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S 2022-23 아시아대학평가 종합 8위 · 국내 1위
우리 대학이 최근 발표된 QS 2022-23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국내 1위, 아시아 8위를 차지했다. QS 2022-23 아시아 순위는 지난해 14위에서 여섯 계단 뛰어오르며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톱 10에 포함됐다. 평가 대상에 오른 국내 대학 89개 중 87%의 순위가 그대로이거나 하락한 상황에서 돋보인 성과다.
11개의 평가지표 중 ▴학계 평판도 ▴졸업생 평판도 ▴국제 공동연구 협력 현황 ▴외국인 학생 비율 ▴파견 교환 학생 수 등 5개 지표의 점수가 전년 대비 상승했다. 특히, 각 대학의 최근 5년간 논문실적을 분석해 국제 공동연구 협력 현황을 평가하는 항목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우리 대학은 현재 503개 협정을 바탕으로 전 세계 65개국 290개 기관 및 대학과 학생교환 및 연구 협력 등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최근, 국제공동연구를 전략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시행해 MIT, UC 버클리, 스위스 로잔공대(EPFL) 등 해외 유수 대학들과 활발하게 협력하고 있다.
QS 아시아 대학 1위는 중국의 베이징대가 차지했으며, 싱가포르 국립대·칭화대·홍콩대·난양공대가 뒤를 이었다. 국내 대학은 우리 대학에 이어 연세대(12위)·고려대(15위)·서울대(17위)·성균관대(18위)가 아시아 톱 2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이광형 총장은 "아시아 상위 10위권 순위 안에 한국 대학의 이름이 올라온 것이 3년만이다"라며, "학내 구성원은 물론 졸업생들까지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해준 덕분에 우리 대학이 국내 최고의 대학이자 아시아에서도 손꼽히는 대학으로 이름을 올리게 되어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장은 "세계 상위 10위권에 드는 대학이 되는 것도 우리가 꿈을 꾸면 해낼 수 있는 일이라고 믿는다"라며, "우리 구성원들이 더 큰 꿈의 크기를 가지고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연구·국제화 등 각 분야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달 발표된 2022-23 THE 학문 분야별 대학평가(Subject Rankings)에서도 공학 분야(7년 연속), 전산학(4년 연속), 물리 분야(2년 연속) 국내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상경 분야는 국내 3위, 인문학 분야는 국내 2위를 기록했다.
2022.11.15
조회수 2025
-
QS, 2018 세계대학평가 순위 발표.. KAIST 40위 달성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7일 새벽 발표한 2018 세계대학평가 순위에서 우리 대학이 40위를 기록했다.
우리 대학은 2017년도 기록한 41위보다 한 단계 상승했으며 이는 서울대(36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이다. 특히 교원당 논문 피인용 수만 봤을 때 16위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이번 세계대학평가에선 전반적으로 과학·기술 분야에 강한 대학들이 좋은 성적을 거뒀다. 상위 10개 대학 중 MIT(1위), 캘텍(4위), ETH취리히(7위), 임피리얼칼리지(8위) 등 4곳이 과학 분야 특화 대학이다. 마틴 인스(Martin Ince) QS 자문위원장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과학 기술에 강한 대학이 평가 순위에서도 유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신기술 연구를 많이 하는 공과 대학이 연구의 질(質)을 나타내는 '교원당 논문 피(被)인용 수' 부문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박오옥 부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학 기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지만 사회가 갈수록 복잡해지기 때문에 한 분야를 연구해선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면서 "앞으론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하는 대학들이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8.06.07
조회수 6768
-
QS 2017 아시아 대학평가 4위 올라
우리대학이 조선일보가 10월 17일 발표한 '조선일보-QS 2017 아시아 대학평가' 조사결과 국내대학 가운데 가장 순위가 높은 4위에 올랐다. 2016년에는 6위를 차지했는데 올해는 전년보다 2단계 상승한 4위를 차지한 것이다.
상위 20위에 속한 국내 6개 대학 가운데 작년보다 순위가 오른대학은 우리대학과 성균관대 등 단 두개 대학뿐이다. 아시아 대학 순위1위는 싱가포르 난양대가, 그리고 2위는 싱가포그국립대가 각각 차지했다.
관련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7/2017101700290.html
2017.10.17
조회수 5184
-
2017 QS 세계대학평가, 20위 內 6개 학문분야 진입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8일 발표한 ‘2017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13위), 생명화학공학과(15위), 건설및환경공학과(15위), 기계항공공학부(15위), 전기및전자공학부(17위), 화학과(18위) 등 6개 학문분야가 세계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세계 20위내 학문분야는 작년 4개 분야에서 올해 6개 분야(재료과학, 화학공학, 토목•구조공학, 기계•항공공학, 전기•전자 공학, 화학)로 늘어났다.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13위), 생명화학공학과(15위), 건설및환경공학과(15위), 기계항공공학부(15위), 전기및전자공학부(17위), 화학과(18위), 전산학부(33위) 등 7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했다.
