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인물

시정곤 교수, 조선언문실록 출간​
조회수 : 11752 등록일 : 2011-03-29 작성자 : kaist_news



- 실록으로 보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한글 사용기

세종대왕이 만든 새 문자는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언문(諺文)’이라 기록되었다. 한문만이 정통이라 대접받던 시절, 언문의 실제 위상은 어떠했을까. 우리가 매일 쓰고 있는 우리말 한글은 6백여 년의 역사 속에서 어떤 일들을 겪으며 지금의 모습에 이르렀을까.

우리학교 인문사회과학과와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인 시정곤 교수는 정주리 교수(동서울대)와 함께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조선언문실록>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언문을 사용했던 임금, 언문 편지로 비밀을 주고받은 사대부, 애절한 사랑을 담아 언문 연서를 띄운 여인과 억울함을 풀어 쓴 언문 상소로 속내를 전한 백성들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계층을 막론하고 의사소통의 주된 도구였던 한글이 들려주는 사건과 사고, 재미난 이야기를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실감나게 살펴본다.

조선 시대에 왕을 비롯하여 사대부와 왕실 여성, 그리고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한글을 사용했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조선 사람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장면에서 어떻게 한글을 사용했을까. 이 대목을 제대로 알아야만 우리 역사에서 한글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한글 생활사를 위한 기초 작업의 성격을 갖는다.

‘조선언문실록’이라는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이 책은 <조선왕조실록>에서 한글과 관련된 이야기를 추려 내 엮은 것이다. 한글이 창제된 세종 25년(1443)부터 조선의 마지막 왕인 순종 때까지의 기록 중에서 한글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내 구성하였다. 책의 제목을 ‘한글실록’이라 하지 않고 ‘언문실록’이라 붙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록>을 살펴보면 사용하는 사람의 신분이나 계층에 따라 언문을 사용한 목적과 내용에 차이가 나는데, 사용자층은 크게 왕과 왕족, 사대부와 관리, 왕실 여성, 백성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1장에서는 왕과 언문을, 2장에서는 사대부의 언문 사용을, 3장에서는 여성과 언문을, 4장에서는 백성과 언문 사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5장에서는 언문이 국문으로 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었던 다양한 언문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저자들은 <우리말의 수수께끼>(2002), <한국어가 사라진다면>(2003), <역사가 새겨진 우리말 이야기>(2006),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2008) 등 우리말 교양서를 꾸준히 내오고 있는 국문학자이다. 한글은 우리에게 관찰 대상이 아니라 삶 그 자체이며, 한글이 우리 일상에서 부지런히 살아 숨 쉬고 있는 한 한글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될 것이라 밝히는 두 저자는 앞으로도 한글 이야기를 시리즈로 꾸준히 펴낼 계획이다.

역사 속 한글의 모습에 대한 오해는 분명히 있다. 언문은 천대 받은 글이고, 사대부 및 왕실에서는 쓰지 않았으며, 여인들이 쓰는 문자였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아직 존재한다. 이 책은 창제 이후 우리글이 어떻게 쓰여 왔는지를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구체적인 장면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한글에 대한 오해를 풀고 우리말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이끌어 낸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당신을 닮은 좋은책 ― 문학의숲|고즈윈)

관련기사 :

조선일보 2011.03.22 (화)
한글은 때론 정치에, 때론 치정에 이용됐다

한국일보 2011.03.25 (금)
언문, 백성 억울함 풀어주고 부녀자 소일거리 만들어줬다
 

시정곤 교수, 조선언문실록 출간 이미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