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B0%94%EC%9D%B4%EC%98%A4%EB%B0%8F%EB%87%8C%EA%B3%B5%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정재승교수 신간 '크로스' 출간
우리학교 바이오 및 뇌공학과의 정재승 교수가 최근 인문학자 진중권씨와의 공동저서인 "크로스"를 출판했다. (웅진지식하우스, 정가 13,800원, 2009년 12월 15일 출간, 342쪽) "무한상상력을 위한 생각의 합체"란 부제를 단 이 책은 종이컵에 문화를 담는 세상, 셀카로 외로움을 감추는 세상, 멍청한 검색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세상, 사이버 세상의 세컨드 라이프가 더 섹시한 세상 등의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요즘 세상의 의미를 파헤치기 위하여 인문학과 과학의 시각을 하나로 모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파울 클레에서부터 개그콘서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현상에 깊이 있는 미학적 통찰을 지닌 동시에 전방위적인 글쓰기가 가능한 저자 진중권과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 통찰을 나누고자 다방면의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는 저자 정재승은 21세기를 관통하는 문화 키워드 21개를 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두 학문이 서로 충돌하고 합체하는 과정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본다. 21세기 한국이라는 이제 막 진입한 시간과 공간을 흥미롭게 조망하고 이 시대를 이해하는 유익한 통찰력을 선보이고 있다. 더 나아가 사회학, 인류학, 건축학, 경제학 등 전혀 다른 관점에서 이 책에 실린 견해와 내용들을 해석하고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오늘날, 또 미래 대중의 일상을 구성하는 요소를 키워드로 삼아 이 사회의 현재와 앞날을 읽어내려는 시도를 담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상상력을 진화시키고 창조성을 불러 일으키는 21세기형 생각법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정재승(鄭在勝) 소개1972년 서울에서 태어나 창서 초등학교와 연북 중학교를 졸업했다. 1990년 경기 과학고를 일찍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 학부과정에 입학해 물리학을 전공했다. 영화를 무척 좋아해서 대학 때는 영화 동아리 활동을 했고 학교 신문에 영화평을 정기적으로 기고하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카오스 이론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 과정에서는 카오스 이론과 복잡성의 과학을 신경과학에 접목해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뇌의 사고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했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및 응용물리학과 박사후 연구원(1999-2001), 고려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로 있으며,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겸직교수이기도 하다. 대학원생으로 있을 때 『과학동아』에 "시네마 사이언스" 라는 코너를 연재한 것이 인연이 되어 지금까지 대중적 과학 글쓰기를 하고 있다. "과학"의 눈으로 영화를 보면 영화보기의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과학과 미래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으리라는 작은 희망을 갖고 있다. 2001년, 복잡한 사회현상의 뒷면에 감춰진 흥미로운 과학이야기를 담은 『과학콘서트』를 쓴 바 있다. 그의 저서는 재미있는 사건들을 통해 과학을 쉽고 친근하게 소개하여 과학을 외워야 할 머릿속 지식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되도록 하고, 일상에서도 쉽게 과학에 대한 대화와 토론이 이루어지게끔 한다. 또한 국내 최초 라디오 과학 프로그램 「도전 무한 지식」을 진행하면서 쏟았던 열정을 담은 책 『정재승의 도전 무한지식』은 ‘매일 면도 하지 않으면 뇌졸중에 걸릴 확률이 높은 이유나 부패와 발효가 다른 점, 멍든 데 달걀을 문지르면 효과가 있을까?’ 와 같은 다채로운 질문들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하였다. 일상 속에서 마주치기 쉬운 일들을 과학 원리에 입각하여 재미있게 해석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과학적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자타가 공인하는 "과학전도사"가 된 그는 현재도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질문들을 가지고, 과학과 우리 사이의 거리를 부단히 좁히려 노력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충돌과 합체의 퍼포먼스 1. 