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AIST
뉴스
유틸열기
홈페이지 통합검색
-
검색
ENGLISH
메뉴 열기
%EC%A0%84%EC%82%B0%ED%95%99%EA%B3%BC
최신순
조회순
투명한 유리벽을 양면 터치 게임 미디어로
- 지난 7월 시그래프 이머징 테크놀로지서 선보여 ‘가장 돋보인 작품’ 선정 --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실생활에 적용된 좋은 사례” - 우리 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이우훈 교수와 전산학과 이기혁 교수 공동연구팀은 투명한 유리의 양면을 터치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신개념 게임 미디어 ‘트랜스월(TransWall)’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지난 7월 21일~25일 미국 애너하임에서 개최된 컴퓨터 그래픽 및 상호작용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학회인 시그래프(SIGGRAPH) 이머징 테크놀로지(Eerging Technologies)에 전시돼 ‘가장 돋보인 작품(Highlight)’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우리 주변의 유리벽을 오락과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바꿀 수 없을까?’ 라는 생각에서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트랜스월’은 멀티터치가 가능한 두 장의 유리 사이에 홀로그래픽 스크린 필름을 삽입하고 양쪽에서 빔 프로젝터로 유리에 영상을 투영하는 방식이다. 또 유리에 서피스 트랜스듀서(Surface Transducer)를 부착해 터치하면 화면을 통해 직접 소리와 진동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트랜스월’은 단순한 유리벽처럼 보이지만 사용자들은 시각, 청각, 촉각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다감각적 미디어다. 테마파크, 대형 쇼핑몰, 지하철 역사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하면 기다리는 지루한 시간에 양쪽에서 콘텐츠를 조작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향후 이러한 양면 터치 상호작용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는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우훈 교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오락과 소통의 미디어로서 트랜스월을 개발했다”며 “양면 터치 상호작용 방식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될 대형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실생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하나의 비전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https://vimeo.com/70391422 (트랜스월 소개 동영상)https://vimeo.com/71718874 (SIGGRAPH 2013 전시장면) □ 그림설명 그림1.트랜스월의 구조 그림2. 트랜스월 옆면 그림3. 유리벽의 양쪽 면을 터치해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4. 트랜스월이 시그래프 이머징 테크놀로지에 전시돼 참가자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2013.09.12
조회수 12777
한동수 칼럼 따뜻한 인문학, 공허한 인문학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8월 28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따뜻한 인문학, 공허한 인문학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8월 28일(수) 기사보기 : 따뜻한 인문학, 공허한 인문학
2013.08.28
조회수 6849
한동수 교수, ‘특허 무한도전’출간
우리 학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는 일반인에게 어렵게만 느껴지는 특허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한 특허 입문서 ‘특허 무한도전’을 출간했다. 그 동안 발명과 특허를 주제로 출판된 책은 많았지만 변리사 또는 특허 심판관 등에 의해서 특허법이나 특허제도를 소개하거나 타인의 성공적인 특허나 발명을 제3자가 저자가 돼 사례로 묶어 소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허 무한도전’은 한동수 교수가 발명이 이루어진 계기와 순간을 회상하며 쓴 책으로, 특허의 바다에서 발명자가 좌충우돌하며 경험한 실패와 성공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다. 따라서 발명자에게는 영감을 일반인에게는 특허에 입문할 수 있는 강한 동기를 제공한다. 새로운 지식과 서비스의 끊임없는 창출이 요구되는 창조경제 시대에 누구나 발명과 특허의 주역이 돼 창조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시대적 흐름에 잘 어울리는 책이기도 하다. 매년 수조원의 기술 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이 특허 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근원적인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도 커다란 의미가 있다. 이 책에는 △저자가 특허에 입문해 전문가가 되기까지의 과정과 다양한 비유를 통한 특허에 대한 소개 △향후 기대되는 특허 분야 △발명의 원리에 대한 소개 △특허 기술을 고안하고 출원·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소개 등 포괄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 그러면서도 독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한 숨에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쉬운 이야기 형식으로 기술돼 있다. ‘특허 무한도전’의 저자 카이스트 한동수 교수는 최근 5년 동안 스마트폰 응용과 실내위치인식 분야에서 50여 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20여 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2013년 1월 4일 발명과학 웹 사이트 Gizmag(http://www.gizwig.com)에 그가 고안한 실내 스마트폰 위치인식 특허 기술이 소개돼 세계적인 발명가로 인정받고 있다.
