법 기술진보에 크게 공헌한 점을 인정받아 지난 16일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으로부터 공로상을 수상했다. GPS 보강시스템은 실시간 1m 이내의 위치 정확도와 무결성 정보를 제공해 항공기의 정밀하고 안전한 항행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태양 활동이 극대기에 이르면 이온층의 총전자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GPS 보강시스템을 이용한 항법해의 위치오차가 증가한다. 이 교수는 태양폭풍으로 인한 이온층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이온층 위협 모델을 구축해 GPS 보강시스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독창적인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지구물리학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라디오 사이언스(Radio Science)’에 지난해 7월 게재됐다. 이 교수가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FAA 기술센터의 검증을 거쳐 유로컨트롤(Eurocontrol)을 비롯한 세계 주요기관에 배포돼 사용 중으로 향후 국제기구의 협의를 거쳐 표준화될 전망이다. 이 교수는 “미래 항법기술의 핵심인 위성항법에 대한 활용도가 항공·해양·교통· 정보통신·금융 등 주요 국가 인프라로 확대된 만큼 시스템의 성능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앞으로 국가 간 협력을 통해 GPS 보강시스템의 전지구적 서비스가 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3.09.26
조회수 16930
KAIST 탁민제 교수, 제25대 한국항공우주학회 회장 선출
우리 학교 항공우주공학전공 탁민제(57) 교수가 제25대 한국항공우주학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12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로 1년이다. 탁 교수는 현재 국제전기전자기술자학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항공우주전자시스템 학술지(TAES,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의 유도제어분야 편집위원장, 한국항공우주학회 부회장, 그리고 한국항공우주학회지 및 항공우주매거진 편집위원장 등 활발한 국내외 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학회는 우리나라 항공우주과학의 발전과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1967년 10월에 설립됐으며, 3,500여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2011.11.07
조회수 11463
이인 교수, 국가우주위원회 위원 위촉
우리 학교 항공우주공학전공 이인 교수가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임기는 2011년 8월 1일부터 2013년 7월 31일까지. 국가우주위원회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등 우주개발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대통령 소속하에 두며, 위원장(1인), 정부위원(7인), 위촉위원(4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인교수는 2011년 미국항공우주학회(AIAA ;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석학회원 (Fellow) 에 선임되었으며,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미국항공우주학회의 이사(Director)로 최근 선출된 바 있다. 이 교수는 항공우주구조, 복합재료 및 스마트구조의 해석 및 설계의 권위자로 그 동안 한국항공우주학회장 및 한국복합재료학회장, 나로호 발사 조사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위촉장 전수식은 4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의실에서 가졌다. 맨 오른쪽이 이인 교수
2011.08.04
조회수 13936
이인 교수, 미국항공우주학회 이사에 선출
우리 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이인 교수가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미국항공우주학회(AIAA :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이사(Director)로 최근 선출됐다. 임기는 2014년 5월까지 3년이다. 현재, 100여개국 31,0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이 학회는 1930년 창립된 항공우주분야 최대학회다. 이사회(Board of Director)는 항공우주분야에서 가장 활동적인 인사 약 3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수는 미국항공우주학회(AIAA)와 영국항공학회 (Royal Aeronautical Society) 의 석학회원(Fellow)이며, 중국 항공우주분야 최고대학 중 하나인 난징항공항천대학(NUAA) 영예교수(Honorary Professor)이다.
2011.06.13
조회수 10981
최한림 교수, 오토매티카 응용분야 논문상 수상
우리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최한림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오토매티카 응용분야 논문상(Automatica Applications Paper Prize)’을 수상한다. 최 교수는 지난해 세계적 학술지 오토매티카(Automatica)에 ‘정확도 높은 예보를 위한 이동 센서의 연속적인 경로 계획법(Continuous Trajectory Planning of Mobile Sensors for Informative Forecasting)’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논문의 중요성을 인정받은 데 따른 것이다. 이 논문에서 최 교수는 이동 센서 플랫폼(예 무인항공기, 자율로봇)을 위한 최적의 측정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환경 변수(예 날씨, 오염물질전파)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는 문제를 다루고,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이론 및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최한림 교수와 미국 MIT 항공우주학과 조나단 하우(Jonathan How) 교수가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아 공동으로 수행했다.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 9월 2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제18차 IFAC 총회(Worl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에서 갖는다. ※오토매티카(Automatica) 국제자동제어학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Automatic Control)에서 출간하는 학술지로 제어 및 자동화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한다. 이 학술지는 1981년부터 3년에 한 번씩, 지난 3년간 게재된 논문 중, 조사, 이론, 응용 분야에서 가장 탁월한 논문 각 1편씩을 선정해 오토매티카 논문상(Automatica Paper Prize)을 수여하고 있다.
2011.05.11
조회수 18410
이소연칼럼 열한 번 도끼질하는 용기
이소연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10년 6월 25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동아광장] 열한 번 도끼질하는 용기 신문: 동아일보 저자: 이소연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일시: 2010년 6월 25 (금) 기사보기: [동아광장] 열한 번 도끼질하는 용기
2010.06.25
조회수 11396
탁민제칼럼 천리안 위성이 갖는 의미
탁민제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전자신문 2010년 6월 2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ET단상]천리안 위성이 갖는 의미 신문: 전자신문 저자: 탁민제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일시: 2010년 6월 23(수) 기사보기: [ET단상]천리안 위성이 갖는 의미
2010.06.23
조회수 11337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