입맛으로 나, 우리, 그들을 구별하는 세상 : 스타벅스 2. 디지털 세상, 어떤 사람이 구루가 되는가 : 스티브 잡스 3. 검색을 잘하면 지능도 발달할까 : 구글 4. 미래를 예측한다는 위험한 욕망 : 마이너리티 리포트 5. 캔버스 위 예술가와 실험실의 과학자 사이 : 제프리 쇼 6. 소년공상만화가 감추고 있는 그 무엇 : 20세기 소년 7. 다음 세기에도 사랑받을 그녀들의 분홍 고양이 : 헬로 키티 8. 기술은 끊임없이 자아도취를 향한다 : 셀카 9. 왜 눈 위의 작은 선 하나가 그토록 중요한가 : 쌍꺼풀 수술 10. 아름다움도, 도덕도 스스로 창조하라 : 앤절리나 졸리 11. 악마도 매혹시킨 스타일 : 프라다 12. 마시는 물에도 산 것과 죽은 것을 구별하는 이유 : 생수 13. 나는 모든 것을 다 보고 싶다 : 몰래카메라 14. 웃음, 열등한 이들의 또다른 존재 증명 : 개그콘서트 15. 끼와 재능도 경영하는 시대 : 강호동 vs 유재석 16. 그곳에서는 정말 다른 인생이 가능할까 : 세컨드 라이프 17. 집단 최면의 시간 : 9시 뉴스 18. 작게 쪼갤수록 무한 확장하는 상상력 : 레고 19. 사이버의 민주주의를 실험하다 : 위키피디아 20. 예술의 경계가 무너지다 : 파울 클레21. 지식의 증명서? 혹은 사람의 가격? : 박사 에필로그 : 생활 세계의 현상학
2009.12.24
조회수 18460
이광형 칼럼 창투사 능력이 벤처 불을 지핀다
이광형 교수(바이오 및 뇌공학과)가 세계일보 2009년 12월20일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창투사 능력이 벤처 불을 지핀다 매체: 세계일보 저자: 이광형(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일시: 2009/12/20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1220002427&cid=
2009.12.21
조회수 10852
이광형칼럼 창의적 수업을 바꿀 수 없는 이유
이광형 교수(바이오 및 뇌공학과)가 세계일보 2009년 11월23일자에 기고문을 게재했다. 제목: 창의적 수업을 바꿀 수 없는 이유 매체: 세계일보 저자: 이광형(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일시: 2009/11/23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1122002116&cid=
2009.11.23
조회수 9882
정재승칼럼 예술적 상상력 vs 과학적 상상력
정재승(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한겨레 2009년11월14일자에 "예술적 상상력 vs 과학적 상상력"이란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예술적 상상력 vs 과학적 상상력 저자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매체 - 한겨레 일자 - 2009.11.14(토) 칼럼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387625.html
2009.11.14
조회수 11277
바이오및뇌공학과 황현두 군, μTAS 2009 국제학회에서 젊은 연구자 포스터 우수상 수상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과정 황현두(지도교수 박제균) 학생이 지난 11/1-5일 제주도에서 열린 ‘μTAS 2009 국제학회 (제13회 극소형 생물/화학분석시스템 국제학술회의,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niaturized Systems for Chemistry and Life Sciences)’에서 ‘광전자유체제어 기술로 수용액 상에 존재하는 생체분자의 확산계수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Diffusion measurement of biomolecules using rapid generation of black hole in a molecular solution by optoelectrofluidics)’에 관한 논문으로 ‘젊은 연구자 포스터 우수상(Young Researcher Poster Award Winner)’을 수상했다. 황씨는 세계 유수의 대학과 연구기관으로부터 발표된 약 600 여 편의 Poster 논문 가운데 다단계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된 3명의 수상자 중의 한명으로 결정됐다. 황씨는 지난해 San Diego에서 개최된 μTAS 2008 국제학회에서도 여행경비 일부를 보조 받는 ‘Student Travel Grant’를 받은 바 있었다.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학부과정을 3년만에 조기 졸업 한 황씨는 1년 6개월만에 석사논문을 완성하고, 지난 2007년 9월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그동안 2년여에 걸친 박사과정 기간 동안 Analytical Chemistry, Langmuir, Lab on a Chip, Applied Physics Letters 등 우수국제 저널에 제1저자의 논문 10편을 이미 출판한 바 있다. 이 중 광전자유체제어기술로 미세입자를 조절하는 새로운 결과는 2009년 1월호 Lab on a Chip 표지논문으로 선정된 바 있어 논문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적으로 입증한 바 있었다. 이밖에 황씨는 2007년도 한국바이오칩학회 우수논문발표상, 2008년 서암학술장학재단 제17기 국내 박사과정연구지원 이공계 부문 장학생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09.11.12
