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생 국제회의 열린다
- KAIST 학생동아리 아이씨스츠, ‘ICISTS-KAIST 2012’ 8월 개최 -- 7월 15일까지 참가신청 접수, 올 행사의 키워드는 ‘융합’
순수 대학생 단체가 주관, 개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컨퍼런스가 대전 KAIST에서 열린다.
우리 학교 원내 학생동아리 아이씨스츠(ICISTS)가 오는 8월 6일부터 10일까지 5일간에 걸쳐 대전컨벤션센터와 KAIST 대전 본원에서 ‘ICISTS-KAIST 2012’ 행사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2005년부터 시작돼서 올해로 8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연사섭외부터 모든 행사진행과정을 대학생들이 직접 맡아 개최하는 컨퍼런스로, 급변하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알아보고 토론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 초기에는 150여명 정도의 참가인원에 해외 참가자들도 많지 않았으나, 작년의 경우 22개국에서 300여명의 대학생들이 참가하는 등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생 국제컨퍼런스로 자리를 잡았다.
올 행사의 키워드는 최근 학계에서 커다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융합’으로, 다양한 구성으로 학문 간 융합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경과 배경을 뛰어넘는 인적 네트워크를 선사할 예정이다.
‘ICISTS-KAIST"는 대규모 강의실에서 여러 연사들이 강연하는 ’패널 토의‘ 뿐만 아니라, 같은 시간대에 소규모 강의실에서 동시에 열리는 ’병렬 세션‘에 참가해 참석 학생들이 자기가 원하는 강연을 입맛대로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또 연사와 참가자들이 소규모 그룹을 이뤄 자유롭게 토의하는 시간을 갖는 ‘그룹토의’가 진행되며, 세계 곳곳에서 모인 참가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알려주기 위해 사물놀이 공연 등 다양한 공연과 부스가 열린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융합의 시대: 지식의 경계를 넘어(Age of Integration: Beyond the Borders of Knowledge)’다. ▲예술과 과학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과학기술과 인간사회 등 3가지 소주제로 나뉘어 진행되는 컨퍼런스를 통해, 참가자들은 인류가 직면한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학과 다른 학문들 간의 다양한 융합을 찾아보고 논의하게 된다.
무료한 8월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이번 컨퍼런스에는 2005년 최고과학기술인 ‘제1호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신희섭 교수를 비롯해, 미시간공과대학 과학예술대학 학장 브루스 실리(Bruce E. Seely) 교수, 펜실베니아주립대 커뮤니케이션대학 샴 선더(S. Shyam Sundar) 특훈교수 등 국내외의 쟁쟁한 연사들이 강단에 선다.
최지수 조직위원장(KAIST 수리과학과 3학년)은 “진정한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면 학문의 최전선에 있는 과학자, 인문학자, 예술가들이 다른 분야로 과감히 몸을 던져 끊임없이 도전하고 실험해야 한다”며 “참가자들은 행사를 통해 과학의 색다르고 재미있는 면모를 체험하면서, 혹은 어려운 가치판단 사이에서 토론하면서 미래를 바라보는 융합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특히 “세계적인 석학을 만나고, 다양한 나라의 학생들과 4박 5일을 함께하며 많은 친구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등 SNS 등을 통해 인맥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다양한 분야의 석학들과 대학생들이 모여 현대사회 문제의 해법을 융합을 통해 모색하는 이번 컨퍼런스의 참가신청은 7월 15일까지 ICISTS-KAIST 공식 홈페이지(www.icists.org)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ICISTS-KAIST 2011’에 참가한 대학생들이 연사의 강연을 듣고 있다.
2012.06.18
조회수 10951
-
[노동의 종말] 저자 제레미 리프킨 초청 특강열어
- KAIST, 9일 오후 5시 대강당에서 -
서남표 KAIST 총장은 9일 오후 5시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철학자인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 워싱톤시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을 초청해 ‘3차 산업혁명과 우리의 미래’라는 주제로 특강을 개최한다.
