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근(수리과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7년 6월18일자에
"확률의 너무 살찐 꼬리"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확률의 너무 살찐 꼬리
저자 - 한상근 수리과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
일자 - 2007.6.18(월)
우리 대학 연구진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질 혼잡을 유발하는 비만과 치매, 노화가 어떻게 불안정한 수면을 유발하는지를 밝히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 연구팀은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 내 분자 이동을 방해하는 세포질 혼잡(Cytoplasmic congestion)이 불안정한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s)과 수면 사이클을 유발함을 예측하고,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이주곤 교수 연구팀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수리과학과 김대욱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26일 字 온라인판에 실렸다. (논문명 : Wake-sleep cycles are severely disrupted by diseases affecting cytoplasmic homeostasis) 우리 뇌 속에 있는 생체시계(Circadian clock)는 인간이 24시간 주기에 맞
2020-11-09김 재 경 교수 우리 몸엔 다양한 주기의 리듬을 만드는 시계들이 존재한다. 심장은 매 초 박동하고 체세포들은 일정한 주기로 분열한다. 생체 리듬은 다양한 호르몬 분비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생명체가 24시간 주기의 환경에 적응해 살 수 있도록 한다. 과학자들은 어떤 원리로 우리 신체가 일정한 주기로 생체 리듬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연구했다. 그리고 그 생체 리듬을 인공적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도 끊임없이 계속됐다. 우리 대학 수리과학과 김재경(32) 교수가 미분방정식과 확률적 매개변수 샘플링을 바탕으로 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생체 리듬을 유지할 수 있는 생물학적 회로 디자인을 설계했다. 그리고 김 교수의 설계를 바탕으로 미국 라이스 대학 메튜 베넷 교수 연구팀이 합성생물학 기술을 통해 안정적인 리듬을 갖는 시스템을 실제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저명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8월 28일자에 게재됐다. 최근 생체 리듬 생성의 매커
2015-08-31우리 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윤태성 교수가 조선일보 2013년 12월 23일(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매 맞는 구급대원" 없애려면 매체: 조선일보 저자: 윤태성 교수 일시: 2013년 12월 23일(월) 기사보기 : "매 맞는 구급대원" 없애려면
2013-12-23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10월 4일(금)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특허 교육" 당장 시작하자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10월 4일(금) 기사보기 : "특허 교육" 당장 시작하자
2013-10-04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7월 24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포스트 베이비 붐 세대를 위하여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7월 24일(수) 기사보기 : 포스트 베이비 붐 세대를 위하여
201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