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A%B2%BD%EC%98%81%EB%8C%80%ED%95%99
최신순
조회순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고동환 교수, 경영공학부 한인구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신임 회원으로 선출
우리 대학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고동환 교수와 경영공학부 한인구 명예교수가 대한민국학술원 신임 회원으로 선출됐다. 학술원 회원은 학문 분야별 대표 학술 단체로부터 회원 후보자를 복수로 추천받아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인문사회과학부 75명, 자연과학부 75명 정원 150명으로 구성되며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평생회원 자격을 갖고 국가로부터 연구에 관한 지원을 받게 된다. 고동환 교수는 역사학자로서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 조선시대 서울도시사, 한국전근대교통사 등 불모지였던 조선시대 상업과 도시, 교통사를 개척했다. 한인구 명예교수는 정보기술을 경영에 응용하는 융합연구를 하고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을 신용 분석에 적용해 지능형 신용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 학술원은 21일 서울 서초구 본원에서 신임 회원에게 회원 증서를 수여할 예정이다.
2023.07.18
조회수 718
KAIST 경영대학 박광우 교수, 혁신금융 부문 국무총리표창 수상
우리 대학 박광우 교수가 올해 제7회 금융의 날을 맞이하여 혁신금융 부문에서 국무총리표창을 받았다. 금융발전 유공자에게 수여되는 이번 상은 △혁신적 기술·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한 자 또는 단체 △금융산업의 발전 및 경쟁촉진에 기여한 자 또는 단체 △금융시장의 확고한 안정을 위해 기여한 자 또는 단체 △금융기관·금융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 자 또는 단체 항목으로 평가되어 수상자가 결정된다. 박광우 교수는 2005년 3월 우리 학교에 부임하여 정부의 금융중심지 추진 정책의 하나로 2006년 2월 개원한 금융전문대학원의 설립 준비 작업을 하였으며 초대 학과장(전공책임교수)으로 봉사했고, 2018년 4월부터 2022년 2월까지는 금융전문대학원 원장을 역임하며 디지털 금융혁신을 선도할 금융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하였다. 또한 정부의 녹색성장정책에 따라 2010년 9월 우리 학교에 개설된 녹색금융 특화MBA 과정의 책임교수로, 국내 교육기관 중 선도적으로 ESG 교과과정을 개발하였고 이후 녹생성장대학원 원장으로 지속가능발전과 녹색경영 및 녹색금융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에도 노력하였다. 2020년 9월부터는 금융위원회와 서울시에서 주관하는 디지털금융 전문인력 양성과정 사업책임자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금융-IT 융복합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이바지했으며, 2021년 3월부터는 국내 금융분야 최대 학회인 한국증권학회 제38대 회장을 역임하며 다수의 정책심포지엄 개최 등 왕성한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금융정책 수립과 자본시장발전을 위한 정책개발에 힘썼다. 박광우 교수는 17년 2개월 공적 기간 동안 △금융혁신을 선도하는 디지털금융 전문인력 양성 △개발도상국 금융핵심인력 양성 △녹색금융 및 ESG 전문가 양성 △산학관협력과 학문적 리더십 발휘를 통해 금융정책 수립에 기여하였다. 이번 혁신금융 부문 국무총리표창 수상 이외에도 박교수는 2007년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표창, 2016년엔 금융위원장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금융의 날’ 기념식에서 진행되는 이번 시상은 10월 25일(화) 오전 10시 30분에 서울 여의도63컨벤션에서 진행되었다.