이번 강연은 일반인에게도 개방되며 강연 1시간 전부터 선착순으로 입장권을 배부한다.
제레미 리프킨은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을 넘나들며 자본주의 체제 및 인간의 생활방식, 현대 과학기술의 폐해 등을 날카롭게 비판해 온 행동주의 철학자인데 ‘엔트로피’, ‘육식의 종말, ’노동의 종말‘, ’소유의 종말‘, ’3차 산업혁명‘, ’바이오테크 시대‘, ’생명권 정치학‘ 등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저자로도 유명하다.
KAIST 세계 명사초청 강연의 일환으로 이뤄지는 이날 특강에서 제레미 리프킨은 화석연료와 대량생산 경제를 바탕으로 전개됐던 2차 산업혁명 단계가 종식되고 인터넷 기술과 재생에너지가 합쳐져 강력한 ‘3차 산업혁명’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정부와 기업, 시민사회, 대학 등의 현명한 대처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제레미 리프킨은 1945년생으로 펜실베니아대 와튼스쿨에서 경제학을, 터프츠대학의 플레처 법과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을 공부했고 1994년부터 펜실베니아대학 와튼스쿨 최고경영자 과정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과학기술의 새로운 조류와 세계 경제 및 사회,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2012.05.08
조회수 10134
-
이상엽 칼럼 녹색 화학산업의 시대가 온다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가
매일경제 2011년 7월 27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녹색 화학산업의 시대가 온다
신문: 매일경제
저자: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일시: 2011년 7월 27일(수)
기사보기: 녹색 화학산업의 시대가 온다
2011.07.27
조회수 7176
-
김경수 칼럼 새 시대를 위한 창조적인 리더전략
김경수 기계공학과 교수가
대전일보 2011년 1월 27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새 시대를 위한 창조적인 리더전략
신문: 대전일보
저자: 김경수 기계공학과 교수
일시: 2011년 1월 27일(목)
기사보기: 새 시대를 위한 창조적인 리더전략
2011.01.27
조회수 10177
-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2연속 우승
우리학교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실력이 국내 최고라는 것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지난 달 29일과 30일 양일간 KAIST ICC에서 열린 제10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행정안전부 주최)에서 우리학교 로얄로더(RoyalRoader)팀이 1위, 버거킹(BurgerKing)팀이 2위를 차지했다.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는 3명의 학생이 한 팀이 되어 5시간 동안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보다 많은 문제를 빠른 시간에 해결하면 높은 점수를 받게 된다. 만일 제출한 답이 맞지 않으면 다시 제출할 수 있지만 페널티를 받는다.
대회 초반 우승 후보들이 3문제씩을 풀며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진행되는가 싶었다. 그러나 로얄로더팀이 대회 시작 36분 4문제를 풀면서 처음으로 1위로 등극하더니 곧이어 5문제를 풀어내 다른 팀과의 문제 수를 2 문제 이상 벌이며 대회 끝까지 1위를 지켜냈다.
로얄로더팀은 2시간 45분 만에 10문제 모두를 풀어내 대회 역사상 가장 빠른 시간에 모든 문제를 푼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하게 되었다.
대회 2시간 정도가 흘렀을 때 로얄로더팀은 9문제로 2위와 무려 4문제 차이를 내어 대회의 초점은 2위를 어느 학교에서 가져갈 것인가에 맞춰질 정도였다. 2위권은 우리학교 버거킹팀, 서울대 4 개팀, 고려대, 포항공대, 교토대, 타이완대 등이었는데, 버거킹팀이 대회 종료 20분을 앞두고 8문제를 풀어내며 2위를 확정 지었다.
로얄로더팀은 지난 대회 때 종료 1시간 전까지 1위를 지키고 있었고 가장 유리한 상황이었으나 역전을 당해 우승하지 못한 경험이 있었다. 올해는 아예 역전을 허용하지 않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해 작년의 아픈 기억을 깨끗이 지워버렸다.
