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남표 총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 취임
<동정> 서남표 KAIST 총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 취임
서남표(徐南杓) KAIST(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이 최근 한국공학교육
인증원(ABEEK) 제3대 원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전임원장의 잔여기간인
내년 6월12일까지다.
사단법인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과 자문을
시행함으로써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지난 1999년 8월에 설립되었다
2007.10.02
조회수 12690
-
‘KAIST 책 읽는 밤’ 김훈 작가 초청 강연
- 20일(목) 오후 7시 30분, KAIST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개최우리 학교는 "KAIST 제1회 책 읽는 밤" 행사에 소설가 겸 자전거 레이서인 김훈 작가를 초청, 강연회를 갖는다. 강연은 오는 20일(목) 오후 7시 30분, 교내 창의학습관 터만홀에서 진행된다
김훈 작가는 이날 우리 학교 학생들에게 ‘남한산성과 나의 인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며, ‘불멸의 이순신’ 작가인 김탁환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와 학생 대표 4명이 패널로 참석, 김훈 작가와 토론을 펼친다.
우리 학교는 이번 학기부터 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통한 글로벌 리더로서의 기본 소양을 배양시키기 위해 독서마일리지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KAIST 책 읽는 밤" 행사는 이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김훈 작가 프로필>■ 주요경력 - 2002년 한겨레신문 편집국 민권사회2부 기동취재팀 부국장급 - 2000년 시 전문 계간지 편집위원 - 1999년 - 2000년 한국일보 편집국 편집위원 - 1999년 국민일보 편집국 편집위원 - 1997년 시사저널 편집국장, 편집인 이사 ■ 주요수상 - 2005년 황순원문학상 수상 - 2004년 이상문학상 수상 - 2001년 동인문학상 수상■ 주요저서 - 남한산성, 칼의 노래, 빗살무늬토기의 추억, 현의 노래, 자전거 여행 등 다수
2007.09.18
조회수 13948
-
美 메디테크社 닐 파팔라도 회장 초청강연
우리 학교는 오늘(18일) 닐 파팔라도(Neil Pappalardo, 65) 美 메디테크社 회장을 초청, “메디테크의 소프트웨어기술(Software Technology at Meditech)”을 주제로 강연을 갖는다.
이번 특강에서 파팔라도 회장은 우리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디테크社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 철학, 사업에 대해 강연한다. 강연은 ▲데이터 값과 리스트(Data Values and Lists) ▲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s) ▲ 데이터베이스 기능(Database Functionality)의 3가지 주제로 진행된다.
파팔라도 회장은 MIT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26세에 병원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업체인 메디테크社를 설립했다. 그 후 40여년간 지속적으로 헬쓰케어와 메디컬 분야에 특화된 독자적인 소프트웨어 언어를 개발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해 왔다. 지난 2월에는 우리학교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메디테크社는 혁신적인 진료경영시스템 구축으로 지난해 수익만 3억3천1백만 달러에 달한다. 현재 미국, 영국, 캐나다의 25% 시장 점유율로 전세계 2천1백여개 종합병원이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별첨> 강의 요약문
SOFTWARE TECHNOLOGY AT MEDITECH
메디테크社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소프트웨어 업체 중 하나로, 1969년 설립 초창기부터 병원 내 다양한 임상 과정, 행정 및 재무 시스템 등에 특화 된 많은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왔다. 기술을 다루는 업체이기 때문에 항상 고객의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서비스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메디테크社의 프로그래밍 인력의 대부분은 현재 개발된 제품의 점진적인 기능 향상과 지원을 위해 일하고 있으며, 나머지 인력은 향후 새롭게 선보일 차세대 기술을 위해 연구하고 있다.
대략 10년을 주기로 메디테크社는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차세대 제품을 소개하여 현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DATA VALUES AND LISTS, PROGRAMMING LANGUAGES, DATABASE FUNCTIONALITY 세 가지 주제를 다루게 된다.