2022.10.26
조회수 1566
경영대학, AACSB(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4회 연속 인증 획득
우리 대학 경영대학(학장 김영배)이 지난 28일 AACSB(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The 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로부터‘경영학교육 국제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AACSB 인증은 5년마다 재인증 절차를 거치며 KAIST 경영대학은 지난 2003년 첫 인증을 받았다. 이후, 2008년과 2014년에 이어 올해까지 4회 연속 AACSB 인증을 획득했다. KAIST 경영대학 관계자는 “전 세계 1만 6천여 개 이상의 경영대학 중 약 5%만이 AACSB 인증을 통과한다”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영대학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하게 다졌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KAIST 경영대학은 이번 AACSB 재인증 심사에서 △경쟁력 있는 교수진의 수준 높은 연구 활동 △탄탄한 산학 연계를 기반으로 영국 FT 랭킹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 중인 최고경영자과정 △시대를 앞서 가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사회적기업가 MBA 및 녹색경영정책 석사과정 프로그램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AACSB는 세계적인 경영교육 프로그램 인증기관으로 1916년 미국의 하버드大와 스탠포드大, 컬럼비아大 등 명문대학 경영대학장들이 미국 내 경영학 및 회계학 교육기관을 인증하려는 목적으로 탄생했다. 학생들의 입시 및 졸업 요건, 전임교원비율 및 교원들의 지적기여도(Intellectual Contribution), 연구 인프라 및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그램 등 총 15가지 국제 기준에 따라 각 학교를 평가 및 심사하고 있으며, 5년마다 국제 경영대학발전협의회가 제시하는 조건을 충족하고 지적 사항에 대해 개선을 약속해야만 재인증을 받을 수 있다. AACSB 인증심사단 중 한 명인 메릴랜드大(University of Maryland) 알렉산더 트리안티스(Alexander Triantis) 경영대학장은 “KAIST 경영대학 박사과정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KAIST 경영대학 박사과정 졸업생들 가운데 해외 유수 대학으로의 교수 임용 사례가 늘고 있는 점은 KAIST 경영대학의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김영배 경영대학장은 “올 AACSB 인증 획득은 2003년부터 4회 연속으로 받은 것”이라면서 “KAIST 경영대학은 2031년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경영대학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KAIST 경영대학은 유럽경영대학협의회(EFMD)의 EQUIS 인증을 2010년부터 3회 연속으로 받았을 뿐만 아니라, 2013년 국내 MBA 최초로 세계 경영교육 연합인 PIM(Partnership in International Management) 가입을 승인받아 국내 최고의 경영대학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PIM은 AACSB 및 EQUIS 등 국제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만 가입대상이 될 수 있으며 회원 학교들의 투표를 거친 후 후보 학교로 이름을 올릴 수 있고, 이후 1년간 엄격한 심사를 거쳐 최종 가입이 승인되는데 올 1월 현재 KAIST 경영대학을 포함해 전 세계 65개 명문 경영대학원이 가입돼 있다.
2019.01.29
조회수 4694
경영대학, 창업어워드 및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 발표
〈 창업어워드 KAIST 홍릉 2017 수상자 〉 경영대학이 ‘창업어워드 KAIST 홍릉 2017(이하 창업어워드)’ 수상자를 발표했다. 더불어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도 발표, 국가경제 원동력인 에너지 및 IT산업 외에 금융, 유통, 교육분야 등 다방면의 수상자를 선정했다. 창업어워드는 창업문화 조성 및 가치창출을 위해 경영대학 동문회 주관으로 올해 처음 진행됐다. 총 36개 팀이 접수했으며 서류 및 발표 심사를 거쳐 최종 수상 5개팀을 선정했다. 대상은 ㈜프로메테우스에게 돌아갔다. ㈜프로메테우스(대표 배강민)는 소형 수력 발전기를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수력 자원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솔루션을 제시했다. 국내외 소형 수력 발전 시스템 제공 및 자체 시스템 설비 운영을 통한 전기 판매가 사업목표이다. 우수상은 Size Advisor(팀 대표 유재원) 팀이 차지했다. 이 사업은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적합한 사이즈의 의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실측 사이즈 비교 솔루션이다. 