이 대회는 ACM-ICPC(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아시아 대전 지역 예선을 겸하고 있어 우승팀은 내년 2월 27일에서 3월 4일까지 이집트 샤름 알-셰이크(Sharm el-Sheikh)에서 열리는 세계 대회에 진출하게 된다.
한편, 이번에 개최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는 매년 9월경 온라인 예선을 거쳐 65~70팀을 선발해 외국팀 5팀 내외를 초청해 11월 초 본선을 갖는다. 올해는 46개 학교 400여 팀이 참가해 예선을 치뤘으며, 76개 국내 팀과 3개 외국팀이 본선에서 실력을 겨뤘다.
대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acm.kaist.ac.kr에서 확인 가능하다.
2010.11.04
조회수 12155
-
2010 세계 연구중심대학 총장회의 개최
- 11일(월)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국내·외 유명대학 총장 등 40여명 참석
- 과학기술시대를 이끌어 갈 연구중심대학의 역할 토의
우리학교는 오는 11일(월) 오전 9시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세계 연구중심대학 총장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 조지아공대, 덴마크공대, 이스라엘공대, 호주 퀸즈랜드 대학, 일본 동경공대, 싱가폴 난양공대, 말레이시아공대, 홍콩과기대를 비롯한 15개국 24개 해외대학 총장 및 부총장 등 30여명과 한양대, 한동대 총장, 국내 기업 및 협회관계자, 정부 관료 등 총 40여명의 국내·외 인사가 참석한다.
올해로 제3회째를 맞는 이번 회의는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중심대학의 총장단과 국내 산·학·연·관의 리더들이 모여 21세기 연구중심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토의를 진행한다.
서남표 총장의 개회사로 시작하는 이번 회의에는 이기준 한국과학기술 총연합회 회장이 축사를 할 예정이며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만찬사를 맡았다.
이번 회의는 ‘과학기술시대를 이끌어 갈 연구중심대학의 역할 : 기대와 성과’라는 주제 아래 덴마크 공과대학(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라스 팔레슨(Lars Pallesen)총장의 ‘21세기 차세대 글로벌시민 교육 : 글로벌 세계에서의 학생 유동성’, 미국 NASA 달과학기관(NASA Lunar Science Institute) 이본 펜들턴(Yvonne Pendleton) 연구소장의 ‘NASA 달과학기관과의 국제협력 기회’, 호주 퀸즈랜드대학(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마틴 실런스(Martin N. Sillence) 총장의 ‘차세대 연구대학에 필요한 장·단기 교직원 개발’ 등에 관한 주제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서 총장은 “이번 총장 회의는 과학기술시대를 이끌어 갈 연구 대학의 대표자들이 함께 모여 대학들에 주어진 도전 과제를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성공적인 회의 개최를 위해 현대자동차, 포스코, 삼성중공업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서 후원했다.
2010.10.06
조회수 12542
-
한상기칼럼 모바일시대, 국내포털의 방황
우리대학 한상기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전자신문 2010년 5월 6일(목)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ET칼럼] 모바일 시대, 국내 포털의 방황
신문: 전자신문
저자: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한상기
일시: 2010 / 05 / 06 (목)
기사보기: [ET칼럼] 모바일 시대, 국내 포털의 방황
2010.05.06
조회수 9834
-
이재규칼럼 "가치"중심 마케팅시대 열자
이재규(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가 ""가치"중심 마케팅시대 열자"란 제목으로
IT일간지 디지털타임스 2010년 2월 23일(화)자에 시론을 게재했다.
제목 [DT시론] "가치"중심 마케팅시대 열자
저자 이재규(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 EEWS기획단장
매체 디지털 타임스
일시 2010/02/23(화)
칼럼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0022302012369697001
2010.02.23
조회수 8532
-
김미경칼럼 융합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우리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김미경 교수가
조선일보 2010년 2월19일(금)자에 칼럼을 게재했다.