2007.09.18
조회수 15579
-
정재승칼럼 '서울대공대 교수채용 실패'소동
정재승(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7년 9월17일자에 '서울대공대 교수채용 실패 소동' 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서울대공대 교수채용실패' 소동
저자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일자 - 2007.9.17(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709/h2007091618271888710.htm&ver=v002
2007.09.17
조회수 9607
-
한상근칼럼 정부가 진정 노벨상을 원한다면
한상근(수리과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7년9월10일자에 "정부가 진정 노벨상을 원한다면"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정부가 진정 노벨상을 원한다면
저자 - 한상근 수리과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일자 - 2007.9.10(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709/h2007090918011388710.htm&ver=v002
2007.09.10
조회수 8151
-
KI 공동, 국제 심포지움 개최
우리 학교 KI(KAIST Institute, KAIST 연구원) 소속 연구소들의 공동 국제 심포지움을 오는 6일(목), 7일(금) 양일간 KAIST내 창의학습관 터만홀에게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움은 국내.외 전문가와 석학들을 초빙, 7개 KAIST 연구소에서 수행중인 중점 연구 분야 및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 참여 연구진과 토론을 통해 추진사항을 재점검한다. 또한 최신 연구분야에 대한 정보 흐름을 공유하고, 해외 과학자와 협력 교류를 통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 보다 발전적인 협력 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KAIST 연구소’는 서남표 총장이 추진하는 중점 전략 사업 중 하나다. 미국 MIT 링컨연구소처럼 세계적인 연구개발성과를 통해 대학의 인지도를 높이고 국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발판으로 삼는다는 구상이다. 우리 학교는 미래 세계적인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융합분야를 선정, 7개 KAIST 연구소(바이오융합연구소, 정보전자융합연구소, 복합시스템설계연구소, 엔터테인먼트공학연구소, 나노융합연구소, 청정에너지연구소, 미래도시연구소)를 설치하고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KAIST 연구소에는 17개 학과 150여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이상엽교수(생명화학공학과)-정하웅교수(물리학과) 팀의 “가상세포로 생명체 필수대사물질 발굴과 강건성 문제 규명” 성과도 우리 학교 바이오융합연구소의 학제적 융합 연구 환경과 지원을 통해 실현된 좋은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김상수 연구원장은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대학 및 연구소외에도 탐 맥타비쉬 모토롤라 인간상호작용연구소 소장, 이철배 LG전자 엘에스알(LSR)연구소장 등 산업체 전문가가 참여하여 산학연의 다양한 의견과 시각을 교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07.09.06
조회수 15353
-
각계 최고 전문가 교수로 초빙
- 초빙특훈교수 조장희 박사, 박병준 회장, 초빙석좌교수 이인호 교수, 전문교수 김정화 대표 임용 - 각 분야 최고 전문가 초빙, 활용하는 다양한 교수임용제도 본격 시행 우리 학교는 이번 가을학기에 조장희(趙長熙, 71, 가천의과학대 뇌과학연구소장) 박사와 박병준(朴柄俊, 73, MTL 설립자) 회장을 초빙특훈교수로, 이인호(李仁浩, 71, 서울대 명예교수) 교수를 초빙석좌교수로, 김정화(金貞和, 51, 뮤지엄스 코리아 대표) 대표를 전문교수(Practice professor)로 임용했다.
<조장희박사, 박병준회장, 이인호교수, 김정화대표>조장희 박사는 뇌과학전문가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인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한국인 과학자 중에서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과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뇌영상장비인 PET-MRI 융합장비 개발과 뇌과학분야에서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우리 학교 바이오뇌공학과의 뇌연구 공동 진행, 교육과정 자문, 논문지도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박병준 회장은 1986년 美 산업제품안전성 시험평가연구소(MTL)를 설립하고 2001년 프랑스 국제품질검사기관인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와 합병한 후 국제무역제품 품질 및 안전성 검사, 건축구조물 및 항공분야 안전성 검사 등에 세계적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박 회장의 경영철학과 국제적 경영 경험을 통해 KAIST 학생들의 글로벌 리더로의 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이인호 교수는 한국 최초 여성 대사로 주 핀란드와 러시아 대사를 역임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역사학자로서의 학문적 성과와 대사, 정부자문위원 등을 거친 풍부한 실무 경험을 두루 갖춘 석학이다. 이 교수의 교육과 연구, 다양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학생 지도와 타 기관과의 네트워킹을 통한 활발한 교류를 기대하고 있다.
김정화 대표는 문화기획전문가로 최근 스페인 아르코 국제행사의 커미셔너를 역임하는 등 문화기획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김 대표는 우리 학교 결과물을 총 집대성하여 ‘문화플랫폼’을 구축하고 문화와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 기대된다.
우리 학교는 2011년까지 교수 300명 증원을 목표로 전임직 교수 초빙에 박차 가하는 한편, 다양한 교수임용제도를 통해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를 교수로 초빙, 교육과 연구의 질을 높일 계획이다. 올 한해 외국인 교수 3명을 포함한 전임직 교수 30명, 초빙특훈교수 3명, 초빙석좌교수 1명, 전문교수 3명을 초빙했다.
2007.09.06
조회수 19013
-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조남진교수, 원자력학회장 선출
원자력학회장에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조남진 교수선출
우리 학교 조남진(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지난 9월 1일 한국원자력학회장에 취임했다.
조교수는 서울대 원자력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원자력 분야에서 기술의 산업응용을 위한 연구와 인재양성에 전념해 온 원자력 전문가다.
조교수는 지난 1989년부터 1997년까지 한국원자력학회 편집이사를 역임했으며 우리나라 원자력분야 최고의결기구인 원자력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해 왔다.
2007.09.04
조회수 15172
-
기계공학과 출신 정철호 박사, 덴마크공대 음향학 조교수로 임용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학,석,박사 과정을 마친 정철호 박사(지도교수 이정권)가 오는 10월 덴마크공과대학 음향공대 조교수로 임용된다. 정박사는 2008년 봄학기에 덴마크공대에서 건축음향학을 강의하게 된다.