장려상에는 자가 성병 검사를 할 수 있는 ‘패치형 성병 진단 키트’(팀 대표 민남기), 뇌인지과학을 활용한 학생별 맞춤 학습 솔루션 ‘New Raw’(팀 대표 송재오), 딥러닝을 이용한 한글 폰트 제작 툴 ‘AnyFont’(팀 대표 조경제) 팀이 각각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대상 500만 원, 우수상 200만 원, 장려상 1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권재중 경영대학 총동문회장은 “동문회는 이번에 수상한 창업팀들에게 비즈니스 모델의 보완, 투자 유치, 영업 및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역할을 해줄 것”이라며 “앞으로 창업어워드는 질적, 양적으로 계속 성장하여 KAIST 창업 문화 조성 및 동문 유니콘 기업 탄생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영대학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 〉 경영대학은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로, 박기우 성균관대학교 교수(경영공학 박사), 서흥원 DSME정보시스템 대표이사(정보경영 석사), 윤주영 미래에셋자산운용 ETF 운용본부장(금융MBA 석사 및 경영공학 박사), 조성형 매일유업 부사장(EMBA 석사), 홍준기 경동나비엔 대표이사 사장(테크노MBA 석사)을 선정했다. 박기우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한국경영정보학회에서 다수의 논문상을 수상했고, IS 최고 권위의 저널인 MIS Quarterly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연구 분야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서흥원 DSME정보시스템 대표이사는 IoT 기반의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여 협력사와의 상생협력을 도모하는 등 사회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윤주영 미래에셋자산운용 상무는 2011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 운용본부장으로 임명된 후 현재까지 우수한 성과를 보이며 한국 금융산업 및 ETF 시장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조성형 매일유업 부사장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상생, 동반성장을 실현하였고, 수평적인 기업문화와 가족친화경영을 선도하는 등 기업문화 혁신과 함께 경영자 인력 양성에 기여한 공로로 ‘올해의 동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홍준기 경동나비엔 대표이사 사장은 정교화된 고객 중심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 신뢰도 향상에 뛰어난 성과를 보인 점을 크게 인정 받았다. 김영배 경영대학장은 “그간 KAIST 경영대학은 수많은 동문들을 배출했으며 동문들은 사회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그 분야의 리더로서 혁신적인 경영·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혁신을 위한 도전 정신의 뜻이 모아져 동문회 주관으로 창업어워드가 개최된 점은 실로 의미가 크다. 동문 주체의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2017.11.28
조회수 11146
경영대학, 와튼 리서치 데이터 서비스-SSRN 이노베이션 상 수상
〈 이인무 교수, Robert Zarazowski (WRDS), Gregg Gordon (SSRN), 이재규 교수 〉 우리 대학 경영대학이 지난 26일 열린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 AACSB) 컨퍼런스에서 ‘WRDS-SSRN 이노베이션 상’을 수상했다. WRDS-SSRN 이노베이션 상은 미국 명문 MBA인 와튼 스쿨(The Wharton School)의 데이터 분석 및 금융 연구 플랫폼 '와튼 리서치 데이터 서비스(WRDS)'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세계 최대의 출판사인 엘스비어(Elsevier)의 자회사로 사회과학분야 학술논문을 제공하는 연구 네트워크인 SSRN과의 협력으로 만들어졌다. 이 상은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뤄낸 경영대학에 수여하며 금융 및 회계를 포함한 광범위한 경영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제정됐다. 매년 북미, 유럽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별로 연구논문 실적 및 인용 횟수 등을 기준으로 연구의 혁신 및 우수성이 뛰어난 대학을 수상자로 선정한다. 올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KAIST 경영대학이 선정되었다. 경영대학 김영배 학장은 “KAIST 경영대학이 WRDS-SSRN 이노베이션 상을 수상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경영대학은 학문적 우수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연구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WRDS 및 SSRN로부터 이를 인정받은 것 같아 영광이다”며 소감을 밝혔다. 실제 경영대학은 사회적기업가 MBA나 녹색경영정책 석사과정 등 미래환경과 사회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WRDS의 로버트 자라쇼우스키 전무이사는 “KAIST 경영대학이 ‘WRDS-SSRN 이노베이션 상’을 수상하게 된 것은 대단한 일”이라며 “WRDS는 KAIST 경영대학이 비즈니스 교육의 성장 및 혁신을 선도하고 헌신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경영대학은 1995년 국내 최초 전일제 MBA 프로그램을 선보였으며 국내 최고의 이공계 연구대학인 KAIST의 특성을 살려 기술과 경영의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국내 경영대학 중에서 유일하게 4개 국제기관(AACSB, GMAC, EQUIS, PIM)으로부터 공인 받았다.