제목: [ESSAY] 융합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매체: 조선일보
저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일시: 2010/2/19 금
칼럼보기 [ESSAY] 융합 시대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2010.02.19
조회수 10260
-
권동수교수, 사람과 통하는 로봇시대 앞당긴다
전자신문이 특집연재 중인 [新 지방시대, R&D 허브를 꿈꾼다] 제 26편으로 우리학교 인간로봇상호작용핵심연구센터(HRI센터, 소장 권동수 기계공학과 교수)가 소개됐다. 기사는 전자신문 2009년 12월 23일 수요일자 19면을 모두 할애하여 연구센터 소개와 권동수 소장 인터뷰 기사를 실었다.
HRI센터는 인간복지 증진을 위한 서비스로봇 개발의 핵심기술인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개발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으며, 지난 2004년 10월 정부에서 프런티어 사업 연구센터로 선정돼 현재 3단계(7차년도)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재: [新 지방시대, R&D 허브를 꿈꾼다] 26. KAIST 인간로봇상호작용핵심연구센터
제목: "사람과 통하는 로봇시대 앞당긴다"
부제: 음성을 통한 감정인식, 생성, 표현기술 개발... 로봇이용 원어민 영어수업 상용화 "초읽기"
매체: 전자신문 19면(NewsPLUS면)
취재: 신선미 대덕특구 출입기자
일시: 2009년 12월 23일 수요일
링크1. 연구센터 소개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12220069
링크2. 권동수 소장 인터뷰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12220070
2009.12.23
조회수 11969
-
KAIST 과학언론전문가 석사과정 생긴다
- 21세기 지식 경제화 선진국 시대를 이끌어갈 과학언론 전문가 양성 계기 마련 -
우리학교는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정윤)과 지난 25일(수)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 비지니스센터에서 “21세기 지식 경제화 선진국 시대를 이끌어갈 과학언론 전문가 양성”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번 협정을 통해 과학기술과 언론문화가 융합된 과학언론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을 공동 개설하고 운영하기로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신문방송사 기자, PD, 작가 등 과학 기술언론인을 육성하게 된다.
2010년 봄학기에 개설예정인 과학저널리즘 석사과정은 현직기자 10명 내외를 장학생으로 선발할 예정이며, 일반회사 홍보관계자 등도 10명 내외의 선발을 계획하고 있다. 과학언론전문가과정 관련문의는 전화 042-350-4602
2009.11.26
조회수 12050
-
KAIST Nondeterminist팀 제9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에서 우승
우리학교 Nondeterminist팀이 지난 5~6일 양일간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9회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서 Nondeterminist팀(전산학과 진태진, 이영운, 류원하)은 우리학교 RoyalRoader팀, 서울대학교 rand()팀, 홍콩과학기술대학교(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HKUST_Optimus Prime팀과 접전을 벌인 끝에 대회 종료 10분을 남겨두고 극적인 역전 우승 드라마를 만들어냈다.
이번 우승은 서울대학교의 4년 연속우승을 저지한 2003년 이후 KAIST의 첫 우승이었다.
이 대회는 매년 9월경 온라인 예선을 거쳐 65-70팀을 선발하고 외국 5팀 내외를 초청해 11월 초에 본선을 갖는다. 올해에는 60개 학교에서 397팀이 참가했으며 본선에서 70개 국내팀과 외국 5팀이 본선에서 실력을 겨뤘다.
이 대회는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과 ACM이 주관했으며, ACM-ICPC(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아시아 서울지역 예선을 겸하고 있다. 우승팀은 내년 2월 중국 하얼빈에서 열리는 세계 대회에 진출하게 된다.
대회 공식 홈페이지: http://acm.kaist.ac.kr
대회 문제: http://acm.kaist.ac.kr/forum/viewtopic.php?t=1389
대회 결과: http://acm.kaist.ac.kr/forum/viewtopic.php?t=1394
2009.11.11
조회수 12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