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AC%B8%ED%99%94%EA%B8%B0%EC%88%A0%EB%8C%80%ED%95%99%EC%9B%90
최신순
조회순
문화기술대학원, ‘Screen X’ 등 최첨단 기술 전시회
- 11월 1일 오전 9시 30분 문화기술대학원 백남준홀에서 개최 우리 대학 문화기술대학원(원장 : 이동만)이 11월 1일 오전 9시 30분 문화기술대학원 백남준홀에서 "2013 문화기술대학원 데모데이‘ 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문화와 기술이 결합된 최신의 연구성과를 일반인에게 소개하고 문화기술의 미래 트렌드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연구 성과 전시,시연과 트랙별 연구 성과 발표회로 나눠 진행된다. 오전 시연행사에는 ▲3면이 스크린으로 활용되는‘Screen X’기술 ▲ 세계 최초로 자석을 이용한 스마트폰 입력이 가능한‘매그젯(MagGetz)’기술 ▲가상과 현실세계를 마술처럼 이어주는‘Space Touch’기술▲ 증강현실을 이용해 증강물체를 보고 인식할 수 있는‘Avatar’기술 등이 소개된다. 이어 오후 발표회에는 ▲이성희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디지털 예술과 엔터테인먼트’를, ▲차미영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소셜네트워크’를, ▲이지현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상호 작용하는 미디어와 공간’을 주제로 각각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행사를 주관한 이동만 문화기술대학원 원장은 “이번 데모데이는 문화기술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미래 트렌드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이라며 “문화기술대학원은 앞으로도 연구성과를 알리는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은 2005년 9월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산업의 결합해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구는‘Digital Art & Entertainment’, ‘Ambient Communication’, ‘Interactive Media & Space’등 세 개의 트랙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종합적인 안목과 전문역량을 갖춘 글로벌 고급 문화기술 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끝. 행사 보충문의 : 문화기술대학원 손성은 [042-350-2904]
2013.10.30
조회수 10280
3D TV·영화 컨텐츠, 우리 기술로...
노준용 교수 - 3D 입체변환 효율 3배 이상 향상시킨 ‘NAKiD’ 개발 -- 미국 LA서 열린 ‘시그래프 2012’에서 관심 쏟아져 - 우리 학교 문화기술대학원 노준용 교수 연구팀이 반자동 3D 입체변환 효율을 3배 이상 향상시킨 소프트웨어 ‘내키드(NAKiD)’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노 교수팀이 개발한 ‘NAKiD’를 지난 8월 미국 LA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컴퓨터 그래픽(CG) 및 양뱡향 기술 컨퍼런스·전시회인 ‘시그래프 2012‘에서 미리 선보여 참가자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노 교수팀의 ‘NAKiD’ 개발로 그동안 값비싼 외산 장비와 기술에 의존하던 입체영상 촬영을 상당수 대체,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안경을 쓰지 않고도 여러 사람이 동시에 3D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다시점 무안경 3D 입체영상은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입체를 촬영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NAKiD’를 통한 변환기술은 한 개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도 쉽게 입체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작 과정의 어려움을 없애는 동시에, 획기적으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3D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실제의 카메라를 두 대 배치해 촬영하는 기법과 또 하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입체변환 기법이다. 두 대의 카메라로 찍는 기법의 경우 촬영 장비가 비싸고, 촬영 후 보정 등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체변환을 하면 기존 장비를 이용해 촬영을 할 수 있고, 기존에 이미 만들어진 2D 컨텐츠도 3D로 변환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최근 이 분야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에 노준용 교수가 개발한 기술도 여기에 해당된다. 입체변환은 ▲객체 분리 ▲깊이 정보 생성 ▲스테레오 렌더링의 단계로 진행되는데, 노 교수 연구팀은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단계별로 최적화를 도모했다. 노 교수 연구팀은 우선 영상 내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을 대략적인 경계에 대한 입력만으로도 털이나 머리카락을 포함한 미세한 객체 분리를 가능하게 했다. 또 분리된 객체에 의해 가려진 배경의 영역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다양한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이와 함께 지형이나 건물의 특징점이나 소실점 등의 정보를 분석해 깊이 정보를 완전히 자동으로 생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수동 작업 시에는 유저(User) 편의성을 최대한 고려했다. 또 분리된 객체와 생성된 깊이 정보로부터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스테레오 렌더링 단계에서는, 왼쪽과 오른쪽 촬영 영상에 대해 각각 렌더링이 이루어졌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한번 렌더링 되었던 정보 중 다른 쪽에서 다시 사용 가능한 정보를 최대한 재활용해 렌더링 시간을 줄였다. 노준용 교수는 “최근 3D TV가 많이 개발돼 보급되고 있지만 3D로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별로 없다”며 “입체변환 기술을 이용하면 적은 비용으로 쉽게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 그래픽 분야에서 연구가치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 교수는 이어 “이번에 입체변환 효율을 3배 이상 향상시켜 인도, 중국 등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는 변환시장에서의 기술적인 우위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노 교수 연구팀의 입체변환기술은 이미 국내기업에 3건의 기술이전이 이뤄진 바 있으며, 2011년 개봉한 영화 ‘7광구’의 3D효과 작업에도 적용됐다.