2017.11.02
조회수 9274
한민희 교수, 제22회 상남경영학자상 수상
우리 대학 경영공학부 한민희 교수가 한국경영학회가 수여하는 제22회 상남경영학자상을 수상한다. 시상식은 오는 23일(목)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있다. 한국경영학회는 한국의 경영학 발전과 경영학자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매년 1인의 경영학자를 선정해 상남경영학자상을 수여하고 있다. 한민희 교수는 박사 21명, 석사 203명을 배출했으며 국내외 경영분야 학술지에 51편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를 해왔으며 마케팅 거래를 통해 소비자의 행복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마케팅 패러다임, 소비자의 후회를 감소시키는 선택의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KAIST 경영대학장, 한국마케팅학회장, 한국소비자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한민희 교수는 현재 타이완의 국립 쑨-얏센(National Sun-Yatsen) 경영대학 전략 위원회 위원을 맡는 등 활발한 대내외 활동을 하고 있다. 한민희 교수는 “한국 경영학 발전에 힘쓰고 있는 많은 분들을 대신해서 받는 것으로 알고 더욱 정진 하겠다”며 “앞으로 후배들이 의미 있는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 하겠다”고 말했다.
2017.02.20
조회수 6121
KAIST-한국창의응용학회, ‘창의성 교육’ 주제로 학술대회
세계적으로 창의력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눈앞에 보이는 문제의 답을 잘 찾는 수동적‘문제해결 능력’보다 숨겨진‘문제의 발굴’이라는 높은 차원의 창의적 역량이 요구되는 시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KAIST가 창의성 교육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우리 대학과 한국창의응용학회(학회장 양동열 기계공학과 교수)는 공동으로 21일(목) 오전 서울에 있는 KAIST 경영대학에서‘한국창의응용학회 창립기념 학술대회 겸 코리아 트리즈 페스티벌 2016’을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김동석 KAIST경영대학장, 박귀찬 포스코 인재창조원장 등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을 연구하는 산․학․연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대회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인‘트리즈’ 활용과 함께 디자인적 사고, 창의성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트리즈(TRIZ)’는 구 소련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론이다. 주어진 문제에 대해 이상적인 결과를 정의하고, 그 결과를 얻는 데 모순을 찾아내어 해결안을 얻을 수 있도록 생각하는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론이다. 삼성, LG, POSCO, GE, 인텔 등 국내외 기업 및 대학에서 창의성 교육 및 문제해결 방법으로 널리 활용 중이다. 학술대회는 기조강연과 각 분야의 논문발표 및 포스터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먼저 김대식 KAIST 교수가 기조 강연자로 나와‘뇌과학과 창의성’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뇌과학의 프레임을 통해 세상과 사람을 들여다보는 흥미진진한 ‘머릿속 세상’의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이어 △ 산업계 사례로 삼성전자 이재민 연구원의 ‘냉장고 제빙기 개선을 위한 TRIZ 적용’ △ 대학의 사례로 현정석 제주대학교 교수와 이트리즈 신정호 박사의 ‘초등학생들을 위한 무한상상실 발명교실 운영 사례’ 등 총 36개의 연구논문과 사례가 발표된다. 양동열 한국창의응용학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산업 및 교육 분야에서 ‘트리즈’를 활용한 다양한 혁신사례를 알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술대회 상세정보는 홈페이지(katatriz.or.kr)나 학회 사무국(02-574-2207)으로 문의하면 된다. 끝.
