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B%AC%B4%EC%82%AC%EA%B3%A0
최신순
조회순
제3회 연구실험 안전의 날 기념식 개최
우리 대학은 대학원총학생회와 공동으로 13일(금) 오후 2시 본교 KI빌딩 퓨전홀에서 ‘제3회 KAIST 연구실험 안전의 날’기념식을 연다. 교내 실험실 안전에 관한 우수 사례를 발굴해 그 성과를 전파하고 구성원들에게 안전 환경 및 안전문화 확산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올해로 3회 째를 맞이하는 이번 행사에는 강성모 총장, 노영희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장, 조승희 대학원총학생회장, 대학원생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 안전관리 우수학과 시상 △ 표어 ․ 포스터 공모전 시상 △ 안전 전문가 초청강연 △ 학생 동아리 공연 등 다채롭게 구성됐다. 교육 참여도와 안전 점검 결과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안전관리 최우수 학과에는 신소재공학과가 선정됐다. 학과 연구원 중 90% 이상이 안전교육에 참여하고 실험실 안전점검 결과의 조치 이행사항이 우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표어와 포스터의 공모전 시상식도 열린다. 실험실 안전 부문의 최우수 작품으로는 물리학과 대학원생 장병권 씨가 제안한 ‘안전이 비운자리 위험이 채웁니다(표어)’와 EEWS 대학원생 안재호 씨가 제안한 ‘이제 버려할 할 것은 버리자! 안전하게!(포스터)’가 각각 선정됐다. 교통안전 부문의 최우수 작품은 화학과 4학년 정영욱 씨가 제안한 ‘번호판 없는 오토바이, 책임감 없는 우리사이(표어)’와 신소재공학과 대학원생 정기민 씨가 제안한 ‘오토바이 헬멧 착용 프로젝트, 귀찮으십니까?(포스터)’가 각각 선정됐다. 실험실 안전문화 인식변화를 위한 전문가 특강도 열린다. 한국안전문화진흥원 윤석준 박사가 ‘우리 학교 연구․실험실은 과연 안전한가’를 주제로 안전하고 쾌적한 연구실 문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관한 방법을 소개한다. 이밖에 KAIST 연극동아리 ‘이박터’의‘공동연구’연극공연과 교내 댄스 동아리‘루나틱’의 댄스공연도 열린다. KAIST는 쾌적하고 안전한 연구실 구축을 위해 연구실 정밀안전점검 ․ 사전 안전교육 등 예방안전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실험실 안전점검 점문기관이 480여 곳의 연구실을 돌며 가스, 화학약품, 소방, 전기 등 8개 분야에 대해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 한 바 있다. 이와는 별도로 교내 안전관리자들이 870여 개 실험실을 돌며 정기점검도 실시했다. 화학약품, 가스, 바이오, 방사선 등을 다루는 연구자들은 반기별로 6시간 이상 정기교육을 받아야 하며 위험요인이 있는 연구 활동 중에는 반드시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도록 교육받고 있다. 강성모 총장은 “실험의 시작은 안전의식을 먼저 갖추는 것”라며 “실험실 무사고의 해로 만들기 위해 안전 캠페인을 수시로 진행하고 실험실 안전교육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끝.
2016.05.13
조회수 7616
제1회 KAIST 연구·실험 안전의 날 행사 개최
우리 학교는 13일 오후 3시 교내 KI빌딩 1층 퓨전홀에서 강성모 총장, 박규호 교학부총장, 이재남 행정처장을 비롯한 교내 주요 보직자들과 미래창조과학부 연구환경안전팀장 등 약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KAIST 연구·실험 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를 KAIST 연구·실험실 무사고 원년의 해로 선포했다. 또 안전하고 쾌적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유공자를 시상했다. 연구실 안전관리 부문 최우수학과로는 건설및환경공학과가 선정됐으며 우수학과로는 기계공학전공이 뽑혔다. 유공자 시상과 더불어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됐던 ‘제7회 연구·실험실 안전문화 캠페인 공모전’의 최우수 표어로는 기계공학전공 배종수 석사과정 학생의 ‘데이트 할 땐 Lady First! 실험할 땐 Safety First!’, 최우수 포스터는 건설및환경공학과 노현채 학생의 작품이 각각 선정됐다. 강성모 총장은 “KAIST는 종합적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안전한 연구실험 환경 조성을 위해 부단히 힘쓰고 있다”며 “학교와 구성원의 안전을 위해 가능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안전의 날 행사는 지난 2003년 5월 13일 KAIST 내 풍동실험실 폭발사고의 기억을 되새기며 유사사고 재발을 방지하고 안전의식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마련됐다. □ 연구 실험실 안전문화 공모전 포스터부문 최우수상 수장작 ○ 작품 소개 실험실 내 장갑은 위험물질이 손에 닿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막이다. 위험한 장비를 다룰 때에도 손을 보호해주고, 장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장갑을 끼지 않으면 손을 다칠 위험이 있다. 장갑을 끼지 않으면 손을 다치게 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장갑과 붕대를 대조했다.
2014.05.13
조회수 9646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