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대사공학 심포지움 개최
- 바이오에너지-바이오석유화학물질 생산 핵심 대사공학 기술의 최근 연구 동향 발표 - 오는 14일(목) 오후 1시20분, KAIST 응용공학동 영상강의실우리 학교 바이오융합연구소와 BK21 화학공학사업단은 ‘대사공학 심포지움’을 오는 14일(목), KAIST 응용공학동 영상강의실에서 개최한다.
고유가와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가 심화되면서 바이오매스로부터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프로그램과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심포지움에는 7명의 국내 전문가가 바이오에너지와 바이오석유화학물질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핵심 대사공학 전략과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심포지움 주제 발표 내용은 ▲바이오에너지와 바이오석유화학물질 생산을 위한 대사공학(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탄소 4개로 이루어진 핵심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인공 대사회로의 설계와 검증(한국화학연구원 조광명 박사) ▲새로운 화학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아이소프레노이드 대사경로의 이용과 대사공학 전략(아주대학교 이평천 교수) ▲시스템생물학을 접목한 대사공학과 바이오리파이너리에 적용 전략(성균관대학교 진용수 교수) ▲생명체의 조절네트워크를 분석 응용하여 대사공학에 접목시키는 전략(고려대학교 오민규 교수) ▲대사공학적으로 개량된 대장균을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전략(서강대학교 이진원 교수) ▲미생물의 디자인을 위한 대사공학과 합성생물학 전략(포항공대 정규열 교수) 등이다.
이 심포지움은 원유에 의존하던 화학, 에너지, 물질 생산을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대사공학 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2008.02.12
조회수 15747
-
이지현 교수, 국제인명사전 등재
우리 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이지현 교수가 올해 국제인명사전 마르퀴스 후즈후(Marquis Who"s Who) 25주년 기념판 2008에 등재됐다.
주요 연구 분야는 컬러와 문화, 컴퓨터-보조 협업 디자인, 디자인에서의 창조성, 디자인에서의 진화적 시스템, 디자인 지식표현 및 추론 등으로 다양한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한바 있으며, KI 엔터테인먼트공학연구소의 교수로 참여하고 있다. CAADRIA, CAD/CAM, KHCI 및 KSDS의 멤버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교수 약력>
1991년 2월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학사
1993년 2월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석사
2002년 12월 미국 카네기 멜론대학 건축학과 박사
1998년 9월 - 2002년 8월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 ICES (구 EDRC) 연구조교
한경대학, 군산대학 강사 역임
2002년 9월 - 2007년 8월 대만, NYUST 컴퓨테이셔널 디자인대학원 조교수
2007년 9월 - 현재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부교수
2008.02.05
조회수 18142
-
신성철칼럼 기술혁명 스핀트로닉스
신성철(물리학과) 교수가 국민일보 2008년 2월5일자에 "기술혁명 스핀트로닉스"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과학의 窓] 기술혁명 스핀트로닉스
저자 - 신성철 물리학과 교수
매체 - 국민일보
일자 - 2008.02.05(화)
칼럼보기 http://www.kukinews.com/special/article/opinion_view.asp?page=1&gCode=opi&arcid=0920803874&cp=du
2008.02.05
조회수 10039
-
한상근칼럼 서브 프라임 정치
한상근(수리과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8년 2월4일자에
"서브 프라임 정치"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서브 프라임 정치
저자 - 한상근 수리과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
일자 - 2008.2.4(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802/h2008020318444888710.htm&ver=v002
2008.02.04
조회수 9199
-
KAIST, NOKIA社와 산학공동연구
- 백경욱 교수팀의 초음파 접합공정기술 활용- 휴대폰 소형화, 경량화, 제조 생산성 크게 향상 기대 우리 학교 신소재공학과 백경욱(白京煜, 51)교수 연구팀이 노키아(NOKIA)社와 산학공동연구를 시작한다.
세계적인 휴대폰 제조사인 NOKIA社가 국내 대학, 연구소와 산학공동연구를 진행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기간은 6개월, 연구비는 3만5천유로(한화 약 4천8백만원)다.
白 교수팀은 휴대폰 제조시 다양한 모듈들을 상온에서 고속으로 접합하기 위한 이방성(異方性) 전도성 접착제의 초음파 접합 공정을 개발하게 된다. 이 기술은 향후 휴대폰 소형화, 경량화 뿐만 아니라 제조 생산성까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이 초음파 접합 공정은 白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특허를 받은 원천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존에 10초 이상 걸리던 고온 열압착 공정을 상온에서 초음파 진동을 이용, 공정 시간을 3초까지 줄일 수 있다. 향후 휴대폰, LCD TV 등 전자제품 조립 분야에서 광범위한 활용이 기대된다.
<용어설명>◦ 이방성(異方性) 전도성 접착제 : 전자 부품과 기판 사이에 도포하고 열을 가해 단단하게 경화시켜 접합시키는 접착 소재다. 접착시 내부에 포함된 금속 입자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전기를 통하게 하는 특성을 지닌다.
2008.01.24
조회수 13945
-
KAIST-하이닉스반도체 협약 체결
- 차세대메모리와 비메모리반도체 분야 인재 발굴 - 기존 산학협력프로그램‘KEPSI" 확대 운영
우리 학교와 하이닉스반도체(사장 김종갑)는 반도체산업의 발전과 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식은 지난 21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 비즈니스 센터에서 열렸다.
