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미주 임시 총동문회장 정봉준 박사 당선
우리 대학 미주 총동문회가 지난 4월 임시 미주 총동문회장으로 정봉준(전기전자공학부 박사 93 입학) 암백스 벤처 그룹 수석 기술분석가를 선임했다.
정봉준 박사는 암백스 벤처 그룹(AMBEX VENTURE GROUP) 수석 기술분석가·파트너 (Senior Technology Analyst, Partner)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 우리 대학 실리콘밸리 동문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이번 선거는 지난해 12월 열린 온라인 미주 총동문회에서 공지되었으며, 미주지역에 거주 중인 우리 대학 동문을 대상으로 올해 4월 13일(월)부터 2주간 투표가 진행돼 실제 투표자 50명이 전원 찬성해 당선됐다.
정봉준 박사는 "우리 대학 미주 임시 총동문회장으로서 미주 지역 동문과의 연결을 강화하고 총동문회를 설립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총동문회장 선임은 국제협력처 글로벌전략사업추진단(단장 임만성)이 미주 임시 회장 추대위원회(미주발전재단 이사 김제우, 김태영, 실리콘밸리 동문회장 임명진)로부터 선거 진행 및 운영 권한을 위임받아 진행됐다. 임시회장 선출 후 6개월 동안 임시 집행부를 구성해 기반을 다지고 정식 총동문회 집행부를 구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임만성 국제협력처장은 "당선된 정봉준 박사에게 축하의 말을 전하며, 앞으로 동문 중심으로 이끌어 나갈 KAIST 미주 임시 총동문회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KAIST 미주 임시 총동문회장 선거는 모교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각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미주 동문회를 포함해 미주 전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시작점을 연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4.07.08
조회수 2379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KAIST 학생과의 간담회 개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9일 우리 대학 구성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나노종합기술원 로비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는 이광형 총장과 공경철 기계공학과 교수와 8인의 대학원 학생(신동윤 항공우주공학과 석사과정, 박진우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이동헌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김보겸 전기및전자공학부 석박통합과정, 김광민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과정, 박혜린 전산학부 석사과정, 김효이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박사과정, 조재완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박사과정)들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윤 당선인의 경청 속에서 항공우주, 반도체, 원자력 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 전반에 걸친 현안들을 자유롭게 질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2022.04.29
조회수 10456
-
[당선소감] 홍창선 제17대 국회의원 당선자
박희범기자 / 전자신문 2004년 4월 19일
“과학기술 정책개발과 연구개발 환경개선에 앞장서는 ‘과학기술 전도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각오입니다.”
이번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2번으로 정계 진출에 성공한 홍창선 전 KAIST 총장(61). 홍당선자는 “과학기술계의 목소리를 가까이서 듣고 국회에 전달하는 일에 적극 나설 것”이라는 말로 정치 초년생의 변을 대신했다.
“개인적으로 국회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환경이기 때문에 과학기술자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
우리나라 정당사상 과학기술자가 전국구나 비례대표 2번을 받은 전례가 단 한번도 없었다는 점을 강조한 그는 “국회도 과학기술 중심사고가 통하는 분위기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이공계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자간 많은 토론이 있어 왔던 것은 사실이지만 결국은 정치권 인식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홍 당선자는 자신을 과학기술 분야를 대표하는 ‘직능대표’로 본다며 “이공계 교육과 연구개발 현장의 목소리를 정치권에 생생하게 전달하겠다”고 정치적 포부를 피력했다.
지난 3년간 KAIST 총장을 맡아 이공계 교육과 교육환경 개선에 몰두해 온 홍 당선자는 지금으로부터 25년전인 지난 79년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귀국과 함께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그의 귀국은 당시 정부가 적극 추진한 ‘유치과학자’ 프로그램의 일환. 홍 당선자의 주변에서는 그가 평생을 과학기술교육과 연구생활에 정진해온 만큼 정계에서도 전형적인 이공계 전도사로 불리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 출신으로 67년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71년 연세대 공학석사, 77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응용역학 전공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04.22
조회수 21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