2016.01.19
조회수 7980
한국 핀테크 산업의 과제를 주제로 컨퍼런스 개최
‘핀테크’ 열풍으로 국내․외 금융산업이 격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핀테크 산업의 해외 진출 가능성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우리 대학은 오는 21일(목) 오후 1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 2층 컨퍼런스홀에서 권오규 前 경제부총리, 정지원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강성모 총장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세계 금융시장을 향한 한국 핀테크의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핀테크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핀테크(Fin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술을 말한다. 아직까지 핀테크의 실질적 정의가 모호하고 산업간 경계가 명확하지 않지만, 첨단 IT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세계 금융산업의 선도자로 나설 수 있는 기회라는 평가다. 컨퍼런스는 국내 핀테크 기업이 세계 금융시장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갖출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된다. 먼저 기조강연자로 나선 김동석 KAIST 경영대학장은‘한국 핀테크의 도전과 과제’란 주제발표에서, 핀테크 산업이 지급결제 또는 인터넷 전문은행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산업간 경계를 허무는 창조적 파괴 산업이 될 것임을 강조 할 예정이다. 이어 금융계에서는 김종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이‘국내 핀테크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필요조건’을 주제로 발표한다. 우리 대학에서는 ▲권영선 기술경영학과 교수가‘한국경제와 핀테크의 역할’▲이윤준 전산학부 교수가‘ICT 분야에서 본 한국 핀테크’▲이병태 경영공학부 교수가‘한국에서 핀테크 현황과 가능성’▲김병천 경영공학부 교수가‘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도전과 과제’를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밖에 윤창현(前 금융연구원장)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가‘국내 금융산업의 위기와 핀테크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와 함께‘한국 핀테크 산업 육성 방안’을 주제로 열리는 토론회에는 미래창조과학부 송재성 인터넷 제도혁신과장, 금융위원회 김동환 전자금융과장, 삼성경제연구소 전진 박사, 8Persent 이효진 대표, 보험연구원 황인창 박사, 코스콤 이재규 미래사업단장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김병천 KAIST 금융공학연구센터장은 “앞으로 핀테크 산업은 고객이 찾아오도록 하는 방식에서 고객의 생활패턴을 파악해 적재적소에 필요한 상품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발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컨퍼런스 상세 정보는 홈페이지(http://business.kaist.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05.14
조회수 9451
경영대학, 다문화가정 학생 초청 ‘창의융합캠프’ 개최
KAIST 학생들이 기금을 마련해 다문화 가정 학생 초청 과학캠프를 진행했다. 우리 대학 경영대학 재학생들은 5월 31일 부터 6월 1일까지 이틀 동안 본교 창의학습관에서 다문화가정 어린이 77명을 초청해 ‘KAIST Run 창의융합캠프(이하 창의융합캠프)’를 개최했다. ‘창의융합캠프’는 과학에 관심 있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지원하는 교육기부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경영대학 학생들을 비롯한 KAIST 구성원 100여명이 마라톤대회에 참가하면서 기부한 2천만 원의 기금으로 마련됐다. 이번 캠프는 다문화 가정 학생만으로 참가가 제한됐으며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됐다. 지난 5월 14일부터 10일 동안 진행된 참가자 모집에는 전국의 다문화 가정 학생 100여명이 지원했으며, 심사를 거쳐 초등학교 30명과 중학생 47명 등 총 77명이 최종 선발됐다. 캠프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평소 접하기 쉽지 않은 교육융 프로그램밍 언어를 활용해 미니게임 등을 만들어 보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소리를 그리다 △Computational Thinking △애니메이션 만들기 △미니게임 만들기 등의 강좌가 제공됐다. 이번 캠프를 위해 기금모집을 주관한 차승현 경영대학 학생회장은 “금전적 기부가 끝이 아니라 실제 수혜자들에게 어떻게 혜택을 줄 것인가를 고민했다”며 “이번 캠프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과학을 즐기고 가는 소중한 기회가 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안재현 경영대학 부학장은 “모든 활동이 학습을 중심으로 이뤄졌던 경영대학이 이제는 이웃에게 봉사하고 이를 실천해 나가는 새로운 가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이것이 바로 KAIST 2.0 모델” 이라고 말했다. 한편, KAIST 경영대학은 해비타트, 자선바자 & 경매, 밥퍼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공헌 및 기부에 앞장서고 있다. 끝.