2012.10.11
조회수 9865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2회 시민 인문강좌’ 개최
- 일반시민 대상 다음달 4일부터 7일까지 선착순 모집 - - ‘사회학・과학’ 시민강좌 와 ‘미술관 답사’등 2개 프로그램 운영 - - 전 과정 무료이나 내용은 명불허전 - KAIST가 지난 봄에 이어 가을에도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고급 인문 및 교양강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KAIST 인문사회과학연구소(소장 김동원)는 다음달 16일부터 총 8회에 걸쳐 대전 시민 등 인문학 분야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2회 시민 인문강좌’를 개최한다 이번강좌는 사랑 • 심리학 • 먹거리 문화 • 여론조사 • 여성 • 기술 등 사회적으로 널리 인용되지만 이론적 정립이 어려운 사회학적 이론을 경험해 보는 ‘사회학 • 과학’ 시민강좌 프로그램과 대전 시립미술관과 이응노 미술관의 특별전시회를 관람하는 ‘미술관 답사’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시민 인문강좌’는 10월 16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KAIST 인문사회과학동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되는데 선착순 100명을 모집해서 운영된다. 이원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의 <사랑의 역설과 소셜 네트워크>를 시작으로 ▲김정훈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심리학적 지식의 불편한 진실>을, ▲이석봉 대덕넷 대표가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해법 ‘종이 신문’>을, ▲김동주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우리 시대의 먹거리 문화에 대한 성찰 : 고대 인류는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를 주제로 각각 강의한다. 이어 ▲신피터경섭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삼성 대 애플, 최후의 승자는?>을, ▲박현석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여론 조사와 대통령 선거: 과연 국민의 뜻은 무엇인가?>를, ▲ 윤정로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여성의 눈으로 본 과학 기술>을, ▲김원준 KAIST 경영과학과 교수가 <요즘 왜 자꾸 통섭, 융합이 화두인가?>를 주제로 각각 강의를 진행한다. 이밖에 선착순으로 모집한 시민 20명을 대상으로 진행 되는 ‘미술관 탐방’ 프로그램은 김소희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가 이끈다. 김 교수는 대전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프로젝트 대전 2012 : 에네르기>전시회와 이응노 미술관이 주최하는 <텍스트가 된 인간 : 이응노, 줄리안 오피 & 소피 칼>전시회를 감상하면서 현대미술의 흐름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이번 강좌를 총괄하는 신동원 KAIST 인문사회과학과 교수는 “이번 인문학 강좌에 많은 시민이 참여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영혼을 살찌우는 소중한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접수신청은 10월 4일에서 7일까지 인문사회과학과 홈페이지(http://hss.kaist.ac.kr)에서 가능하며 수강료는 전액 무료다. 강좌 상세내용은 홈페이지(http://hss.kaist.ac.kr/)에서 확인 가능하다. 문의 :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임경희 T. 350-8007, E-mail. baobab@kaist.ac.kr
2012.09.27
조회수 14123
'ICISTS-KAIST 2012' 개막
서남표 총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 ‘융합’을 주제로 11개국 61개 대학 350명 대학생 참여 - 세계 각국의 대학생들과 석학들이 한데 모여 융합의 시대가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는 국제 대학생 컨퍼런스 ‘아이시스츠-카이스트(ICISTS-KAIST) 2012’가 6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막식을 열고 5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아이시스츠-카이스트’는 KAIST 학생들이 주관하는 행사로, 국내 최대 규모 대학생 국제 컨퍼런스다. 이날 오전 10시30분 대전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열리는 개막식에는 서남표 KAIST 총장과 채훈 대전마케팅공사 사장이 참석해 각각 환영사와 축사를 할 예정이다. 이어서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원장이 기조연설 연사로 나선다. 김도연 위원장은 사회적 화두인 융합에 대해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참가자들과 나눈다. 특히, 융합연구의 진흥을 위한 과학기술 국정정책의 중요성을 R&D 예산 분배의 관점에서 설명할 예정이다. 올해 컨퍼런스에는 신희섭 기초과학연구단장과 노소영 아트센터나비 관장을 비롯해 샴 선더(S. Shyam Sundar) 펜실베니아주립대 특훈교수, 브루스 실리(Bruce E. Seely) 미시간대 학장 등 국내외의 쟁쟁한 연사 35명이 강단에 선다. 참가자로는 KAIST,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국내 대학생을 비롯해 미국의 애머스트대와 조지아공대, 중국 북경대와 일본 와세다대, 영국과 프랑스 등 11개국 61개 대학에서 350명의 대학생이 참가한다. 예술과 인문사회, 공학에 이르기까지 참가자의 전공도 다양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같은 시간에 3개의 강의가 진행되는 ‘병렬 세션’을 비롯해,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으로 나아가는 창업가들이 진솔한 토크를 펼치는 ‘창업 세션’이 열린다. 이와 함께 연사와 참가자들이 소규모 그룹을 이뤄 자유롭게 토론하는 ‘그룹 토의’가 진행되며, 세계 곳곳에서 모인 참가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알리기 위해 창작무용과 사물놀이 등 다양한 공연과 부스도 ‘컬처 나잇’에 마련됐다. 특히, 8일 오후 4시에는 ‘아이시스츠-카이스트 2012’의 여러 강연 중 대국민 이색 과학강연인 ‘플러스+(PLUS+)’가 KAIST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이날 대중강연에서는 ‘엘본 더 테이블’의 최현석 총괄셰프와 ‘카이스트 모바일 폰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있는 여운승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각각 강연과 함께 시연을 한다. 