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인물

김성용 교수, 10년 주기 해양 원격 탐사 국제학회 기조연설 맡아​
조회수 : 3506 등록일 : 2022-10-21 작성자 : 홍보실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

<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김성용 교수가 1980년부터 10년 주기로 열리는 해양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원격탐사 국제학회 `우주에서 관측한 바다(OCEANS FROM SPACE)'에서 한반도 주변 고해상도 해양관측 연구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아 기조연설 연사로 초청받았다고 21일 밝혔다. 김 교수는 오는 1026일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1964년 미국 우즈홀에서 `우주에서 관측한 해양학(Oceanography from Space)'라는 이름으로 처음 열린 본 학회는 1980년부터 매년 10년 주기로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우주에서 관측한 바다(OCEANS FROM SPACE)'로 열리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해양 원격 탐사 연구 중 주요한 과학 및 기술 분야의 성취, 혁신 및 도전에 관한 내용을 주제로 해양 원격 탐사 커뮤니티의 리더들을 초청하고 공유하는 주요한 학회로서 해양 탐사에 진전을 가져온 새로운 기술과 활동 및 서비스 등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고 있다. 2020년 예정됐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번 연기됐으며 20221024일부터 28일까지 이탈리아 베니스 산마르코 스쿠올라 그란데(Scuola Grande di San Marco)에서 열릴 예정이다.

그림 1.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미항공우주국에서 위성 고도계를 이용하여 관측한 와동류가 가득한 영원한 바다

< 그림 1.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과 미항공우주국에서 위성 고도계를 이용하여 관측한 와동류가 가득한 ‘영원한 바다’ >

김 교수가 발표할 내용은 한반도 주변 고주파 레이더로 관측된 고해상도 표층 해수 유동장과 정지궤도 위성으로 관측된 고해상도 엽록소 농도장의 동시 관측 자료를 해양 난류 관점에서 이론과 실측자료의 비교 분석을 실시해 해양 아중규모(100km 미만 공간규모 및 매시간 이하 시간규모)의 해양 에너지가 전달되고 주입되는 시공간 규모와 기작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것을 담고 있다. 또한, 해양 난류의 실측자료를 기반해 아중규모에서 해양 난류의 이론을 검증하고 보완한 내용도 발표할 예정이다. 본 학회에서 한국인 해양학자 중에는 처음으로 기조연설 연사로 초청받았다. 

해당 연구는 2018년 해양학 분야 최상위 저널인 `저널 오브 지오피지컬 리서치-오션스(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oceans)'에 출간됐고, 해당 논문은 2019년 해양수산부 해양수산과학기술대상 학술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그림 2. 위성 관측된 와동류의 크기에 따른 에너지의 분포를 기반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의 기울기 변화, 에너지의 순방향 및 역방향 캐스케이드, 에너지가 투입되는 공간 규모를 보여주는 모식도

< 그림 2. 위성 관측된 와동류의 크기에 따른 에너지의 분포를 기반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의 기울기 변화, 에너지의 순방향 및 역방향 캐스케이드, 에너지가 투입되는 공간 규모를 보여주는 모식도 >

그림 3. 정지궤도 해색 위성을 이용해 관측한 표층 엽록소 농도장 내에 아중규모 난류 유동

< 그림 3. 정지궤도 해색 위성을 이용해 관측한 표층 엽록소 농도장 내에 아중규모 난류 유동 >

김 교수는 "고해상도 해양 난류의 시공간 원격 관측을 통해 해양 난류를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기-해양의 에너지 주입 및 전달에 관한 연구가 해양 원격 관측 커뮤니티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감사하고 최근 연구비 지원을 통해 계속될 수 있어 감회가 새롭다ˮ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북서태평양 해양-육상-대기 탄소과제 및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AI기반 해양수색구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과제를 통해 지속되고 있다. 

그림 4. 강원도 임원 연안 표층 해수 유동장과 울릉도 남부지역 표층 클로로필 농도장의 에너지 스펙트럼과 시간에 따른 에너지 스펙트럼의 기울기 변화

< 그림 4. 강원도 임원 연안 표층 해수 유동장과 울릉도 남부지역 표층 클로로필 농도장의 에너지 스펙트럼과 시간에 따른 에너지 스펙트럼의 기울기 변화 >

논문 세부 정보: Lee, E. A. and S. Y. Kim, 2018: Regional variability and turbulent characteristics of the satellite-sensed submesoscale surface chlorophyll concentrations, J. Geophys. Res. Oceans 123(6), 4250 - 4279, doi:10.1002/2017JC013732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