2014.06.02
조회수 8612
KAIST, 녹색산업 창업 ․ 사업 사례 공모전 개최
- 공모전 결과는 사례집으로 발간돼 - KAIST(총장 강성모)가 에너지 고갈, 탄소 배출, 물 부족 등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녹색기술을 이용해 녹색산업을 창업하거나 사업으로 개발시킨 사례를 공모한다. KAIST EEWS(Energy, Environment, Water, and Sustainability)기획단과 KAIST 경영대학 녹색정책과정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녹색산업 창업․사업 사례 공모전’은 녹색기술 응용 사례를 발굴하고 녹색산업 개발을 널리 알림으로써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국내 관심과 지원을 유도하고자 개최된다. 국제적으로 녹색경영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에서는 녹색경영에 대한 실태 파악 및 효율적인 녹색경영을 위한 분석 작업이 저조하게 추진되고 있다. KAIST EEWS기획단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국내 기업의 우수한 녹색기술경영 사례를 선정하고 우수사례는 개발 후 사례집으로 발간해 녹색경영을 도입하고 추진하고자 하는 국내․외 기업이 지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제고, 온실가스 감축, 해수 담수화, 원자력 안전 증진 등 EEWS와 관련된 분야의 주제로 녹색산업계 종사자나 창업자, 교수, 학생 등 누구나 공모전에 참가할 수 있다. 5월 20일(월)까지 참여의향서를 접수받고 있으며 참여의향서 및 제안서 제출 등 기타 자세한 내용은 EEWS기획단 홈페이지(http://eews.kaist.ac.kr/)에서 확인하면 된다. EEWS란 에너지 고갈, 환경오염, 물부족 및 지속성장 가능성 등 21세기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글로벌 이슈의 해결을 위해 KAIST가 추진하고 있는 연구프로젝트다. ※ 첨 부: 공모전 내용 [2013 녹색창업/녹색사업 사례주제 모집 및 사례개발] KAIST EEWS(Energy, Environment, Water and Sustainability)기획단은 에너지 고갈, 탄소 배출, 물 부족 등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녹색기술을 이용하여 녹색사업으로 진출한 사례를 발굴하여 널리 전파하고자 KAIST 경영대학 녹색정책과정과 공동으로 “녹색경영 사례집”의 발간을 계획하고 있으며, 사례집에 포함할 녹색사업 사례에 관한 제보를 공모하오니 많이 참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내용 1단계. 녹색창업 및 녹색사업 사례주제 공모 * 녹색기술을 이용한 창업 또는 기업 경영 사례 * 10건의 우수사례 선정, 각 30만원 상금 지급 2단계. 1단계 공모에서 선정 된 사례주제 중 우수사례 개발 * 1단계에서 채택된 사례주제 중 일부를 선발하여 사례를 개발하고자 함. * 관련 사항은 아래 사례개발 절차를 참고 바람 □ 공모주제 녹색기술을 통한 창업, 사업 및 활용 사례 *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풍력발전, 지열발전, 친환경 연료전지 등) * 에너지 효율 제고(친환경 제품 및 공정개발, 건축, 차량 등) * 온실가스 감축(온실가스 포집 및 저장 등) * 해수의 담수화, 원자력 안전증진을 위한 사례 등 * 기타 녹색기술을 응용 한 사례 □ 응모자격 * 산업계 종사자 및 창업자 * 관련 주제 연구자 (교수, 학생 포함) □ 응모기간 * 참여의향서 제출 (1쪽 분량) : 2013. 5. 20(월) 까지 ※ 사례의 주제 및 산업과 회사 등 간략한 설명과 제안자 성명 및 연락처만 제출 * 제안서 제출 (5~10쪽 분량) : 2013. 6. 28(금) 까지 □ 응모방법 * 참여의향서 ※ 첨부양식 사용, 이메일 제출(yj.cho@kaist.ac.kr) * 제안서 ※ EEWS 홈페이지(http://eews.kaist.ac.kr)에 직접 Upload ※ Upload 관련 내용은 홈페이지에 안내 될 예정입니다. Upload 전 방문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우수사례 당선 발표 * 2013. 07. 19.(금) □ 시상 * 10건의 우수사례 주제 선정, 각 30만원 상금 지급 □ 사례 개발 절차 * 1단계 공모에서 선정 된 사례주제 중 우수사례 개발 1단계 - 1단계에서 채택된 사례 중 선발된 사례는 제안자 또는 제3의 필자를 통해 경영사례로 개발할 예정임. 