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대학 학장으로 美, USC 마샬 경영대학 부학장을 역임한 쿠마르 교수 임용
- 세계 최고를 위한 파격 인사
우리대학 경영대학 학장으로 미국 남가주대학(USC) 마샬 경영대학(Marshall School of Business)에서 대학원 및 국제 프로그램 부학장직을 역임한 라비 쿠마르(Ravi Kumar) 교수를 임용한다고 30일 밝혔다.
쿠마르 교수는 미국 남가주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마샬 경영대학에서 생산전략과 공급사슬관리 분야의 교수로 일해 왔다. 1974년 인도 명문 IIT(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를 졸업하고, 1981년 미국 노스웨스턴(Northwestern)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쿠마르 교수는 USC 경영대학에서 MBA 프로그램의 커리큘럼을 혁신적으로 개혁하고, 글로벌 다각화에 큰 공헌을 했으며, 학자이자 탁월한 비전을 가진 리더로서의 견고한 명성을 쌓아 왔다.
서총장은 “쿠마르 교수를 경영대학의 새로운 학장으로 모시게 된 것은 우리에게 큰 행운이다. 쿠마르 교수는 경영대학을 국내 최고를 넘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세계적인 경영대학으로 만들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해 줄 것이다”고 말했다.
우리대학은 ‘학장후보 발굴위원회’를 통해 쿠마르 교수를 임명했으며 7월1일부터 학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경영대학은 서울 홍릉의 카이스트 서울캠퍼스에 위치하며, 1996년 우리나라 최초로 MBA 과정을 개설했다.
2009.06.30
조회수 11547
-
시스템 생명공학 활용, 최고 수율의 아미노산 생산 균주 개발
- 세계 아미노산 시장, 화이트 바이오텍 제품 생산에 파급 효과 큰 원천 기술
- KAIST 이상엽 교수팀 개발,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온라인판 게재KAIST(총장 서남표)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李相燁, 43세, 특훈교수/LG화학 석좌교수) 교수팀은 시스템 생명공학 기법을 이용, 세계 최고 수율(收率)의 발린(L-valine) 생산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 이 연구 결과는 4월 넷째주(23일-27일사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에 게재된다.
李 교수팀은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인 발린(L-valine)을 타켓 물질로 선정, 미생물 가상세포 시스템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최고 수율의 아미노산 생산 균주를 개발했다.
대장균 게놈에서 필요한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초기 생산 균주를 제작하고, DNA 칩을 이용한 전사체(transcriptome) 분석을 통해 새롭게 조작할 1차 타겟 유전자들을 발굴했다. 대장균 가상 세포인 MBEL979를 이용, 유전자 결실(缺失) 실험을 컴퓨터상에서 대량으로 수행한 뒤 2차 엔지니어링 타겟들을 발굴했다. 이 실험 결과를 실제 균주 개발에 적용, 세포내 대사흐름 최적화를 달성하여 최종적으로 100 그램의 포도당으로부터 37.8 그램의 발린을 추출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율의 발린 생산균주 제작에 성공했다.
이상엽 교수는 “시스템 생명공학 기법이 체계적인 시스템 수준에서 균주개발에 성공적으로 이용됨에 따라, 기타 아미노산을 비롯하여 모든 생물공학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기에는 IT와 BT를 융합함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으나 이를 슬기롭게 극복한 연구팀원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연구 관련 생산균주와 그 제조 방법은 국제특허(PCT)를 출원했다.
2007.04.24
조회수 18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