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첫 여성 명예박사 탄생
- 이공계 출신인 이길여 가천길재단 회장, 박근혜 한나라당 국회의원- 이공계 여학생들의 사회적 역할 모델과 미래 리더로서의 비전 제시 우리 학교는 이공계 출신 여성 지도자인 이길여 가천길재단 회장과 박근혜 한나라당 국회의원에게 KAIST 명예이학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학위 수여는 오는 29일(금) 개최되는 2007학년도 졸업식에서 하게 된다.
올해 우리 학교 명예박사는 이공계 출신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통해 국가와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한 국내 여성 인사를 선정했다. 이공계 출신 여성 지도자를 명예박사로 선정한 이유는 이공계 여학생들에게 사회적 역할 모델과 미래 리더로서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우리 학교는 학부생 23%가 여학생이며, 여학생들의 지원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우리 학교는 여성 교수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최근 메리 캐서린 톰슨(Mary Kathryn Thompson) 교수, 캐롤 베일(Carol. A. Vale) 교수 등 여성 교수를 영입한 바 있다.
이길여(李吉女, 75) 회장은 여의사로서는 처음으로 의료법인 ‘인천길병원’을 설립하고, 의료취약지 병원 설립과 무의촌 무료진료봉사 등 적극적인 의료지원활동을 펼쳤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등에서 한센병 환자 및 지진피해를 입은 현지인들의 구호에도 적극 앞장서왔다. 한국여성재단에 ‘이길여기금’을 조성하여 여성의 권익신장과 모성보호에도 기여하는 등, ‘박애, 봉사, 애국애족’이라는 자신의 철학을 오늘날까지 실천해왔다.1998년 이 회장은 자신의 호를 딴 ‘가천의과대학’을 신설하고 ‘의료를 통한 교육, 교육을 통한 의료’라는 평소 신념을 실천했다. 1991년 가천문화재단을 설립, 기업이 수익의 일부를 문화예술에 기부하는 메세나 활동에 적극 동참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뇌영상 장비시스템과 인력을 갖춘 ‘뇌과학 연구소’의 설립을 통해 뇌의 구조와 움직임을 파악하여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뇌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시대를 열었다. 암, 당뇨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생명과학연구소 설립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가천의과대학의 뇌과학연구소는 우리 학교의 바이오 및 뇌공학과와 함께 활발한 인적교류와 연구협력을 함으로써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박근혜(朴槿惠, 56) 국회의원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는 근본은 교육’이라는 신념 하에 교육과 관련된 현안에는 누구보다도 먼저 관심을 갖고 앞장서 왔다. 육영재단과 각종 장학사업을 통해 젊은이들을 후원, 격려해 왔으며 교육현안에 대한 현실성 있는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여 국가 ‘백년대계’로서의 교육발판을 마련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에 있는 여성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호주제 폐지 및 출산과 육아로 인한 사회진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앞장서는 등, 여성들의 권익신장을 위해 노력해왔다. ‘과학입국만이 우리의 살 길’이라는 부친의 신념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각종 과학기술정책을 입안하고 이를 관철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왔다. 2007년에는 과학기술혁명 7대 전략을 수립하고 ‘대한민국이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 고성장의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제2차 과학기술혁명을 일으켜야만 한다’는 자신의 신념을 설파하는 등, 후세에 과학 강국의 유산을 남겨주고자 불철주야 노력했다. 또한 과학기술인이 우대받는 사회를 만들고자 앞장서 왔으며, 우리 학교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 간접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첨부>
KAIST 명예박사 프로필
■ 이길여(李吉女) 회장
(1932년 5월 9일생)
<학 력> 1951~195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57~1958 서울 적십자병원 인턴 수료 1964~1965 (美) Mary Immaculate Hospital 인턴 수료 1965~1968 (美) Queen"s Hospital Center 레지던트 수료 1975~1977 (日) 니혼대학교 의학부 의박박사 2003.8.22 단국대학교 명예교육학 박사
<주요 경력>
1958~ 이길여 산부인과 개원1978~ 인천길병원 설립1982~1984 사단법인 한국여자의사회 회장 1983~1987 여성정책심의위원회 위원1991~ (現) 재단법인 가천문화재단 설립, 이사장1991~ 여의대상 길의료봉사상 제정 1992~ (現) 복지법인 새생명찾아주기운동본부 설립, 이사장 1993~ 사단법인 가천미추홀청소년봉사단 설립1993 (現) 한센국제협력후원회 회장1995~ 가천박물관 설립1995~200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 회장(5회 연임)1998~ 가천의과대학교 설립 1998~2000 학교법인 경원학원 이사장1999~ (現) 경인일보 회장2000~ (現) 경원대학교 총장2001~2003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여성부 의장2003~2004 중앙인사위원회 인사정책자문회의 의장2003~2007 의사협회 한국의학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 2006~ 가천의과학대학교 뇌과학연구소 개원2007~ (現)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사장2007~ 이길여 암당뇨 연구소 기공
<주요 상훈>
1985 국민훈장 목련장 1993 용신봉사상 수상 1997 제2회 자랑스러운 전북인대상 수상 1999 전북일보의 ‘20세기 전북인물 50인’에 피선 2003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상 2003 제13회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 2003 제5회 관악대상 수상 2006 한국여자의사회 공로상 및 특별기여상 수상 2006 대한민국 가장 존경받는 경영인상 수상 2007 제8회 함춘대상 사회공헌 부문 대상
<주요 저서>
2002 꿈은 멈추지 않는다(연설문집)
2007 글로벌 시대의 한국과 한국인(공저, 아카넷)
<주요 논문> 1997 내독소의 단일주사로 유발된 실험적 쇼크에 나타나는 내장 및 신장의 혈액학 및 병리형태학적 연구 : (日) 니혼대학교 의학부
■ 박근혜(朴槿惠) 의원
(1952년 2월 2일생)
<학 력>
1964 서울 장충초등학교 졸업
1967 서울 성심여자중학교 졸업
1970 서울 성심여자고등학교 졸업
1974 서울 서강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1987 자유중국 문화대학 명예문학박사
<주요 경력>
1974~1979 퍼스트 레이디 대리
1974~1980 걸스카웃 명예총재
1980~1988 영남대학교 이사
1982~1990 육영재단 이사장
2008.02.21
조회수 20155
-
오준호 교수, 대전MBC "한빛대상" 수상
대전문화방송이 창사 43주년을 맞아 지역발전을 위해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한빛대상" 제3회 수상자로 한국 최초로 인간형 로봇 "휴보"를 개발한 우리학교 기계공학과 오준호 교수가 선정됐다.