조회수 26466
이광형칼럼 "돈을 보람있게 쓴거 같습니다"
우리학교 바이오및뇌공학과 이광형 교수가 세계일보에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돈을 보람있게 쓴 것 같습니다" 신문 - 세계일보 일자 - 2009.10.26(월)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1025002164&cid=
2009.10.26
조회수 10399
정문술 이사장 기부 8년만에 ‘정문술 빌딩’ 생애 첫 방문
- 2001년 300억기부로 탄생한 정문술빌딩 -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철희교수팀 관류측정 기술 한계를 극복한 ‘말초조직의 기능적 혈액관류측정기술’상품화 KAIST 정문술(71) 이사장이 자신의 기부금으로 건립된 ‘정문술 빌딩‘의 바이오및뇌공학과를 기부 8년만인 오는 19일 첫 공식 방문한다. 이 빌딩은 지난 2001년 鄭 이사장이 낸 기부금 300억 가운데 110억원을 들여 지하1층, 지상11층 규모로 2003년 8월에 완공됐다. 그러나 정 이사장은 이 빌딩의 기공식, 준공식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다. 그동안 KAIST를 여러 차례 방문했으나 자신의 기부로 만들어진 이 빌딩엔 단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다. “정문술빌딩에서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신기술이 나오기 전에는 들어가지 않겠다.”는 그의 신념 때문이었다. 최근 鄭 이사장의 기부에 의해 탄생한 바이오및뇌공학과가 정이사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鄭 이사장은 이 학과를 방문해 최근 개발한 ‘말초조직의 기능적 혈액관류 측정기술‘ 등 2002년 학과 설립 후 약 7년간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교수,학생들과 간담회를 갖는다.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철희 교수팀이 개발한 ‘말초조직의 기능적 혈액관류 측정기술’은 혈관에 주입된 근적외선 조영제(인도시아닌그린)를 광학영상장비로 실시간 촬영해 얻은 동적영상으로부터 약물동역학 분석을 통해 관류율(%/min)을 계산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바로 이 기술의 임상 적용 연구를 수행해 동역학을 관류율로 계산하는 자동화분석 프로그램과 하지 영상이 가능한 근적외선 영상장비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된 하지의 관류율은 ‘관류맵’으로 표시되며 조직의 평균관류율을 진단결과로 제시한다. 특히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하지허혈질환인 하지동맥경화 질환의 진단 여부를 검사한 결과 민감도 81%, 특이도 88%라는 높은 진단율을 얻었다. 개발된 기술은 기존의 혈관조영을 위한 CT나 MRI 영상장비처럼 높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비교적 간단한 광학 영상 장비를 이용하기 때문에 침상에서 바로 진단이 가능할 뿐 아니라 손쉽고 저렴한 하지혈류 정기검진 방법으로도 매우 적합하다. 동맥경화와 당뇨병 등 관류 장애를 유발하는 심혈관계 질환은 사망원인의 상위를 차지하는 질병이다. 따라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한 연구팀의 성과는 관류측정 의료기기 시장에서 산업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이 기술은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특허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도 기술을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 기술은 임상뿐 아니라 신약개발의 전임상 단계에서 약효를 검증할 수 있는 동물실험에도 응용 가능하여 혈류 개선 약물 개발 및 신생혈관 생성억제제 연구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해부학적 혈관구조를 영상화하는 기존의 기술과는 달리 기능적 혈류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혈관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기 이전에 혈류의 이상이 오는 단계에서 조기진단이 가능해 고혈압 및 당뇨 환자의 하지혈류저하 조기진단 검진기술로 응용 가능하다. 