2013.08.20
조회수 10498
한동수 칼럼 포스트 베이비 붐 세대를 위하여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7월 24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포스트 베이비 붐 세대를 위하여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7월 24일(수) 기사보기 : 포스트 베이비 붐 세대를 위하여
2013.07.24
조회수 7511
정진완 교수, 국내 첫 ACM SIGMOD 최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교 전산학과 정진완 교수가 지난달 22일부터 27일까지 미국 뉴욕시에서 열린 전산학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 중 하나인 미국컴퓨터학회(ACM,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데이터베이스 분과(SIGMOD, Special Interest Group on Management Of Data) 국제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이번 논문은 정 교수가 홍콩중문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했는데, 국내 연구자가 이 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매년 개최되는 이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제출한 논문 중 20% 정도만을 엄선해 발표하며, 초대형 데이터베이스 학술대회(VLDB)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분야 최고 권위를 자랑한다. 올해 39번째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총 372편의 논문이 제출돼 76편의 논문이 발표 논문으로 선정됐고, 그중 단 한 편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번 논문(논문명 : 거대 그래프의 삼각형 탐색, Massive Graph Triangulation)에서 연구팀은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없을 만큼 큰 그래프에서 모든 삼각형을 신속히 찾아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성과는 향후 소셜네트워크 등 방대한 그래프로 표현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 교수는 “국제 전산학계에서는 전산분야의 빠른 기술발전 특성 상 새로운 연구가 우월한 것으로 인식돼 대학, 교수, 연구과제의 심사와 실적평가에서 주요 국제학술대회의 논문 실적을 SCI 저널 논문 실적보다 더욱 중요하게 사용한다”며 “국내 학계에서도 이 분야 국제학술대회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이번 에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것에 대한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정 교수는 1999년에 순수 국내연구진이 작성한 논문으로는 처음으로 이 학술대회에 논문을 발표했고, 이번이 그의 7번째 ACM SIGMOD 학술대회 논문이다.
2013.07.11
조회수 11742
한동수 칼럼 편리함의 풍요, 감사함의 빈곤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6월 26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편리함의 풍요, 감사함의 빈곤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6월 26일(수) 기사보기 : 편리함의 풍요, 감사함의 빈곤
2013.06.26
조회수 6346
한동수 칼럼 창조경제에 공짜는 없다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5월 22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창조경제에 공짜는 없다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5월 22일(수) 기사보기 : 창조경제에 공짜는 없다
2013.05.22
조회수 6348
한동수 칼럼 다이버전스 시대와 인문학적 소양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4월 17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다이버전스 시대와 인문학적 소양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4월 17일(수) 기사보기 : 다이버전스 시대와 인문학적 소양
2013.04.17
조회수 6568
김순태 교수, 아시아 대학 첫 DATE 최우수논문상 수상
김순태 교수(왼쪽, 제1 교신저자)와 홍석인 박사과정 학생(가운데, 제1저자)이학회 수상위원회 의장(오른쪽)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 학교 전산학과 김순태 교수가 ‘2013 유럽 설계 자동화 및 테스트 학회(Design, Automation and Test in Europe conference, DATE)’ 설계부문에서 아시아 대학 처음으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DATE는 설계 자동화 및 내장형 시스템 분야의 세계적인 학회로 지난달 프랑스의 그르노블(Grenoble)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회에서는 총 829편의 논문이 평가됐는데 이 중 206편이 선정됐다. 설계, 응용, 테스트 및 신뢰성, 내장형 소프트웨어 등 4개 부문에서 각각 한편씩 최우수논문이 선정됐는데, 설계 부문은 가장 큰 분야로 500여편의 논문이 제출됐다. 논문 제목은 "AVICA: an Access-time Variation Insensitive L1 Cache Architecture"로 트랜지스터 미세선폭이 작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공정변이를 에러율에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AVICA라는 이름의 Level-1 캐쉬 구조를 제안해 심사위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기존의 다른 기법들이 에러율이 높아짐에 따라 오버헤드가 매우 증가하는데 반해 AVICA는 동일한 오버헤드를 유지할 수 있어 미래에 사용될 프로세서에 내장되는 Level-1 캐쉬에 적용될 수 있는 우수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김순태 교수는 “국내에서도 DATE에 꾸준히 논문이 제출되고 있다”며 “아시아권 대학으로써는 최초로 KAIST가 수상해 우리나라 연구의 우수성을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수상 의의를 밝혔다.
2013.04.16
조회수 9557
한동수 칼럼 경쟁력 있고 따뜻한 사회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3월 13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경쟁력 있고 따뜻한 사회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3년 3월 13일(수) 기사보기 : 경쟁력 있고 따뜻한 사회
2013.03.14
조회수 6544
김명철 칼럼 과학기술 질적 성장 이루려면
김명철 전산학과 교수가 매일경제 2013년 1월 15일(화)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과학기술 질적 성장 이루려면 신문: 매일경제 저자: 김명철 전산학과 교수 일시: 2013년 1월 15일(화) 기사보기 : 과학기술 질적 성장 이루려면
2013.01.15
조회수 6118
한동수 칼럼 소통으로 위로하는 시대 열자
한동수 교수 우리학교 전산학과 한동수교수가 매일경제 2012년 1월 2일(수)자 칼럼을 실었다. 제목: 소통으로 위로하는 시대 열자 신문: 매일경제 저자: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일시: 2012년 1월 2일(수) 기사보기 : 소통으로 위로하는 시대 열자
2013.01.02
조회수 5938
<<
첫번째페이지
<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7
8
>
다음 페이지
>>
마지막 페이지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