이 외에도 물리•천문 분야 44위(국내 2위), 수리과학분야 47위(국내 2위)를 차지했다.
QS는 올해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46개 전공분야, Top100위(학문분야에 따라 Top 500위)까지의 랭킹을 발표했다. 평가지표는 ① 학계 평가 ② 졸업생 평판 ③ 논문 피인용수 ④ 연구성과지표(H-index)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2017.03.09
조회수 10919
-
2015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화학공학 17위, 재료과학 19위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가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29일 발표한 ‘2015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 따르면 생명화학공학과와 신소재공학과가 각각 17위와 19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각각 16위와 17위를 차지한 바 있다.
올해 학과별 순위에서 KAIST는 화학공학(17위), 신소재공학(19위), 건설및환경공학(22위), 전기및전자공학(22위), 기계•항공공학(26위), 전산학(39위) 등 6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했다.
QS는 올해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36개 전공분야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겼다. ① 학계 평가 ② 졸업생 평판도 ③ 교수당 논문 피 인용수, ④ H-인데스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끝.
2015.04.29
조회수 15443
-
산업디자인학과 홈페이지, 제10회 QS-APPLE서 금상 받아
우리 학교 산업디자인학과 홈페이지가 지난 11~13일 대만 타이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10회 QS-APPLE(Asia Pacific Professional Leaders in Education, QS 아시아·태평양 교육지도자회의)에서 창의상 분야 베스트 홈페이지(Best International Website Pages) 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KAIST 산업디자인학과 홈페이지는 익스플로러, 크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브라우저 등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 맞추어 표현되는 반응형으로 제작됐다. 또 세계 공용어인 영어를 기본으로 하면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해외 방문자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서비스하는 점에 대한 가치를 높이 인정받았다.
KAIST외에도 아시아 태평양지역 39개 대학이 지원한 홈페이지 분야에서 은상은 싱가포르 난양공대(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동상은 홍콩 뱁티스트대학(Hong Kong Baptist University)이 각각 차지했다.
산업디자인학과 정경원 교수는 “학과 홈페이지를 글로벌 관점에서 디자인하고 전 세계 공용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KAIST가 세계적 명문대학으로써 성장과 발전을 위해 세세한 부분까지 선도하고 있다”며 “이번 상을 계기로 KAIST의 국제적인 위상을 크게 높였다”고 수상 의의를 밝혔다.
이번 심사는 공정성과 객관성을 기하기 위해 UAE대학교(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에 외부 심사를 의뢰했는데 KAIST 산업디자인학과 홈페이지가 모든 항목에서 최고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QS-APPLE 창의상은 매년 홈페이지(Website Pages), 비디오(Video), 출판물(Print Advertisement), 국제학생 모집책자(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Brochure) 등 4개 분야에서 우수 대학을 선정해 상을 주고 있다.
2014.11.13
조회수 8196
-
QS 세계대학평가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역대 최고순위
KAIST가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로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는 16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이 같은 내용의 ‘2014 QS 세계대학평가’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미국 MIT가 차지했으며 공동2위 케임브리지대(영)와 임페리얼 칼리지(영), 4위 하버드대(미), 공동5위 옥스퍼드대(영)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31위, KAIST 51위, 포스텍 86위, 연세대 106위, 고려대 116위, 성균관대 140위 등 6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QS 세계대학평가는 ▲학계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20%) ▲교수 1인당 학생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 ▲외국인 교수비율(5%) 등 6개 지표로 평가됐다.
평가지표 중 ‘학계평가’, ‘졸업생 평판도’,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등에서 대폭 상승하여 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이와 함께 공학기술 분야는 세계대학평가가 시작된 2004년부터 굳건히 국내 1위를 지키면서 올해 역대 최고 순위인 17위로 평가됐다.
강성모 총장은 “교수와 학생 등 구성원 모두의 도전과 열정 덕분에 KAIST가 좋은 결과를 냈다”며 “앞으로도 KAIST가 해외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캠퍼스의 국제화 등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 ‘2014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종합 2위, ‘2014 QS 학문분야별 평가’에서 재료과학 16위(국내 1위), 기계항공 21위(국내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끝.
2014.09.16
조회수 9851
-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서 2위 도약 --- 한국대학이 거둔 성적 중 가장 높은 순위
우리 대학이 ‘2014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지난해 6위에서 4단계 상승한 2위에 올랐다.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 전문기관 QS(QuacQuarelli Symonds)와 조선일보는 이같은 내용의 ‘2014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는 2009년 이 평가를 처음 실시한 이후 한국 대학이 거둔 성적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다.
KAIST는 평가 첫 해인 2009년 7위를 기록한 뒤, 2012년 7위, 2013년 6위를 차지해 꾸준히 10위권을 유지해 왔으나 올 해 대폭적인 순위 상승이 이뤄졌다.
특히 교원당 논문 수와 논문당 피 인용수의 점수가 대폭 상승해 순위상승을 이끌었다고 KAIST는 밝혔다.
