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석태 교수, 제24대 대한환경공학회 회장 선출
우리 대학 건설및환경공학과 강석태 교수가 지난달 21일 제24대 대한환경공학회(KSE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회장에 선출됐다.
1978년 설립된 대한환경공학회는 회원수가 11,000여 명에 이르는 국내 최대의 환경관련 학술단체로, 환경공학 분야의 기술 개발, 정책 제안, 산업 활성화, 국제교류 및 교육 등을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신임회장에 선출된 강석태 교수는 우리 대학 건설 및 환경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친 후, 미국 예일대 환경공학과 박사 후 연구원, 캐나다 앨버타대 건설 및 환경공학과 조교수, 경희대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부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우리 대학건설 및 환경공학과에 부임했다.
강 교수는 "학회 역사상 두 번째로 젊은 회장을 맡게 된 만큼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으로 점차 복잡해져 가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젊은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환경공학 기술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는 학회로 거듭나는데 일조하는 회장이 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강석태 교수의 임기는 2024년 1월 1일부터 2년이다.
2023.10.05
조회수 961
-
김성용 교수,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 관측의장 선출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인공지능연구소 김성용 교수가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의 해양관측위원회(MONITOR) 의장으로 선출됐다.
1992년 설립된 북태평양 해양과학기구는 북태평양의 6개 국가(대한민국, 러시아,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 정부 간 해양과학 조직으로, 태평양 수역에 대한 조사 활동 및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연구 결과를 교환하고 논의한다. 캐나다에 본부를 두고 7개의 산하 해양과학 및 해양기술 위원회로 구성된다.
모니터링과 관련된 해양 관측 위원회의 의장으로 선출됐으며, 과학평의회(Science Board)에 당연직으로 참가한다.
임기는 2019년 11월부터 3년간이며 추가로 3년 연임할 수 있다.
(관련 정보 : https://meetings.pices.int/members/committees/MONITOR )
또한, 김 교수는 2019년 12월 18일부터 2년간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수산과학기술위원회 학계 민간위원으로 참가한다. 김 교수는 국내 해양학자 중 학문적 수월성과 전문성 및 국내외 선도적인 리더십을 인정받아 다수의 추천을 통해 해양수산과학기술위원회 학계 민간위원으로 선임됐다.
김 교수는 “국내외 해양 관련 리더십에 초청받아 한국 해양학계의 저변을 넓히며 더 나아가 한국이 해양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큰 힘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2019.12.18
조회수 5758
-
이인 교수, 미국항공우주학회 이사에 선출
우리 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이인 교수가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미국항공우주학회(AIAA :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이사(Director)로 최근 선출됐다. 임기는 2014년 5월까지 3년이다.
현재, 100여개국 31,000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이 학회는 1930년 창립된 항공우주분야 최대학회다. 이사회(Board of Director)는 항공우주분야에서 가장 활동적인 인사 약 3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수는 미국항공우주학회(AIAA)와 영국항공학회 (Royal Aeronautical Society) 의 석학회원(Fellow)이며, 중국 항공우주분야 최고대학 중 하나인 난징항공항천대학(NUAA) 영예교수(Honorary Professor)이다.
2011.06.13
조회수 8799
-
성풍현 교수, 미국원자력학회 인간요소분과 회장에 선출
KAIST(총장 로버트 러플린)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성풍현(成豊鉉, 50)교수가 최근 미국 리노에서 개최된 미국원자력학회 연차대회에서 미국원자력학회(The American Nuclear Society) 인간요소분과(Human Factor Division) 회장(임기 1년)에 선출됐다.
미국원자력학회는 1954년 원자력 관련분야 전문가들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국제 과학 및 교육단체이다. 인간요소분과는 미국원자력학회 18개 분과 중 하나로 전 세계 원자력분야 전문가 550여명이 회원으로 있다.
이 분과는 원자력 시스템에서 인간과 관련된 분야를 전담한다. 특히, 원자력 시스템의 계측 제어 계통 설계 분석과 주 제어실 인간 운전원의 작업 행태, 과실 등에 관련된 부분이 주 연구 분야다.
成 교수는 이 분야에서 뛰어난 학술연구업적과 활발한 국제 활동을 바탕으로 회장에 선출됐다.
2006.06.16
조회수 12752
-
조남진 교수, 한국원자력학회 차기 회장에 선출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조남진(趙南振, 57)교수가 한국원자력학회 수석부회장 겸 차기회장(임기 1년)에 선출됐다. 한국원자력학회는 1969년에 창립된 원자력계 국내 최대 학술단체다.
趙 교수는 한국원자력학회 편집이사(1989년~1997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초대 원자력전문위원(1996년~1999년) 등을 역임했으며, 2003년부터는 우리나라 원자력분야 최고의결기구인 원자력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趙 교수는 원자력분야 세계최고권위 학술지인 뉴클리어사이언스엔드 엔지니어링(Nuclear Science and Engineering)의 부편집인(Associate Editor)을 맡고 있으며, 2001년에는 미국원자력학회 최고 영예 등급인 펠로(Fellow)에 선정된 바 있다.
2006.06.07
조회수 14593
-
대덕클럽 회장에 신성철 회장 재선출
대덕클럽은 1월 31일 월요일 저녁 대덕컨벤션타운 3층에서 신년교례회 및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대덕클럽 현 회장인 신성철(申成澈, 53) KAIST 부총장을 제 5대 대덕클럽 회장으로 재선출했다. 申 회장의 임기는 3년이다.
申 회장은 "대덕클럽은 대덕연구단지의 오피니언 리더로서 앞으로는 국제적 링크를 가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또한 "과학기술계의 오피니언 리더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우수 청소년들이 이공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과학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회원 146명의 "대덕클럽"은 대덕연구단지 중견 원로과학자들의 모임이다. 1995년 출범, 1대 최순달박사(전 체신부장관), 2, 3대 한필순 박사(전 원자력연구소장)가 회장을 역임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 제안 및 대덕연구단지 활성화의 싱크탱크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신성철 KAIST 부총장은 지난 2002년 1월에 열린 대덕클럽 정기총회에서 임기 3년의 제 4대 회장으로 선출된 바 있다.
2005.02.02
조회수 15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