집필자에게는 300만원의 집필비가 지급 되며 사례의 저자로 등재 됨. - 한글 본에 추가하여 영문으로 작성할 경우 영문집필비 100만원을 추가 지급함. ※ 사례개발 제안서 양식 및 가이드라인은 EEWS 홈페이지 (http://eews.kaist.ac.kr)에 게시할 예정이며, EEWS기획단에서 추가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 문의 * 조윤정 행정원 / KAIST EEWS기획단(http://eews.kaist.ac.kr) 녹색사례 공모 담당 02)958-3052, E-mail: yj.cho@kaist.ac.kr * 윤희정 행정원 / KAIST 경영대학 녹색성장대학원 (http://www.business.kaist.ac.kr/gsgg/) * 이재규 교수 / KAIST 경영대학, EEWS기획단장 / jklee@business.kaist.ac.kr
2013.04.18
조회수 8794
KAIST 경영대학, 경영자과정 아시아 1위로 선정
-FT랭킹 글로벌 28위, 아시아 1위 - - 3회 연속으로 글로벌 랭킹에 진입한 국내 유일한 학교 - 우리대학 경영대학 경영자과정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2012 경영자과정(Executive Education) 경영대학원 순위’에서 국내 과정으로는 유일하게 세계 28위, 아시아 1위를 기록했다. FT는 세계 유수 경영대학원의 경영자과정에 대해 프로그램 구성, 교재, 교수진, 새로운 기술과 학습효과 등을 평가해 상위 65개 대학의 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KAIST 경영자과정은 작년 세계 29위∙아시아 2위에 랭크된 데 이어, 올해는 세계 랭킹이 한 계단 상승해 전년도 1위였던 중국의 CEIBS(29위)를 제치고 아시아 1위에 올랐다. 또한 FT 랭킹에 참여한 3회 연속 (2009, 2011, 2012) 순위권에 진입했다. 평가 항목별로는 ‘프로그램 준비’(11위), ‘국제교류’(11위), ‘교육시설’(12위), ‘수료 후 네트워킹’(5위) 부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목표성취’(31위) 및 ‘과정설계’(29위) 부문도 전년대비 상승했다. 학교측은 직급별, 산업별, 기업별 교육 수요를 반영해 각 과정을 차별화∙전문화 시킨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KAIST 경영대학은 △과학기술 △정보미디어 △의료 △공공혁신 분야를 경영과 접목시킨 융합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최고 경영자과정과 함께 컨설팅 기법을 응용한 중견관리자 과정을 별도로 개설해 직급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기업별로는 산업군과 기업 규모를 고려한 특화 콘텐츠로 강의를 진행한다. 특히 ‘국제교류’ 부문은 장단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적절히 활용한 점을 인정받아 전년도 23위에서 올 해 11위로 급상승했다. 2011년 신설한 글로벌리더과정은 1학기는 한국에서, 2학기는 해외 파트너 스쿨에서 교육을 진행하며, 전 과목 영어강의로 구성됐다. 이 외에도 ‘새로운 기술과 학습효과’ 부문이 18위, ‘교수법 및 자료’ 부문이 24위에 오르며 17년간 MBA를 운영하며 이공계 기반과 MBA 기반을 동시에 축적해온 KAIST 경영대학의 노하우를 인정받았다. KAIST 경영대학 이병태 학장은 “경영자과정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FT랭킹에 연속으로 진입하며 아시아 1위 과정에 오른 것은, 시장의 니즈를 파악해 이에 맞게 운영하고 있는 전문화된 본교의 커리큘럼이 세계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갖췄음을 의미한다”며 “향후에도 글로벌 위상에 걸 맞는 최상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종합 순위는 스위스의 IMD(국제경영개발원)이 1위, 미국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 2위를 차지했으며, 아시아에서는 중국의 CEIBS(중국유럽 국제비즈니스스쿨 ∙29위), 싱가폴의 Aalto 대학(42위), 싱가폴 국립대 비즈니스 스쿨(64위)이 이름을 올렸다. KAIST 경영자과정은 CEO및 임원을 위한 최고경영자과정(AIM), 정보미디어 최고경영자과정(ATM), 공공혁신•e-Governance고위과정(AeG), 중견관리자를 위한 최고컨설턴트과정(AIC), 글로벌 리더과정(GLP)등이 있으며, 올해는 서울아산병원과 협약을 맺고 KAIST-아산 의료산업 최고경영자과정(AHM)을 신설했다.
