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연구

미생물 이용해 고효율 루테인 생산 기술 최초 개발​
조회수 : 5348 등록일 : 2022-08-17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박선영 박사, 은현민 박사과정, 이상엽 특훈교수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박선영 박사, 은현민 박사과정, 이상엽 특훈교수 >

우리 대학 생명화학공학과 박선영 박사(LG화학)와 은현민 박사과정생을 포함한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루테인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루테인(lutein)은 눈을 산화 손상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며, 주로 계란의 난황과 과일 등에 함유된 영양물질이다. 루테인은 노안, 백내장 등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어 눈 영양제로 많이 판매되며, 이외에도 화장품과 동물사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노령화와 전자기기 사용 시간 증가에 따라 루테인 수요와 시장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쳐 카탈리시스(Nature Catalaysis)'84일 게재됐다.

논문명 : Metabolic engineering of Escherichia coli with electron channeling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products

저자 정보 : 이상엽(한국과학기술원, 교신저자), 박선영(한국과학기술원, 1저자, LG화학), 은현민 (한국과학기술원, 2저자), 이문희(한국과학기술원, 3저자) 포함 총 4 

현재 시장에 공급되고 있는 루테인은 주로 금잔화(marigold) 꽃에서 추출해 생산되지만, 금잔화 꽃의 재배에는 대지와 시간, 노동이 많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대량으로 공급하기에 비효율적이다. 그 대안으로 화학적 합성 방법도 제시돼왔지만, 비대칭적인 화학 구조와 다양한 이성질체의 존재로 인해 이 또한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루테인을 친환경적이며 고효율로 생산하는 미생물 세포 공장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시스템 대사공학은 효과적인 미생물 균주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핵심 전략으로, 우리 대학 이상엽 특훈교수가 창시한 연구 분야다.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은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인 대사공학을 이용해 대장균 내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를 구축했으며, 이로써 값싼 바이오매스의 주원료인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사용해 고부가가치의 루테인을 생산하는 대장균 균주를 개발했다고 연구팀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림 1.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 조작 모식도

< 그림 1.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 조작 모식도 >

연구팀은 개발한 대장균 균주에 추가로 시스템 대사공학 기술과 대사회로의 전자 채널링 전략을 도입함으로써 대장균으로부터 루테인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대사회로 상 여러 생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는 원하는 목표 화학물질로의 대사 흐름을 방해하기에 그동안 루테인을 특정량 이상으로 생산할 수 없었다. 연구진은 병목 단계의 효소들을 그룹화해 세포 내 효소 주변의 기질들과 전자들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기질 채널링 및 전자 채널링 효과를 만들었으며, 그 결과 루테인 생산을 위한 대사 흐름이 강화되면서 대장균을 이용해 루테인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한 동일한 전자 채널링 전략을 사용해 대장균에서 자몽의 향기 성분인 누카톤(nootkatone)과 항노화 천연화합물인 아피게닌(apigenin) 등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에 참여한 박선영 박사는 천연자원으로부터의 비효율적인 추출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기반의 고효율 루테인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이번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기반의 의약품, 영양 보조제 등의 제품을 만드는 데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에 의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의 바이오화학산업 선도를 위한 차세대 바이오리파이너리 원천기술 개발 과제와 농촌진흥청이 지원하는 농업미생물사업단(단장 장판식)카로티노이드 생산 미생물 세포공장 개발과제(과제책임자 국립농업과학원 김수진 박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