강성모 총장은 “최근 몇 년간 젊은 교수들을 대폭 충원했는데 그 자극이 성과로 이어져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KAIST는 앞으로도 세계 톱 10을 향해 끝임 없이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 QS 아시아 대학평가’는 아시아 고등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대학 평가로, 올해 6년째를 맞았으며 17개국 491개 대학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평가요소는 △학계평가 30% △교원당 논문 수 15% △논문당 피 인용수 15% △교원당 학생수 20% △졸업생 평판도 10% △국제화 10% 등 6개 분야로 구성됐다. 끝.
2014.05.12
조회수 11709
-
신소재공학과 ‧ 화학과, QS 세계대학평가 20위 內 진입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QS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서 20위 이내로 진입했다.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25일 발표한 ‘2014 세계대학평가 학과별 순위’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와 화학과가 각각 16위와 17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는 기계‧항공공학 분야와 화학공학 분야 각각 19위와 20위를 차지했었다.
이번 순위발표에서 KAIST는 신소재공학(16위), 기계‧항공공학(21위), 토목공학(32위), 컴퓨터공학‧정보시스템(36위), 생물과학(46위)등 5개 분야가 국내 1위를 차지해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QS는 전 세계 대학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기는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으로, 지난 2004년부터 세계대학평가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학문 분야별 평가’에서는 30개 분야별로 대학순위를 매겼다. ①학계평가 ②졸업생 평판도 ③ 교수 당 논문 인용 수 ④ H 인데스 등의 지표가 활용됐다. 끝.
2014.02.27
조회수 18966
-
英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연구·교육 협력 강화
- 11월 6일 임페리얼칼리지런던대에서 협력강화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
KAIST가 QS 세계대학평가 5위 대학인 영국‘임페리얼 칼리지 런던’과 손잡고 연구 및 교육 분야 협력을 강화한다.
우리 대학은 지난 11월 6일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이하 ICL ‧Imperial College London)대학 가든룸에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강성모 총장 ‧ 제임스 스털링(James Stirling) 교학부총장 등 양 대학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ICL과‘교육과 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 대학은 현재 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는‘플라스틱 전자공학’과‘생명화학’분야 연구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향후 합성생물학 ‧ 대사공학 ‧양자물리학 ‧ 빅데이터 등의 분야에서도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협약식에 앞서 양 대학은 연구성과를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는데, KAIST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와‘미생물을 이용한 가솔린 생산 원천기술’을, ICL은‘투명망토’등을 각각 소개했다.
협약식에 참석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축하 인사말에서“두 나라의 대표적인 연구대학이 학교차원의 공동연구와 함께 인적교류에도 적극 나서 활발한 협력을 보여줄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강성모 총장은“이번 협약은 기존의 학과차원의 소규모 협력을 넘어 첨단연구 분야에서 전반적인 협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은 영국의 MIT로 불리며 과학과 공학 ‧ 경영학 ‧ 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현재까지 총 14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2013년‘QS 세계대학평가’5위, ‘THE 세계대학평가’10위를 기록했다. 끝.
2013.11.11
조회수 11265
-
QS 세계대학평가 60위…역대 최고성적
KAIST가 ‘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10일 자사 홈페이지에 발표한‘2013 세계대학평가’에서 KAIST가 60위를 기록했다.
KAIST는 지난 2006년 198위를 시작으로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63위를 기록했다. 1위는 미국 MIT가 차지했으며 2위 하버드대(미), 3위 캐임브리지대(영), 4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영), 5위 임페리얼 칼리지(영)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대학 중에선 서울대가 35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KAIST 60위, 포스텍 107위, 연세대 114위, 고려대 145위, 성균관대 162위 등 6개 대학이 20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QS 세계대학평가는 ▲학계평가(40%)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20%) ▲교수 1인당 학생 수(20%) ▲졸업생 평판도(10%) ▲외국인 학생비율(5%)▲외국인 교수비율(5%) 등 6개 지표로 평가됐다.
평가지표 중‘졸업생 평판도’와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수’가 각각 전년대비 10점 이상 상승해 순위를 이끌었다.
강성모 총장은 “교수와 학생 등 구성원 모두의 도전과 열정 덕분에 KAIST가 좋은 결과를 냈다”며“향후에도 구성원들이 교육과 연구에 더욱 매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KAIST는‘2013 QS․조선일보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종합 6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끝.
2013.09.10
조회수 9310
-
KAIST, 아시아 대학평가 순위 6위 [조선일보 & QS]
- 2009년 평가 시행 이후 최고 성적 -
우리 대학이 ‘2013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종합 6위를 기록했다.
이번 결과는 2009년 평가를 시작한 이후 최고의 성적으로, 학계평가와 교원당 학생 수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지난해 7위에서 올해 6위로 1단계 상승했다.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는 아시아 고등교육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평가로 올해 5년째를 맞았으며 16개국 457개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평가요소는 △학계평가 30% △교원당 논문수 15% △논문당 피인용수 15% △졸업생 평판도10% △교원당 학생수 20% △국제화 10% 등 9개 분야로 구성됐다.끝.
2013.06.06
조회수 12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