컨퍼런스의 참가자들을 비롯해 KAIST 교수와 학생, 대덕연구단지 구성원, 대전지역 고등학생 등 1000여 명은 이날 강연을 통해 과학기술과 예술의 ‘융합 현장’을 직접 목격하고 체험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고등학생 이상의 국민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이 강연은 2시간가량 진행되며, 시작 1시간 전인 오후 3시 부터 현장접수를 받는다. 최지수 조직위원장(KAIST 수리과학과 3학년)은 “참가자들은 컨퍼런스를 통해 과학기술이 그 자체로 머물지 않고 다른 학문과 만나 융합할 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며 “35명의 KAIST 학생들이 1년 간 준비한 컨퍼런스에서 많은 감동과 영감을 얻어가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이 ‘융합시대를 살아갈 과학기술자’ 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ICISTS-KAIST 2012 행사장
2012.08.06
조회수 11820
2012 소셜웹(Social Web) 국제 워크숍 개최
- 소셜 웹 • 소셜 네트워크 • 소셜 사이언스 분야 연구방향 논의의 장 - - 8일부터 10일까지 제주 라마다 호텔에서 개최 - 우리 대학 웹사이언스 공학과(책임교수 맹성현)는 8일 부터 10일 까지 사흘 동안 제주 라마다 호텔에서 ‘2012 소셜웹 국제 워크숍(2012 Social Web International Workshop)"을 연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국제 워크숍에는 사회학, 언론정보학, 전산학, 경제학 등 다양한 영역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가해 소셜 네트워크, 소셜 사이언스 등 소셜웹 분야의 연구방향을 소개하고 토론한다. 해외 인사로는 크리시나 구마디(Krishna Gummadi)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박사, 알윈 킹(Irwin King) 홍콩 중문대 교수, 윈터 메이슨(Winter Mason) 미국 스티븐스 기술연구소 박사, 다니엘라 쿼시아(Daniele Quercia) 영국 캠브리지 대학 교수가 참여한다. 국내에선 김용찬 연세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김예란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박주용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오혜연 KAIST 전산학과 교수, 이원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참여한다. 맹성현 KAIST 웹사이언스공학 책임교수는 “인터넷 서비스의 트렌드인 소셜웹은 중요한 연구 분야였으나 아직까지 학문적 연구가 부족했다”며 “이번 워크샵이 해외학자들과 교류를 통해 소셜웹 •소셜 네트워크 •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 방향을 토론하고 소셜웹의 문제점을 고민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는 일반인도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참가문의 : (042-350-8448)
2012.08.02
조회수 10196
우성주 칼럼 협력은 불안을 이긴다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3월 30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협력은 불안을 이긴다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3월 30일(수) 기사보기: 협력은 불안을 이긴다
2011.03.30
조회수 8964
우성주 칼럼 기능에 디자인을 입혀라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3월 16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기능에 디자인을 입혀라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3월 16일(수) 기사보기: 기능에 디자인을 입혀라
2011.03.16
조회수 7737
우성주 칼럼 제주語엔 옛 우리말 숨쉰다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3월 2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제주語엔 옛 우리말 숨쉰다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3월 2일(수) 기사보기: 제주語엔 옛 우리말 숨쉰다
2011.03.02
조회수 7815
우성주칼럼 빼앗아간 문화재..빌려주겠다니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2월 16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빼앗아간 문화재..빌려주겠다니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2월 16일(수) 기사보기: 빼앗아간 문화재..빌려주겠다니
2011.02.16
조회수 7751
원광연 칼럼 맞춤형 IT기술과 삶의 질
원광연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세계일보 2011년 1월 27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사이언스 리뷰] 맞춤형 IT기술과 삶의 질 신문: 세계일보 저자: 원광연 문화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1월 27일(목) 기사보기: [사이언스 리뷰] 맞춤형 IT기술과 삶의 질
2011.01.27
조회수 8754
우성주 칼럼 의료기술의 새 패러다임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1월 26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의료기술의 새 패러다임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1월 26일(수) 기사보기: 의료기술의 새 패러다임
2011.01.26
조회수 7522
우성주 칼럼 대한민국 기부문화를 돌아본다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아시아경제 2011년 1월 12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대한민국 기부문화를 돌아본다 신문: 아시아경제 저자: 우성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일시: 2011년 1월 12일(수) 기사보기: 대한민국 기부문화를 돌아본다
2011.01.12
조회수 9470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