2012.05.14
조회수 11938
김영걸 교수, '소크라테스와 CRM' 출간
100일간 트위터에서 진행된 ‘고객사랑법’ 지상중계! 세상 사람들을 내 고객으로 만들고, 한 번 구매한 사람에게 두 번 판매하고, 일반고객을 단골로, 나아가 충성고객으로 만드는 것은 모든 비즈니스맨이 열망하는 바다. 문제는 방법. ‘광고는 죽었다’는 선언이 내려진 지 오래고, 새로운 채널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등장해 좇아가기도 벅찰 정도다. 과연 우리는 어떻게 가망고객을 충성고객으로 바꿀 수 있을까? 그 와중에 등장한 유력한 대안 중 하나가 바로 CRM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이 놓치지 말아야 할 고객을 선별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향상시키도록 도와주는 이 기법은 국내의 수많은 기업에서 앞 다퉈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그중 70%는 실패. 고객과의 ‘관계향상’보다 ‘매출증대’에만 집착한 결과, 엄청난 비용을 들여 시스템을 도입하고 나서도 정작 고객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데는 실패한 것이다. 일련의 거품이 가라앉은 후 많은 기업들이 이전보다 한층 진지한 자세로 CRM에 다시 접근하기 시작했다.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과 감동을 줌으로써 관계를 강화하는 본연의 취지를 살린 마케팅 방법론도 많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CRM의 구체적 방법론을 몰라 고전하는 이들이 여전히 적지 않다. 국내 성공사례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고, 번역서는 딱딱한 이론 중심이어서 실전에서 도움을 얻기가 마땅찮기 때문. 이 책은 그런 이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KAIST 정보미디어 경영대학원장인 김영걸 교수는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CRM 전문가. 그가 가르치는 CRM 강의는 KAIST MBA에서 가장 악명 높은 과목 중 하나이자, 졸업한 선배들이 후배에게 가장 많이 추천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이 책은 김영걸 교수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트위터에서 진행한 CRM 강의를 옮긴 것이다. 2010년 6월 5일부터 100일간 진행된 이 강의는 ‘세계 최초의 트위터 강의’이자 국내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KAIST MBA의 CRM 강의를 일반인들에게 공개하는 것으로서 의미가 크다. 최고의 이론가와 최고의 실행가들이 만났다! 생생한 현장사례로 풀어보는 CRM 전략과 전술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생생한 현장성에 있다. ‘애견병원의 고객은 개인가, 영희인가, 영희 아빠인가?’ ‘항공사 마일리지와 OK캐시백의 장단점을 비교하라’ ‘단골과 충성고객의 차이는?’과 같이 현장의 마케터들이 고민하는 실제 사례들을 통해 CRM의 핵심개념과 원칙을 설파한 것. 질문을 하고 수강생들이 답변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해답을 깨닫게 한 것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그대로 닮았다. 저자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인지, 대부분의 질문에서 수강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총동원하여 답을 찾아나갔다. 때로는 CRM 전문가들도 갑론을박하는 논점을 현장의 시각으로 냉철히 파헤친 대목을 보면 수강생들의 노하우가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이 강의에 참여한 이들은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을 비롯, 티켓링크 대표, 오라클 CRM 솔루션 담당 상무, 매일유업 CRM 부문장, LG전자 CRM 담당 과장, 이마트 고객기획팀장, CJ오쇼핑 고객인사이트 팀장 등 국내 유수 기업들의 고객관리·마케팅 전문가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책은 국내 최고의 이론가가 풀어낸 CRM 강의이자, 국내 최고의 CRM 실행가들이 자신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장이기도 하다. 김밥집에서 대기업까지, 자신의 비즈니스에서 고객과의 관계를 좀 더 굳건히 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가장 명쾌한 교과서이자 가장 현실적인 지침서가 될 것이다.
2011.07.06
조회수 11914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