대전MBC는 지난달 28일 한빛대상 심사위원회를 열어 ▲오준호 KAIST 교수(과학기술) ▲이광필 충남체육고 교장(문화예술체육) ▲안명자 서산 부춘동사무소 주사보(사회봉사) ▲권상준 티에스이 대표(지역경제발전) ▲이정순 여성장애인연대 고문(인간승리) ▲박세리 프로골퍼(특별상) 등을 분야별 수상자로 결정했다.
시상식은 지난 12일 오후 대전문화방송 공개홀에서 열렸고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500만원이 수여됐다
대전문화방송 관계자는 "지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사로서 사회 각 분야에서 봉사하고 공헌한 인물을 찾아 널리 알림으로써 지역의 시.청취자와 희망과 보람을 함께 나누는 세상을 만들자는 취지에서 한빛대상을 제정했다"고 말했다.
2007.10.16
조회수 14049
-
KAIST 신입생, 4개월간 특별 사전교육
- 리더십과 영어능력을 갖춘 글로벌리더 양성목표
- 입학전 4개월간 리더십훈련, 영어집중코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 국내최초 시도, 교육비는 학교 60%, 학생 40% 부담
- 오는 26일(수)부터 1단계 3차교육 시작(교육일정표 참조)
KAIST(총장 로버트 러플린)가 입학예정자를 대상으로 대학생활을 미리준비할 수 있는 입학전 4개월간의 특별프로그램을 마련,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지난 12일부터 시작된 이 특별교육은 리더십과 영어능력을 고루 갖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한다는 KAIST 비전 실현을 위해 준비됐다.
이 프로그램에 지원한 예비 신입생 7백여명은 4개월 동안 ▲챌린지코스 및 리더십훈련 ▲영어 집중코스 ▲충북음성 꽃동네 봉사활동 ▲오리엔테이션 ▲소양교육 ▲새내기 배움터 등 총 6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챌린지코스는 에스원 천안연수원 위탁교육으로, 반편성에 따라 3차에 걸쳐 진행된다. 코스마다 부딪히게 되는 두려움과 난관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강인한 정신력과 자신감, 협동심을 배양시키는 것이 목표다.
한국리더십센터가 주관하는 리더십 훈련은 이공계 대학으로서 국가 최고 지도자를 배출한 중국 칭화대나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닉의 경우처럼 KAIST도 사회리더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의 일환이다.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리더들의 7가지 습관’을 기본서로 전문강사를 초빙, 창의적인 리더로서의 자세와 역량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신입생 거주지역 지정학원과 KAIST어학센터에서 교육받게 되는 영어집중코스는 KAIST에 입학 후 영어강의 수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사전 테스트를 통해 9등급으로 반을 편성, 능력별로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것은 2개 국어 캠퍼스(Bilingual Campus) 구현을 목표로 영어강의를 점차 확대하고 있는 KAIST 교육제도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밖에도 봉사활동을 통한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토록 하기위한 3박4일간의 꽃동네 봉사활동이 예정되어 있으며, 대학생으로서의 소양과 국제매너 등도 교육받게 된다.
KAIST가 국내대학 중 유일하게 입학전 장기간의 사전교육이 가능한 것은 KAIST만의 독특한 입시제도 덕분이다. 일반 대학이 입학정원의 대부분을 수능시험이 끝나는 12월 이후 정시모집에서 선발하는 것과는 달리, KAIST는 입학정원의 70~80%를 8월 1차모집에서 선발하므로 이런 교육이 가능한 것이다.
강창원(姜昌遠) KAIST 교무처장은 “KAIST를 세계적인 이공계 중심대학으로 발전시킨다는 큰 비전하에서 시작한 이 프로그램이 학생과 학부모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KAIST가 시작한 이 제도가 국내 대학교육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1단계 교육인 챌린지코스와 리더십훈련을 마친 신입생들은 “교육 프로그램이 매우 흥미로웠고 유익했다”며, “KAIST에서 대학생활이 기대된다”고 입을 모았다.
2005.10.26
조회수 13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