또한 동물실험에도 응용할 수 있어 동물용 근적외선 영상 장비 제작을 통한 산업화, 자동화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신생혈관 생성, 혈관투과율, 관류율 등 여러 가지 혈관생리에 관련된 실험결과 등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향후 당뇨 및 고혈압 환자 등의 진단 가능성 여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혈관내피세포 기능 분석 영상장비를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현재 (주)뷰웍스에 기술을 이전하고 하지관류측정용 근적외선 영상 시스템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임상시험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더욱 보완한 영상 장비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생체광학영상 분야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하여 KAIST와 (주)뷰웍스 공동으로 광학생체영상센터를 개설하여 산학협동 연구를 활성화하며 인력개발 및 고용창출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2009.10.19
조회수 23721
조광현교수, 유럽 시스템생물학 국제저널 편집위원장 선임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가 유럽 최대 규모의 공학회인 IET(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서 발간하는 국제저널 IET 시스템즈바이올로지(Systems Biology)의 편집위원장(Editor-in-Chief)으로 최근 선임됐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조교수는 국내 시스템생물학 연구를 개척한 선구자로 다수의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이뤄왔다. 특히 생명시스템의 컴퓨터시뮬레이션 분석기술을 개발하여 복잡한 생명현상을 공학적 방법으로 해독함으로써 생명현상의 숨겨진 동작원리를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동양인으로서는 매우 드물게 유럽에서 발간되는 국제저널의 편집위원장으로 선임됐다. 이에 따라 조교수는 2012년까지 이 저널의 편집업무를 주관하며 논문의 최종 게재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IET는 135년 전통의 유럽 최대규모의 공학회인 IEE가 최근 타 학회와 합병하여 만들어졌으며 현재 127개국 약 15만명의 회원으로 구성돼 있다. IET 시스템즈바이올로지(Systems Biology)는 21세기 대표적인 융합과학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IT와 BT의 융합학문인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연구논문을 출판하고 있다.
2009.09.24
조회수 16377
이광형칼럼 실패에서 배운다
우리학교 이광형(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세계일보 2009년 9월 21자에 <실패에서 배운다>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실패에서 배운다 신문 - 세계일보 일자 - 2009.09.21(월)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0920001979&cid=
2009.09.21
조회수 8347
이광형칼럼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이광형(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중앙일보 2009년 8월 26자에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시론] 아름다운 기부 "300억 클럽" 저자 - 이광형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매체 - 중앙일보 일자 - 2009.08.26(수) 칼럼보기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743934
2009.08.26
조회수 9667
이광형칼럼 "특허괴물"에 맞서려면
이광형(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세계일보 2009년 8월 17자에 "특허괴물에 맞서려면"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이광형칼럼] "특허괴물"에 맞서려면 저자 - 이광형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매체 - 세계일보 일자 - 2009.08.17(월)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0816002038&sid=2001030&subctg1=&subctg2=
2009.08.17
조회수 9500
이광형칼럼 다문화사회는 강국으로 가는 길
이광형(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세계일보 2009년 7월 13자에 "다문화사회는 강국으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이광형칼럼] 다문화 사회는 강국으로 가는 길 저자 - 이광형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매체 - 세계일보 일자 - 2009.07.13(월) 칼럼보기 http://www.segye.com/Articles/News/Opinion/Article.asp?aid=20090712002259&cid=
2009.07.13
조회수 8900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