덴마크공대는 1829년 전자기학 분야에서 저명한 덴마크 물리학자인 한스 크리스챤 오스티드가 설립했다. 이 대학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최고의 유럽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한편, 오는 9월 2일부터 8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제19회 2007 국제음향회의에서(ICA 2007)에서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하게 된다. 젊은 과학자상은 젊은 과학자들이 국제학회에 활발히 참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유럽 음향학회, 스페인 음향학회, 미국 음향학회의 지원으로 올해는 9명을 선정했다. 국제음향회의는 3년에 한 번씩 열리는 국제학술대회로 약 1300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2007.08.22
조회수 19526
-
정재승칼럼 의사에게 공학교육을
정재승(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7년 8월20일자에
"의사에게 공학교육을"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의사에게 공학교육을
저자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
일자 - 2007.8.20(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708/h2007081918122988710.htm&ver=v002
2007.08.20
조회수 7398
-
한상근칼럼 수학이 필요 없는 나라
한상근(수리과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7년 8월13일자에 "수학이 필요 없는 나라"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수학이 필요 없는 나라
저자 - 한상근 수리과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일자 - 2007.8.13(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708/h2007081218111788710.htm&ver=v002
2007.08.13
조회수 8213
-
김학성 교수, 연구논문 독일화학誌 인터넷판 게재
- 비 표지방식에 의한 단백질 활성의 고감도 측정기술 개발- 세포 내에서 단백질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및 신호전달 연구와 신약 후보 물질의 스크리닝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 기술
우리 학교 생명과학과 김학성(金學成) 교수 / 김영필(金英必, 박사과정) 연구팀은 독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誌에 이차이온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단백질 활성 분석방법을 8월 1일자 인터넷 판에 발표했다. 이 연구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 이태걸 박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생체 내에서 단백질의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 및 효소는 세포내 신호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세포의 분열, 성장, 사멸과정을 정교하게 조절하고 있다.
단백질 키나제(protein kinase)는 단백질의 특정아미노산을 인산화 시켜 세포 내 다양한 신호전달 및 질병 메카니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백질의 수식에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세포내 신호전달 기작은 물론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 개발된 백혈병 치료제인 글리벡은 세포의 증식 (proliferation)에 관련된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 저해제다. 기존에는 주로 항체에 다양한 표지물질 (형광 혹은 효소)을 부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을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하기가 어려웠다.
金 교수팀은 금 나노입자(gold nanoparticle)와 이차이온 질량분석기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를 활용하여 고감도로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을 측정하고 동시에 단백질 저해제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다양한 칩 표면에 금 나노입자를 부착하고 생체물질을 결합한 후 이온 빔을 조사하게 되면 생체물질의 질량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단백질 키나아제의 기질로서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질량신호가 금 나노입자에 의해 수 십배 증폭되는 점에 착안했다.
기존 질량분석기 중 매트릭스 보조된 레이저 탈착/이온화 질량분석기 (MALDI-MS)의 경우는 첨가된 매트릭스(matrix)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해 정량분석에 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에서는 매트릭스가 필요 없는 이차이온 질량분석기와 균일한 표면의 금 나노 입자층을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고감도의 정량분석이 가능하게 했다. 이 측정방법은 다른 측정방법에 비해 표면 감도가 매우 우수하여 단위면적당(mm2) 수십 펨토몰(fmol) 수준의 생체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해상력이 뛰어나 표면 생체물질의 질량분포를 이미징을 통해 손쉽게 스크리닝 할 수 있다. 칩 표면에 서로 다른 기질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金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키나아제 이외에도 포스포타제 (phosphotase), 프로티아제 (protease), 아세틸라아제 (acetylase), 메틸전이효소 (methyltransferase) 등을 포함한 단백질 수식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단백질 활성 저해제 (inhibitor)를 손쉽게 탐색할 수 있어 신약개발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미국특허 출원 중이며 국내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 용어 설명 >비 표지방식 (label-free method) : 단백질 존재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표지물질로서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하는 항체에 흡광물질, 형광물질, 화학발광체 등의 표지자를 부착시킨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비 표지방식은 이와 같은 표지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 번역 후 수식과정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합성된 단백질에 "기능"을 부여하는 과정이다. 즉, 세포 내에서 단백질이 합성 (번역과정이라고 함)된 이후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 부위에 인산기, 아세트산기, 메틸기, 혹은 탄수화물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기가 수식화 되는데 이는 단백질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이 과정은 생체 내에 있는 다양한 효소에 의해 수행된다.
키나아제(kinase) : 다양한 단백질에 인산기를 붙여주는 효소로서 인체 내에는 약 500 종류 이상의 키나아제가 존재한다.
펨토몰 (fmol) : 1몰 (6.02x1023에 해당되는 분자수)의 10‒15에 해당되는 크기
2007.08.02
조회수 19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