지난 95년부터 우리 학교와 하이닉스반도체는 KEPSI(KAIST Educational Program for Semiconductor Industry) 프로그램Ⅰ,Ⅱ를 통해 메모리 반도체분야에서 특성화된 인력을 육성해왔다. 이번에 새롭게 강화된 KEPSI Ⅲ에서는 기존의 메모리 분야에 한정됐던 지원범위를 시스템 IC분야까지 확대하여 운영하게 된다. KAIST-하이닉스반도체의 KEPSI 프로그램 Ⅰ,Ⅱ는 총 250여 명의 고급 인력을 배출했다. 이번 협약으로 하이닉스반도체는 학생장학금 등을 포함한 교육지원금을 5년간 지급하며, 프로그램 정원은 기존 연 10명에서 연 20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또한 적용 분야도 신소재공학과, 물리학과로 확대된다. 이 협약 체결로 우리 학교와 하이닉스반도체는 차세대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분야에서 특화된 인력을 육성하고 상호 협력하게 된다.
2008.01.24
조회수 15414
-
변증남칼럼 새 정부에서도 과기정책은 근간
변증남 교수(전기및전자공학과)가 "새 정부에서도 과기정책은 근간"이란 제목의 칼럼을
IT일간지 <디지털타임스> 2008년 1월 22일자에 기고했다.
제목 [디지털산책] 새 정부에서도 과기정책은 근간
저자 변증남(전기및전자공학과) 석좌교수
매체 디지털타임스
일시 2008/01/22(화)
칼럼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12202012269614001
2008.01.22
조회수 7357
-
정재승칼럼 과학과 기술을 쪼개는 어리석음
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중인 정재승(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동아일보 2008년 1월16일자에 "과학과 기술을 쪼개는 어리석음"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동아광장] 과학과 기술을 쪼개는 어리석음
저자 - 정재승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매체 - 동아일보
일자 - 2008.01.16(수)
칼럼보기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01160103
2008.01.16
조회수 7235
-
최광무기고 "과기"강화는 무한경쟁시대 생존해법
최광무(전산학과) 교수가""과기"강화는 무한경쟁시대 생존해법"이란 제목의 기고문을
IT일간지 <디지털타임스> 오피니언면의 [DT발언대] 2008년 1월 16일자에 기고했다.
제목 [DT발언대] ""과기"강화는 무한경쟁시대 생존해법"
저자 최광무(전산학과) 석좌교수
매체 디지털타임스
일시 2008/01/16(수)
칼럼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11602012269731002
2008.01.16
조회수 8158
-
올해의 KAIST인 상에 이지오 교수
세계적인 학술지, Cell誌에 두편의 논문 잇따라 발표하는 등 뛰어난 학술연구실적 인정 우리 학교는 2007년 ‘올해의 KAIST인 賞’에 화학과 이지오(李志五, 42) 교수를 선정했다. 시상식은 2일(수) 학내 대강당에서 열린 2008년도 시무식에서 있었다.
李 교수는 2007년 패혈증을 유도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TLR4-MD-2’와 ‘TLR1-TLR2’의 구조 및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해 세계적인 학술지인 셀(Cell)誌에 잇따라 발표, 패혈증 치료제 개발과 선천성 면역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李 교수는 2001년 이후 국제우수논문 18편을 발표하는 등 뛰어난 학술연구 활동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07년 과학기술부 ‘미래를 만드는 우수과학자"에 선정됐으며, 한국과학기자협회가 뽑은 ‘올해의 과학인상’을 수상했다.
2008.01.10
조회수 14710
-
대외 공식 명칭 “KAIST”로 통일
- 한국과학기술원, 영문 풀네임 등은 사용치 않기로- 명칭혼란 방지와 학교 이미지 명확화 목적우리 학교는 정부부처(예; 과학기술부) 및 연구기관(예; 과학기술연구원 등) 등과의 명칭 혼란을 방지하고, 대외적인 이미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2008년도부터 학교의 공식적인 명칭을 KAIST로 통일한다. 이 방침의 확정까지 KAIST는 학내 전체학과장회의(07.11.30), 정책운영위원회(07.12.3), 학처장혁신전략회의(07.12.10) 등의 심의를 거쳤는데, 이들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학교명칭은 영문 "KAIST"로 통일한다. ▲Full name(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사용하지 않는다. ▲꼭 필요한 경우 외에는 한글 명칭 "한국과학기술원"도 사용하지 않는다. ▲KAIST를 불가피하게 한글로 표기해야 할 경우에는 "카이스트"로 쓸 수 있다. ▲또한, 2008년도부터 KAIST에서 나가는 모든 문서(논문 포함)에는 ‘KAIST’라 명기하며, 일반국민들도 그렇게 불러 주기를 요청하기로 한다. 등으로 교명 사용에 따른 기본원칙과 세부원칙들을 정리했다.
2008.01.10
조회수 20754
-
한상근칼럼 한단고기(桓檀古記)의 비과학
한상근(수리과학과) 교수가 한국일보 2008년 1월7일자에 "한단고기(桓檀古記)의 비과학"이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기고했다.
제목 - [사이언스에세이] 한단고기(桓檀古記)의 비과학
저자 - 한상근 수리과학과 교수
매체 - 한국일보일자 - 2008.1.7(월)
칼럼보기 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php?url=opinion/200801/h2008010618063088710.htm&ver=v002
2008.01.07
조회수 8566