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연구

차세대 에너지 변환기술인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스마트 전극 개발​
조회수 : 4555 등록일 : 2022-06-21 작성자 : 홍보실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포스텍 한정우 교수, 한국세라믹기술원 신태호 박사

<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포스텍 한정우 교수, 한국세라믹기술원 신태호 박사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 연구팀이 포스텍 한정우 교수, 한국세라믹기술원 신태호 박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용 고성능 전극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고온에서 수소와 산소를 자발 반응시켜 고효율로 전력으로 변환(연료전지 모드) 하고, 전기를 가하면 청정 수소(그린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을 생산(전해전지 모드) 할 수 있는,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차세대 에너지 변환 기술이다. 

이러한 양방향 연료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가역반응에서 전극의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다공성 연료극 구조체 표면에 고성능 나노 금속 촉매를 입히는 기존 함침법의 경우 반응점을 늘리기 위해서 반복적인 증착 공정을 수행해야 하고, 고온 장기 구동 시 응집 현상으로 인한 촉매 활성도가 저하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연료전지가 작동하는 환경에서, 전극 표면에 금속합금 나노촉매가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용출(exsolution) 현상을 활용한 전극을 디자인 했다. 연구팀은 금속합금 나노촉매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기존 코발타이트계 산화물 구조 내에 팔라듐(Pd)을 미량 첨가해, 양방향 구동 시 가역적으로 고활성을 갖는 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해당 방법으로 설계된 나노 합금 촉매는 페로브스카이트 격자 내부에서부터 전극 표면으로 스스로 용출돼 형성되기 때문에 전극 표면과 응집 현상 없이 강하게 결합하고, 입자의 균일도 또한 우수해 촉매 성능 향상에 큰 이점이 있다.

그림 1. Pd 이 도핑된 연료극이 적용된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동 모식도 및 고온/수소 분위기에서의 전극 표면 용출 현상에 의한 나노 합금 촉매 형성 메커니즘

< 그림 1. Pd 이 도핑된 연료극이 적용된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동 모식도 및 고온/수소 분위기에서의 전극 표면 용출 현상에 의한 나노 합금 촉매 형성 메커니즘 >

연구팀은 전해질 지지체 단전지에 개발된 전극을 연료극으로 사용해 성능을 측정한 결과, 연료전지 모드에서 최대출력 2.0W/cm2 (850oC), 전해전지 모드에서 전력밀도 2.23A/cm-2 (1.3V, 850oC)를 구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양방향 연료전지 성능을 달성했다. 이는 기존 기술 대비 연료전지 모드는 1.6, 전해전지 모드는 2.4배 향상된 결과다. 

기계공학과 김경준 박사, 배경택 박사과정생, 포스텍 임채성 박사과정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비: 인바이러멘탈,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IF:19.503, JCR분야 0.93%) 514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Concurrent promotion of phase transition and bimetallic nanocatalyst exsolution in perovskite oxides driven by Pd doping to achieve highly active bifunctional fuel electrodes for reversible solid oxide electrochemical cells)

그림 2. LSCFP 연료극이 적용된 가역적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의 온도별 (700 ℃~ 850 ℃) (a) 연료전지 성능 (b) 수전해 전지 성능 (c) 가역 구동에 따른 안정성 평가 (d) 산화/환원 분위기에 따른 금속 합금 나노 촉매 형성

< 그림 2. LSCFP 연료극이 적용된 가역적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의 온도별 (700 ℃~ 850 ℃) (a) 연료전지 성능 (b) 수전해 전지 성능 (c) 가역 구동에 따른 안정성 평가 (d) 산화/환원 분위기에 따른 금속 합금 나노 촉매 형성 >

이강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특정 페로브스카이트 전극 물질 내 높은 환원 특성을 가지는 원소의 도핑이 산화물 전극 표면에 이종 금속 나노촉매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고성능 고 안정성의 양방향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상용화를 선도하는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그리고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